述先裕后 :조상을 계승하고 자손을 잘되게 함.先世記錄들을 奉讀하십시요. image(gif) 만듬:문정공24세손 병선

옛글사전-1
옛글사전-2
옛글사전-3

조선실록단어해설
한자 어조사

예기(禮記)

 



대종회장25대-27대
창주공15세손
광훈(光勳)


만든 후손
발전연구위원 간사
25대∼
일헌공15세손
병선(昺璿)



GO BACK

 

1991 辛未譜
第六編 行狀.墓碣銘.墓表

 

 

 

 

愛日堂府君家狀
애일당부군가장

府君(부군)()善勉(선면)이요 ()敬安(경안)이요 ()愛日堂(애일당)이니 羅州鄭氏高麗軍器監諱諧(나주정씨고려군기감휘해)爲始祖(위시조)累傳至諱可臣(누전지휘가신)하니 ()雪齋(설재)()文靖(문정)이라 生諱佺(생휘전)하니 大護軍(대호군)이요 生諱弘振(생휘홍진)하니 大匡輔國都僉議(대광보국도첨의)이요

入我(입아) ()有諱軫(유휘진)하니 刑曹參判修文殿提學(형조참판수문전제학)이요 生諱菊(생휘국)하니 ()氷軒(빙헌)이라 禮曹判書(예조판서)生諱燮(생휘섭)하니 進士縣監(진사현감)이요 累傳至諱仁世(누전지휘인세)하니 ()書圃(서포).

宣廟壬辰( 묘임진)殉節(순절)하고 再傳至諱弘宙(재전지휘홍주)하니 朝散大夫監副正(조산대부감부정)이니 是府君九世以上也(시부군구세이상야)五世祖諱重載(오세조휘중재)自羅州(자나주)始僑居于咸平(시교거우함평)하고 高祖諱(고조휘)再奇(재기)曾祖諱(증조휘)源大(원대)祖諱(조휘)奎榮(규영)이요 考諱(고휘)采煥(채환)이니 ()錦隱(금은)이라 贈嘉善大夫戶參(증가선대부호참)하고 妣貞夫人(비정부인) 光山金氏致根女(광산김씨치근여).

  哲宗庚申九月二十八日生府君(철종경신구월이십팔일생부군)하니 府君(부군)自幼()天性(천성)渾厚(혼후)하고 儀表端正(의표단정)하야 甫七歲(보칠세)能解文字(능해문자)하야 聰慧過人(총혜과인)이라 一日(일일)遊筵園(유연원)할세 見群兒雜戱(견군아잡희)하야 競折花枝(경절화지)하니 從容就戒曰兒輩兒輩(종용취계왈아배아배)勿傷天和方春化融(물상천화방춘화융)이라. 草木群生(초목군생)不發其化育生意耶(불발기화육생의야)以同仁一親之說(이동인일친지설)疊疊曉喩(첩첩효유)하니 群兒咸服其言之善(군아함복기언지선)이라.

及長(급장)家勢甚賓(가세심빈)이나 事親竭力(사친갈력)하야 不憚擔負(불탄담부)하고 () 供朝夕(공조석)하니 見者憫憐其苦(견자민연기고)하야 或有以錢粟救之者(혹유이전속구지자)府君(부군)輒拒之不受曰勞力養親(첩거지불수왈노력양친)固子職所當然也(고자직소당연야)

且聖(차성)莫如大舜而耕田以供之(막여대순이경전이공지)하고 賢莫如子路而負米以養之(현막여자로이부미이양지)하니 況予不及聖賢萬萬者乎(황여불급성현만만자호)假使受人之物(가사수인지물)하야 以養吾親(이양오친)이나 常得常得(상득상득)이요 雖常得之(수상득지)獨不愧於我心乎(독불괴어아심호)桑楡晩景(상유만경)糊口之資稍饒(호구지자초요)하니 愛日之誠(애일지성)彌篤(미독)하야 常以古人一日養(상이고인일일양)不以三公換之句(불이삼공환지구)하야 爲平生佩苻(위평생패부)하고 小心翼翼(소심익익)하야 飭躬力行(칙궁력행)하야 家齋於內而閨門雍睦(가재어내이규문옹목)하고 化行於外而隣里模楷(화행어외이린리모해)하니 遠近(원근)莫不稱頌(막불칭송)이라

丁內外艱(정내외간)哀毁逾制(애훼유제)하고 居廬墓側(거려묘측)하야 喪葬祭(상장제)一依朱文公家禮(일의주문공가례)하고 每値忌辰(매치기진)이면 沐浴齋潔(목욕재결)하여 必致如在之誠(필치여재지성)하다. 癸丑十二月十四日卒(계축십이월십사일졸)하니 墓在舍瑟峙艮坐(묘재사슬치간좌)이라 孝行(효행)聞于 上(문우상)하야 贈嘉善大夫戶參(증가선대부호참)이라.

  配貞夫人務安朴氏箕益(배정부인무안박씨기익)()有淑德( 숙덕)이라 墓雙塋(묘쌍영)하다. 生二男(생이남)하니 ()昺南(병남)이요. ()不肖昺律(불초병율)이라. 長房男(장방남)乙衍大衍金衍福衍(을연대연금연복연)이요 ()仁同張燦植羅州吳公根固城李東根(인동장찬식나주오공근고성이동근)이요 次房男(차방남)廣衍洪衍三衍五衍(광연홍연삼연오연)이요. 六衍女(육연여)錦城羅承潔(금성나승결)이라. 乙衍男(을연남)武京武相武烈武男(무경무상무열무남)이요 大衍男(대연남)盛斗盛根(성두성근)이요 金衍男(금연남)鍾日茂述(종일무술)이요 福衍男(복연남)武瀅武學武燮(무형무학무섭)이요 廣衍男(광연남)()이요 洪衍男(홍연남)鍾根鍾相鍾月行吾(종근종상종월행오)三衍男(삼연남)鍾云鍾活富德德洙德月(종운종활부덕덕수덕월)이요 五衍男(오연남)鍾岳鍾天(종악종천)이요 六衍男(육연남)水憲鍾(수헌종)이라. 餘不盡錄(여불진록)하다.

夫庸德之行(부용덕지행)庸言之謹(용언지근)是爲後生警勵語也(시위후생경려어야)爲人子而欲揚其父母孰無是心(위인자이욕양기부모숙무시심)이리오. 俱揚之而過其實(구양지이과기실)非揚也(비양야)乃貽羞也(내이수야)로다. 今於修譜之日(금어수보지일)謹記府君之狀德如右(근기부군지장덕여우)하니 後之君子幸垂擇焉(후지군자행수택언)하다.

 

                                         乙未正月念一日 不肖孤 昺律 泣血謹記
                                                                        을미정월념일일 不肖孤 병율 읍혈근기

 

아래 내용을 六衍族長의 요청에 의거 워드화하여 원문과 알기쉽게 풀었쓴 내용을 덧붙임 / 일헌공15세손 병선

愛日堂 府君 家狀

府君諱善勉字敬安號愛日堂羅州鄭氏以高麗軍器監諱諧爲始祖累傳至諱可臣號雪齋諡號文靖生諱 佺大護軍生諱弘振大匡輔國都僉議入我朝有諱軫刑曹參判修文殿提學生諱菊號氷軒禮曹判書生諱 燮進士縣監累傳至諱仁世號書圃宣祖壬辰殉節再傳至諱弘宙朝散大夫守濟用監副正是府君九世以上也五世祖諱重載自羅州始僑居于咸平高祖諱再奇曾祖諱源大祖諱奎榮考諱采煥號錦隱贈嘉善大夫戶曹參判妣貞夫人光山金氏致根女哲宗庚申九月二十八日生府君府君自幼 天性渾厚儀表端正甫 七歲能解文字聰慧過人一日遊庭園見群兒雜戱兢折花枝從容就戒曰兒輩兒輩勿傷天和方春和融草木群生不發其化育生意耶以同仁一視之說亹亹曉喻群兒感服其言之善及長家勢甚貧事親竭力不憚擔負以供朝夕見者憫憐其苦或有以錢栗救之者府君輒拒之不受曰勞力養親固子職所當然也且聖莫如大舜而耕田以供之賢莫如子路而負米養之況予不及聖賢萬萬者乎假使受人之物以養吾親不能常得雖常得之獨不愧於我心乎桑榆晩景糊口之資稻饒愛日之誠彌篤常以古人一日養不以三公換之句爲平生佩符小心翼翼飭躬力行家齊於內而閨門雍睦化行於外而隣里模楷遠近莫不稱頌丁內外艱哀毁逾制居廬墓側喪葬祭禮一依朱文公嘉禮每値忌辰沐浴齊潔必致如在之誠癸丑十二月十四日卒墓在舍瑟峙艮坐原考行聞于上贈嘉善大夫戶參配貞夫人務安朴氏箕益女有淑德墓雙塋生二男長昺南次不肖昺律長方男乙衍大衍金衍福衍女仁同張燦植羅州吳公根固城李東根次方男廣衍洪衍三衍五衍六衍女錦城羅承泰乙衍男武京武相武烈武勇大衍男盛斗盛根金衍男鍾日茂述福衍男武瀅武學武燮廣衍男鍾洪衍男鍾根鍾相鍾目行吾三衍男鍾云鍾浩德洙德日五衍男鍾岳鍾天六衍男水憲鍾餘不 盡錄夫庸德之行庸言之謹是爲後生警勵語也爲人子而欲揚其父母執無是心但揚之而過其實非揚也乃貽羞也今於修譜之日謹記府君之狀德如右後之君子幸垂擇焉

                             乙未正月 念一日 不肖孤 昺律 泣血 謹記

 

애일당 부군 ¹家狀

²⁾府君³⁾諱善勉이며 ⁴⁾字敬安이고 ⁵⁾號는 애일당이다. 나주정씨로 고려 군기감 판사인 휘 할아버지가 ⁶⁾始祖이고 전하여 諱 可臣은 호가 설재이고 ⁷⁾諡號는 문정이며 이분이 諱 佺을 낳으니 ⁸⁾大護軍이고 이분이 諱 弘振을 낳으니 대광보국도첨의이다. 조선조에 휘 하니 ⁹⁾刑曹參判수문전제학이며 이분이 휘 을 낳으니 호는 빙헌이며 ¹⁰⁾禮曹判書이고 이분이 휘 을 낳으니 진사현감이다. 누전하여 휘 仁世는 호가 서포이며 임진왜란 때 순절하였고 또 전하여 휘 弘宙¹¹⁾朝散大夫守 ¹²⁾濟用監副正이며 이분들은 모두 부군의 九世이상의 선조들이다. 세조의 휘는 重載로 이 할아버지가 나주에서 함평으로 이사하여 살게 되었다. 고조할아버지의 휘는 再奇요 증조할아버지의 휘는 源大이며 할아버지의 휘는 奎榮이고 아버지의 휘는 采煥이니 호는 錦隱으로 ¹³⁾贈 ¹⁴⁾嘉善大夫 ¹⁵⁾戶曹參判이고 어머니는 ¹⁶⁾貞夫人광산김씨며 致根씨의 따님이다. 1860(庚申) 928일에 부군이 출생하였다. 부군은 어려서부터 타고난 성품이 원만하고 인정이 두터웠으며 ¹⁷⁾儀表단정 하였고 겨우 일곱 살에 문자를 잘 해독하여 남다르게 총명하였다. 어느 날 정원에서 여러 아이들이 모여 여러 가지 놀이를 하면서 함부로 밟고 꽃가지를 꺽는 것을 보고 곧바로 조용하게 하고 주의하기를 아이 들아 아이들아 ¹⁸⁾天和를 다치게 하지 말라 이제 한창 봄이 되어 초목이 무더기로 때를 지어 돋아나고 천지자연이 만물을 만들어 싱싱하게 자라게 함이니 꽃이 피지 못할까 걱정이 되는구나 하면서 차별 없이 좋은 말로 알아듣게 타이르니 여러 아이들이 그 옳은 말에 ¹⁹⁾感服하였다. 살림은 몹시 가난하나 부모를 섬김에는 부담을 마다하지 않고 있는 힘을 다하여 정성껏 아침저녁으로 받드니 보는 사람마다 그 수고함을 가련하게 여기고 금전이나 혹은 ²⁰⁾粟米로 구원하고자 하는 사람이 있어도 부군이 번번이 거절하며 받지 않고 이르기를 힘써 부모를 봉양하는 것은 자식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도리라 하였다. 성군인 ²¹⁾大舜이 부모가 시키는 대로 밭을 갈고 김을 매며 부지런히 농사를 지어 부모를 봉양하는 도리를 다한 것만 같지 못하고 형인인 ²²⁾子路가 일백리 밖에까지 가서 쌀을 져다가 부모를 봉양한 것만 같지 못하니 나는 절대로 성현에 비유할 바가 못 된다. 가사 수인지물하여 나의 부모를 봉양한다 하더라도 항상 얻지 못할 것이며 비록 얻는다 할지라도 남의 힘을 입지 않고 봉양하는 것이 내 마음이 부끄럽지 않다. 말년에 가산이 점점 넉넉해지니 애일의 정성이 더욱 두터워 항상 옛사람의 일일양이 ²³⁾三公과 바꾸지 않았다는 구절을 평생 ²⁴⁾佩符하고 ²⁵⁾小心翼翼하며 자녀교육에 몸소 힘쓰고 집안을 잘 다스려 ²⁶⁾閨門이 화목하니 이웃 사람의 본보기가 되어 원근에서 칭송이 그치지 않았다. 부모상을 당해서는 ²⁷⁾哀毁逾制하고 ²⁸⁾居廬墓側하여 상장제례를 주문공의 가례에 따랐고 제사 날에는 목욕제결하며 정성을 다하였다. 1913(癸丑) 1214일에 돌아가시고 묘지는 사슬치간좌원에 있다. 효행으로 증 가선대부 호조참판하다.

 

배는 정부인 무안박씨로 箕益의 따님으로 淑德이 있었으며 묘는 쌍분이다. 二男을 낳으니 큰아들은 昺南이고 둘째 아들은 불초 昺律이다. 장방남에는 乙衍大衍金衍福衍l는 인동 張燦植과 나주 吳公根과 고성 李東根이며 차방남에는 廣衍洪衍剼衍五衍六衍이며 는 금성 羅承泰이다. 乙衍남에는 武京武相武烈武勇이고 大衍남에는 盛斗盛根이며 金衍남에는 鍾日茂述이고 福衍남에는 武瀅武學武燮이며 廣衍남에는 이고 洪衍남에는 鍾根鍾相鍾目行吾이며 三衍남에는 鍾云鍾浩德洙德日이고 五衍남에는 鍾岳鍾天이며 六衍남에는 水憲鍾이며 나머지는 다 기록하지 않는다. 대저 평소에 행하여야할 학덕과 평소에 쓰는 말을 삼가는 것은 자손들이 스스로 경계하고 힘써야 한다는 새김의 말이다. 사람의 아들은 누구나 자기 부모를 나타내고 칭송하고자 함은 자연스러운 일이나 다만 나타내고 칭송함이 지나치면 나타내지 않은 것만 같지 못하니라. 이에 물려주노라 이제 수보한다고 하여 부군의 장덕을 이상과 같이 기록하니 후일에 ³⁰⁾君子가 다행히 가려서 후세에 전하리라

1955(乙未) 정월 ³¹⁾念一³²⁾不肖孤 昺律 눈물을 흘리면서 삼가씁니다.

 

 

 

[]

1).家狀(가장) : 조상의 행적에 관한 기록

2).府君(부군) : 죽은 아버지 및 조상의 존칭

3).() : 죽은 이의 이름

4).() : 본 이름 외에 부르는 이름

5).() : 덕망이 잇는 유학자로 관직이 없고 시호가 없는 경우 가까운 친구나 문하생들이 서로 상의하여 정한 이름

6).始祖(시조) : 제일 초대의 선조로서 맨 처음 되는 조상

7).諡號(시호) : 제왕이나 공경, 유현 등의 고억을 기리어 죽은 뒤에 주는 이름. 자를 붙여 호칭한다.

8).大護軍(대호군) : 고려 공민왕 때 대장군의 고친 이름. 3. 조선조 때 오위의 종3품 벼슬

9).刑曹參判(형조참판) : 법률, 소송, 노비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는 관청의 관리로 종2품 벼슬

10).禮曹判書(예조판서) : 예학, 제사, 연향, 조빙, 교육, 과거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는 관청으로 예조의 의뜸 벼슬. 2품 벼슬

11).朝散大夫(조산대부) : 4품 관직의 품계

12).濟用監副正(제용감부정) : 모시, 마포, 피물, 인삼의 진헌 및 의복과 사, , , 단의 사여와 염직등을 맡아보는 관청의 관리로 부정은 종3품 벼슬

13).贈職(증직) : 공신, 충신, 효자, 학덕이 높은 사람에게 죽은 뒤에 벼슬을 주거나 높여주기 위하여 국가에서 추증 하는 것을 말한다.

14).嘉善大夫(가선대부) : 가의대부의 다음가는 종2품 벼슬

15).戶曹參判(호조참판) : 호구, 공부, 전량, 식화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는 관청의 관리로 종2품 벼슬

16).貞夫人(정부인) : , 2품의 문무관의 외명부 품계

17).儀表(의표) : 사표(師表). 모범

18).천화(천화) : 천지의 화기. 사람의 원기

19).感服(감복) : 함께 따름. 함께 생각함

20).粟米(속미) : . 또는 군량

21).大舜(대순) : 요순(堯舜)이라면 중국 고대 성군의 표본이다. ()의 아버지 고수는 재혼하여 상()이라는 아들을 얻었다. 그런데 아버지 고수는 몹시 완악하고 어머니는 교활하고 아우 상은 오만하고 어질지 못하였다. 그들 세 사람은 한패가 되어 순을 죽이려고 온갖 모략을 하였다. 그러나 순은 그저 부모가 시키는 대로 역산(歷山) 밭에 나가 농사 짓기에 여념이 없었으며 남모르게 하늘을 향하여 자신을 책망하고 눈물을 수없이 흘렸다. 그러던 중 어느날 기상천외의 일이 일어났다. 참새 떼가 몰려오더니 입으로 풀을 뽑고 땅을 쪼아 밭의 김을 말끔히 매주었다. 뿐만 아니라 산속에서 코끼리가 나오더니 쟁기를 잡아 당겨 순이 갈려고 하던 밭을 모조리 갈아치우는 것이 아닌가 이렇듯 순의 효성에는 짐승들까지도 감동하였거늘 하물며 사람의 마음으로서 어찌 움직임이 없었으랴 마침내 완악하고 교활하던 부모도 기뻐하게 되고 오만하던 아우도 여기에 감화하였으니 대순(大舜)위 효도야 말로 만세에 없는 일이었다.

22).子路(자로) : (仲由)의 자()는 자로(子路)로 공자의 뛰어난 제자 중의 한 사람이다. 이 자로가 공자를 뵙고 말 하였다. 제가 부모를 섬길 때에는 일백리 밖에 가서 쌀을 져다가 봉양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부모가 죽고 저는 초()나라 대부가 되어 곡식을 쌓아 놓고 먹게 되었사오니 이제 와서는 쌀을 져다가 효도를 하고 싶어도 되지 않는군요 참으로 한스러운 일입니다. 백리 밖에 가서 쌀을 지고 오는 것은 비록 몸에는 고단한 일이지만 오히려 부모를 위하여 즐거웠고 곡식 만석을 쌓아놓고 먹는 것이 비록 귀한 일이지만 오히려 슬퍼한다. 이는 대개 그 슬픔을 즐거운 것이 내 한 몸의 궁하고 달한데에 달려 있지 않고 오직 내 부모가 계시고 안 계신데 있다고 자로는 생각하였다.

23).三公(삼공) :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24).佩符(패부) : 부신을 참

25).小心翼翼(소심익익) : 대단히 조심하고 삼가는 모양

26).閨門(규문) : 침실의 입구. 침실 안 가정 안

27).哀毁逾制(애훼유제) : 부모의 죽음을 슬퍼하고 모든 일은 법도에 알맞게 함

28).居廬墓側(거려묘측) : 무덤 근처에 상재가 거처하는 오두막집

29).淑德(숙덕) : 숙녀의 덕행. 부인의 미덕

30).君子(군자) : 심성이 어질고 덕행이 높은 사람. 남의 사표가 될만한 사람

31).念一日(염일일) : 이십일일

32).不肖孤(불초고) : 부모가 죽은 뒤 졸곡 때 까지 상재가 자기를 일컫는 말

33).階司職(계사직)行守法(행수법) : 관직의 정식 명칭은 계사직(階司職)의 순서로 되어 있는데 영의정(領議政)일 경우 [大匡輔國崇祿大夫(대광보국숭록대부)는 계()이고 의정부(議政府)는 사()이며 영의정(領議政)은 직()이 된다.

계는 곧 품계요 사는 소속 관청이며 직은 직위를 말한다. 그런데 [행수법(行守法)이라는 것이 있어서 품계가 높으면서 관직이 낮은 경우에는 행()이라하고 반대로 품계가 낮은데 관직이 높을 경우에는 수()라 하여 소속관청의 명칭앞에 행() 또는 수()자를 붙이게 되어 있다. 이를 테면 종1품인 승정대부의 품계를 가진 사람이 정2품인 이조판서가 되면 [승정대부행이조판서]라하고 반대로 종2품인 가선대부의 품계를 가진 사람이 정2품직인 대재학이 되면 [가선대부수홍문관대제학]이라 했다.

                                                                               族侄 炳淥 飜譯

 

아래와 같이 계보 파악 및 참고자료 붙임

系  譜 :    2卷166  /  계보보기

4대파

大護軍公諱佺派

 

중조(中祖)

禮曹判書公諱菊  

 파계(派系)

亨昌.勳

  21世

諱重載

고조(高祖)

諱再奇

증조(曾祖)

諱源大

조(祖)

諱奎榮

고(考)

諱采煥

  

26世諱善勉

敬安
 

愛日堂

 

 

哲宗11庚申 1860年9月28日

癸丑 1913年12月15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