述先裕后 :조상을 계승하고 자손을 잘되게 함.先世記錄들을 奉讀하십시요. image(gif) 만듬:문정공24세손 병선

옛글사전-1
옛글사전-2
옛글사전-3

조선실록단어해설
한자 어조사

예기(禮記)

 



대종회장25대-27대
창주공15세손
광훈(光勳)


만든 후손
발전연구위원 간사
25대∼
일헌공15세손
병선(昺璿)



GO BACK
 

 

1991 辛未譜
第四編 先世遺稿
先世碑文

 

 

 

嘉義大夫同知中樞府事行慶源都護府使羅州鄭公諱如麟史蹟碑文
                            (가의대부동지중추부사행경원도호부사나주정공휘여린사적비문)

 

[역문]公(공)의 諱(휘)는 如麟(여린)이요, 字(자)는 景厚(경후)요. 鄭氏姓(정씨성)에 本貫(본관)은 羅州(나주)이다. 始祖(시조) 諱(휘)는 諧(해)이니 軍器監(군기감)이요 十代祖(십대조) 諱(휘)는 可臣(가신)이니 壁上三韓三重大匡守司空都僉議中贊修文殿大學士(벽상삼한삼중대광수사공도첨의중찬수문전대학사)요 世子師(세자사)이며 冢宰(총재)요, 號(호)는 雪齋(설재)요, 諡號(시호)는 文靖公(문정공)이다. 

五代祖(오대조) 諱(휘)는 軾(식)이니 正憲大夫兵曹判書中樞府使(정헌대부병조판서중추부사)요, 號(호)는 永慕亭(영모정)이요, 諡號(시호)는 景武公(경무공)이라. 高祖(고조) 諱(휘)는 承賢(승현)이니 司憲府監察(사헌부감찰)이요, 曾祖(증조) 諱(휘)는 觀(관)이니 直長公(직장공)이요, 祖考(조고) 諱(휘)는 念祖(염조)이니 參奉公(참봉공)이요, 考(고)의 諱(휘)는 詳(상)이니 通訓大夫戶曹正郞兼 經筵參贊官(통훈대부호조정랑겸 경연참찬관)이요, 號(호)는 滄洲公(창주공)이라. 

公(공)이 어려서부터 穎悟(영오)하고 夙成(숙성)하야 膽力(담력)이 있어 뜻이 巨人(거인)과 같아 보는자 奇異(기이)하다 하였다. 이미 長成(장성)함에 文學(문학)의 家門(가문)으로 武事(무사)를 兼(겸)하야 마침 壬辰亂(임진난)을 當(당)함에 父命(부명)을 받아 郭公再佑軍幕(곽공재우군막)에 달려가 鼎律(정률)나루터에서 倭賊(왜적)을 섬멸하야 大捷之功(대첩지공)을 세웠다. 

이해 六月(6월)에 軍需品(군수품)을 싣고 李忠武公(이충무공)계신 閑山(한산)에 이르니 李公(이공)께서 疾風勁草(질풍경초)라. 答書(답서)하시고 같이 屢次(누차)싸워 크게 이겼다. 骨浦(골포)의 싸움에 李公[(이공) 忠武公 (충무공)]이 밤중에 갑자기 일어나 꿈 이야기에 倭三人(왜3인)을 물에 던졌으니 이 꿈이 무슨꿈 인고 하니 公(공)이 대답하되 싸움에 반드시 이길 꿈이라하더니 果然(과연) 明日(명일)에 싸워 倭賊三人(왜적3인)을 쏘아 죽이고 勝戰(승전)을 하다. 

宣祖(선조) 甲午(갑오)에 武科試驗(무과시험)에 合格(합격)하다. 丁酉(정유)에 再次(재차) 倭賊(왜적)이 侵入(침입)함에 郭紅衣將軍(곽홍의장군)이 昌寧(창녕)에 陣(진)을 침에 公(공)이 梧里李公(오리이공)과 花山權公(화산권공)과 西岸柳公(서산유공)과의 火旺城(화왕성)을 지키던 中倭將淸正(중왜장청정)에게 包圍(포위)를 當(당)함에 섶을 쌓고 불을 놓아 同死(동사)할 것을 盟誓(맹서)러니 公(공)이 결국 마침 樓(루)에 올라 賊(적)을 점검하던 中賊(중적)의 화살이 날아와 어깨에 박히니 한치 깊이 박혔다. 의사로 하여금 어깨에 박힌 화살을 빼내고 군사를 몰아 大破(대파)시켰다. 

唐津(당진)에서 賊船百餘隻(적선백여척)을 불사르니 飛將軍(비장군)이라 일컬었다. 이일이 火旺城同苦錄(화왕성동거록)에 실려있다.  

戊戌(무술)에 倭將行長(왜장행장) 等(등)이 天將楊鎬(천장양호)에게 敗(패)한바 되어 順天(순천)으로 南下(남하)러니 平安兵使李慶全(평안병사이경전)과 및 諸義兵(제의병)으로 同力進擊(동력진격)하다. 

十一月二十三日(11월23일)에 泗川倭(사천왜)와 南海倭露梁(남해왜노량)에서 合戰(합전)할새 統制李公(통제이공)이 賊彈(적탄)에 맞아 歿(몰)하니 於是(어시)에 軍情(군정)이 危怡(위이)라. 公(공)이 悲憤(비분)을 참지 못하고 長劒(장검)으로 땅을 그으며 左右軍(좌우군)에 말하되 내가 마땅이 몸을 날려 出戰(출전)하야 나라의 수치를 씻으리라.  

만약 그렇지 못하면 地下(지하)에 가서 어찌 李公(이공)을 뵈오리오 하고 慶尙水使李雲龍等十餘將(경상수사이운룡등십여장)으로 水陸(수륙)에 아울러 進擊(진격)하야 倭兵(왜병)을 大破(대파)하고 上(상)에게 勝戰(승전)을 告(고)하니 上(상)이 御使尹義立(어사윤의립)을 보내어 犒軍勞功(호군노공)하고 圖書姓名(도서성명)하야 不朽(불후)의 功蹟(공적)을 表(표)하여 特(특)히 銀冑金甲(은주금갑)과 馬上刀(마상도)를 下賜(하사)하니 事蹟(사적)이 釜山浦舟師(부산포주사) 軍圖(군도)에 記載(기재)하다. 

漢陰李公(한음이공)이 入侍時(입시시)에 上(상)이 可用(가용)할 人材(인재)를 물으심에 대답하되 湖南鄭如麟(호남정여린)니이다. 上(상)이 가로되 何邑人(하읍인)이며 지금 무슨 官職(관직)이며 지금 年齡(년령)은 몇인고 하니 대답하되 羅州人(나주인)이며 年齡(연령)은 四十(40)이요, 여러번 守宰(수재)와 鎭將(진장)이오나 그 才力(재력)이 여기에 그칠 사람이 아니라 하였다. 

漢陰李公(한음이공)이 讚詩(찬시)를 보내고 白沙李公(백사이공)도 讚詩(찬시)를 보내다. 公(공)이 入侍時(입시시)에 긴 수염을 옷속에 감춤에 上(상)이 그 이유를 물은즉 至尊(지존)한 앞에 감히 느릴 수 없습니다. 上(상)이 命(명)하야 수염을 느리니 길이가 尺餘(척여)라. 上(상)이 美髮(미발)라 하다.  

仁祖甲子(인조갑자)에 賊臣李适(적신이괄)이 關西(관서)에서 反逆(반역)이어늘 張公晩(장공만)이 平壤(평양)에 陣(진)을 치니 軍卒(군졸)이 數千(수천)에 不過(불과)하다. 그리하야 南北監兵使(남북감병사) 및 列邑守令(열읍수령)에 傳令(전령)하고 또 前府使鄭如麟(전부사정여린)에게 通文(통문)을 보내니 公(공)이 받아 보고 卽時(즉시) 入城(입성)하야 그 고을 원 李廷臣(이정신)을 만나 相議(상의)하고 또 明日(명일)로 軍兵(군병)을 몰아 出戰(출전)하야 萬分嚴守中(만분엄수중)에 敵群(적군)이 關西(관서)로부터 직접 京城(경성)을 侵犯(침범)하니 上(상)이 公州山城(공주산성)으로 避亂(피란)오다. 

이때 公(공)이 兵士二千(병사이천)을 거느리고 行在所(행재소)에 進謁(진알)하니 上(상)이 握手(악수)하고 크게 기특히 여겨 가로되 湖南五十州(호남50주)에 유독 鄭如麟(정여린)하나 뿐이냐하고 이내 江漢(강한)을 지키게 하고 防禦策(방어책)을 쓰다. 

大駕還宮(대가환궁)하야 鳩杖金帶(구장금대)를 下賜(하사)하고 特(특)히 鍾城都護府使(종성도호부사)로 除授(제수)하다. 乙丑年(을축년) 여름에 邊臣(변신)이 狀啓(장계)를 올리기를 鐵山(철산)의 暇島(가도)에 머물러있는 明將毛文龍(명장모문룡)이 우리 朝廷(조정)에서 보낸 詔使(조사)를 죽이고 우리나라에 쳐들어 올려고 한다는 것이었다. 그 이유는 明軍(명군)이 今運(금운)과의 遼東(요동)싸움에 敗(패)하여 不得已(부득이) 朝鮮(조선)에 머무르며 機會(기회)를 엿보려는데 支援(지원)은 커녕 遼東(요동)의 賊(적)과 內通(내통)을 하고 있다니 이것은 우리의 옛 恩惠(은혜)를 잊은 處事(처사)로 그대로 黙認(묵인)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이때 朝廷(조정)에서는 公(공)을 보내어 大怒(대노)하는 毛文龍(모문룡)을 懷柔(회유)시키고 이 어려운 難關(난관)을 벗어났던 것이다.  

丙子胡亂(병자호란)을 當(당)함에 公(공)이 年老(년노)하야 長子(장자) 濈(집)과 次子(차자) 潑(발)을 命(명)하야 白米四十八石(백미사십팔석)을 실어 보내어 軍糧(군량)을 도우고 羅諧鳳(나해봉) 等(등)으로 白馬津(백마진)을 지키니 畸翁鄭弘溟(기옹정홍명)이 公(공)의 忠義(충의)를 보고 稱嘆(칭탄)하다. 

南漢講和消息(남한강화소식)을 듣고 公(공)이 北向痛哭(북향통곡)하다. 甲辰(갑진)에 多大浦兵馬節制使(다대포병마절제사)가 되고 丙午(병오)에 固城縣令(고성현령)을 지내고 庚戌(경술)에 文川郡守(문천군수)가 되고 乙卯(을묘)에 慶源都護府使(경원도호부사)가 되어 嘉善(가선)으로 陞進(승진)하고 滿浦津兵馬使(만포진병마사)가 되다. 

七年丁卯(7년정묘)에 姜弘立亂(강홍립난)에 兵士(병사)를 거느리고 擊滅(격멸)시키다. 仁祖(인조)가 褒諭(포유)하시되 公(공)이 老矣(노의)라. 여러 亂(난)에 勝戰(승전)한 功勞(공로)는 오랜 가뭄에 단비와 같다하고 特(특)히 命(명)하야 慶源都護府使(경원도호부사)를 再授(재수)하다. 

公(공)이 性稟(성품)이 抗直(항직)하야 權勢(권세)와 富貴(부귀)에 빠지지 않아 큰 벼슬에 오르지 못하다. 壬辰(임진)으로부터 甲子(갑자)에 이르기까지 누차 國亂(국란)에 임하야 賊(적)을 만남에 바람같이 달려가고 民間(민간)을 봄에 봄바람같이 和(화)하니 그 自身(자신)은 잊고 오로지 君主(군주)에게 죽음을 바치니 그 忠誠(충성)은 오직 하늘에서 낸 天賦(천부)인 性格(성격)이다. 

當時(당시) 친구사귐에 當世(당세)의 賢人(현인)과 豪傑(호걸)과의 交遊(교유)하니 白沙李公恒福(백사이공항복)이요, 漢陰李公德馨(한음이공덕형)이요, 觀察使李公時(관찰사이공시) 이요, 兵使金公俊龍(병사김공준령)이요, 牧使具公鳳瑞(목사구공봉서)요, 松磵洪公千璟(송간홍공천경)이요, 孤山尹公善道(고산윤공선도)이다. 

그분들의 讚辭詩(찬사시) 및 輓章詩(만장시) 等(등)을 이루 다 記錄(기록)할 수 없다. 事蹟(사적)이 忠勳勝戰碑(충훈승전비)에 記載(기재)되다.  

庚辰(경진) 四月(4월) 初一日(초일일)에 自家(자가)에서 考終(고종)하시니 享年(향년)이 七十七(칠십칠)이다. 羅州西便白龍山下寅坐(나주서편백룡산하인좌)에 安葬(안장)하다. 純宗(순종) 四年(4년) 甲子(갑자)에 忠武祠(충무사)에 配享(배향)하다. 公(공)의 功蹟(공적)이 史記(사기)에 昭詳(소상)히 記載(기재)되었으니 敢(감)히 덧붙일 말이 없다. 

                            檀紀四千三百二十二年己巳二月 日 
                       成均館典學忠淸南道儒林會長 善山金大泳 謹撰 
                                原任成均館長 密陽后人 朴 重 勳 謹書

단기사천삼백이십이년기사이월 일
성균관전학충청남도 림회장 선산김대영 근찬
원임성균관장 밀양후인 박 중 훈 근서

아래와 같이 계보 파악 및 참고자료 붙임

系  譜 :  3卷 984    계보보기

4대파

少尹公諱佶派

 

중조(中祖)

滄洲公諱詳

 파계(派系)

  慶源府使公諱如麟派

  21世

고조(高祖)

諱承賢

증조(曾祖)

諱觀

조(祖)

諱念祖

고(考)

諱詳

  

14世諱如麟

景厚
 

山亭

 

 

明宗19甲子 1564

仁祖庚辰 4月1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