述先裕后 :조상을 계승하고 자손을 잘되게 함.先世記錄들을 奉讀하십시요. image(gif) 만듬:문정공24세손 병선

옛글사전-1
옛글사전-2
옛글사전-3

조선실록단어해설
한자 어조사

예기(禮記)

 



대종회장25대-27대
창주공15세손
광훈(光勳)


만든 후손
발전연구위원 간사
25대∼
일헌공15세손
병선(昺璿)



GO BACK

 

1991 辛未譜
第三編 先世遺蹟
文靖公遺蹟

 

 

文靖公畵像贊(小序)

公起於羅羅卽余之先鄕也余生晩雖不得承按於左右其聞於遺風餘韻者幸密且邇不止也他人尋常慕而摭於史冊攷於詩文而得其糟粨而巳崔處士雲軒李相國益齋所撰畵贊非不盡美而及改摹要余贅辭者意盖有在也余部得辭謹讚曰

學優墳典謨協廟堂垂紳端笏儀表東方退咨巷老起慶廷僚

忠烈王四年先生乞歸養母都下父老惜其去遠望咨嗟後應召命而起翰恥與洪李同朝林偰球等告王曰鄭某有世之志來爲生靈之幸 戰兢履職詢及蒭蕘朝撒誦禪士觸編伍 先生嘗斥佛法朝士嘗在玉堂講湟槃經王曰鄭文學來勿力請誦西經元使我征倭王將令儒士從軍朝臣莫敢諫先生得止 恪守世業茅廬蔬圃禮崇儒師功著樂府 忠宣爲世子先生與閔漬從行某帝命俱來因入見帝起而冠云云及歸王命詳帝問世子受論孟孝經于師鄭其道路勤若所經山川勝槩使樂工歌之故云云 遺廟翼然秋永之滸

공기어나나즉여지선향야여생만수부득승안어좌우기문어유풍여운자행밀차이부지야타인심상모이척어사책고어시문이득기조박이사최처사운헌이상국익재소찬화찬비불진미이급개모요여췌사자의개유재야여부득사근찬왈

학우분전모협묘당수신단홀의표동방퇴자항노기경정료

충렬왕사년선생치여홍이동조걸귀양모도하부노석기거원망자차후응소명이기한임설구등고왕왈정모유세지지래위생령지행 전긍이직순급주요조살송선사촉편오 선생상척불법조사상재옥당강황반경왕왈정문학래물력청송서경원사아정왜왕장령유사종군조신막감간선생득지 각수세업모려소포례숭유사공저악부 충선위세자선생여민지종행모제명구래인입견제기이관운운급귀왕명상제문세자수논맹효경우사정기도로근약소경산천승개사악공가지고운운 유묘익연추영지호

 

[역문]文靖公畵像贊(並小序)
             (문정공화상찬 병소서)

公(공)은 羅州(나주)에서 태어났으니 羅州(나주)는 即(즉) 나의 先鄕(선향)이다. 내가 늦게 出生(출생)하여 左右(좌우)에서 承按(승안)은 못했으나 그 遺風餘韻(유풍여운)을 들은 것은 다행히도 매우 가까워 他人(타인)들의 普通(보통) 사모한 것에 그치지 않고 史冊(사책)에서 주어 얻고 詩文(시문)을 상고하였으나 그 찌거기를 얻을 뿐이었다.

崔處士 雲軒(최처사 운헌)과 理想國 益齋(이상국 익재)가 지은바 畵像讚(화상찬)에 盡美(진미)하지 않은 것이 아니로되 改摹(개모)하고 내게 ②贅辭(췌사)를 요구하니 생각이 있어서다. 내가 辭讓(사양)함을 얻지 못하고 삼가 讚(찬)하노니 墳典(분전)을 넉넉히 배워 廟堂(묘당)에서 謨協(모협)했네. 띠를 드리우고 笏(홀)을 端正(단정)히 하니 東方(동방)의 儀表(의표)로다. 물러남에 巷老(항로)들이 탄식하고 起用(기용)됨에 ③廷僚(정료)들이 慶賀(경하)했네(忠烈王4年(충열왕4년)에 先生(선생)께서 洪李(홍이)와 同朝(동조)함을 부끄럽게 여겨 돌아가 養母(양모)하기를 원함에 都下 文老(도하문노)들이 그 가는 것을 哀惜(애석)이 여겨 멀리서 바라보고 咨嗟(자차)하였으며 뒤에 召命(소명)에 應(응)하여 일어나니 翰林(한림)인 偰球等(설구등)이 王(왕)께 告(고)하기를 鄭某(정모)는 濟世(제세)의 뜻이 있는데 오니 生靈(생령)의 多幸(다행)이라 하였다.)

職責遂行(직책수행)하기를 戰戰(전전)하고 兢兢(긍긍)해 하였으며 묻기를 겸손하게 하고 朝廷(조정)에서는 佛經(불경)을 撒誦(살송)하였으며 儒士(유사)의 充軍(충군)을 찔렀고(先生(선생)께서 佛法(불법) 배척한 글을 썼는데 朝廷(조정)에 있는 선비들이 일찍 王(왕)이 계실 때 湟槃經(황반경)을 講(강)했는데 王(왕)이 말씀하기를 鄭文學(정문학)이 오니 西經(서경)을 외이지 말라 하였으며 元(원)나라가 우리에게 倭(왜)를 치라하니 王(왕)께서 장차 儒士(유사)로 하여금 從軍(종군)케 하려고 하니 朝臣(조신)들이 감히 諫(간)하지 못했는데 先生(선생)께서 힘써 請(청)하여 그치기를 얻었다.)

世業(세업)을 삼가 지켰으며 띠집에서 채소를 가꾸었고 儒師(유사)를 禮崇(예숭)하였으며 功勞(공로)를 樂府(악부)에 나타냈다. (忠宣(충선)이 世子(세자)때에 先生(선생)과 閔漬(민지)가 從行(종행)하였는데 帝(제)께서 世子(세자)에게 물으니 論語(논어)와 孟子(맹자)와 孝經(효경)을 스승인 鄭某(정모)에게 받았다고 하니 帝(제)께서 같이 오라 命(명)함으로 들어가 뵈이니 일어나 冠(관)을 썼다고 한다. 돌아오게 됨에 王(왕)께서 그 道路(도로)와 勤苦(근고)와 지낸바 山川(산천)경계를 자상이하여 樂工(악공)으로 하여금 노래하도록 命(명)하였다고 한다.) 遺廟(유묘)가 날 듯하니 秋水(추수)의 물가 이로다.

<註)

①改摹(개모):이미 있었던 화상을 퇴색하여 다시 본뜬 것을 말함

②贅辭(췌사):필요 없는 말

③廷僚(정료):朝廷(조정)에 있는 동료

④糟粕(조박):찌거기

⑤戰兢(전긍):두려워서 매우 조심함

⑥篘蕘:꼴과 땔나무를 하는 사람

⑦廟堂(묘당):祖宗(조종)의 靈(령)을 모신 곳 ②議政府(의정부)의 別稱(별칭)

⑧三墳五典(삼분오전):三皇五帝(삼황오제)의 書(서)

                                                                                  竹軒 羅繼從謹撰

 

아래와 같이 계보를 파악함

系  譜 : 1卷  135  계보보기

시조(始祖)

追封軍器監判事諱諧

中始祖

조(祖)

追封禮賓卿諱宗産

고(考)

鄕貢進士文科行銀靑光祿大夫樞密院副使諱松壽

  

 4世諱可臣
初諱興

獻之

 

雪齋又曰無慍堂

諡號

文靖

高麗高宗11年甲申 1224

高麗忠烈王124年戊戌 1298年6月4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