述先裕后 :조상을 계승하고 자손을 잘되게 함.先世記錄들을 奉讀하십시요. image(gif) 만듬:문정공24세손 병선

옛글사전-1
옛글사전-2
옛글사전-3

조선실록단어해설
한자 어조사

예기(禮記)

 



대종회장25대-27대
창주공15세손
광훈(光勳)


만든 후손
발전연구위원 간사
25대∼
일헌공15세손
병선(昺璿)



GO BACK
 

 

1991 辛未譜
第四編 先世遺稿
先世碑文

 

 

 

兵曹判書羅州鄭公諱軾永慕亭遺墟碑銘(幷)
               병조판서나주정공휘식영모정 허비명(병
) 

[역문]公(공)의 諱(휘)는 (식)이시니, 字(자)는 憑甫(빙보)시오. 又字(우자)는 敬瞻(경첨)이시며 號(호)는 永慕亭(영모정)이요. 本貫(본관)은 羅州(나주)라.

高麗文靖公雪齋先生(고려문정공설재선생)의 五世孫(5세손)이시다. 祖(조)의 諱(휘)는 有(유)이시니 嘉善大夫兵曹參判(가선대부병조참판)이요. 考(고)의 諱(휘)는 自新(자신)이시니, 資憲大夫兵曹判書(자헌대부병조판서)요. 妣(비)는 貞夫人全州崔氏(정부인전주최씨) 漢城判尹士戚(한성판윤사척)의 女(여)이시니, 太宗丁亥生(태종정해생)이시다. 

公(공)의 性品(성품)이 淸廉潔白(청렴결백)하사, 비록 훌륭한 집안에 태어났어도 素朴(소박)하게 지내시고 文學(문학)을 좋아하시되 벼슬하기 爲(위)함은 아니었으며 行動居處(행동거처)를 옛사람의 본을 따르시고 나쁜 世俗(세속)에 물들지 아니하시다. 

어려서부터 孝誠(효성)이 至極(지극)하야 부드러운 얼굴로 父母(부모)님의 뜻을 받들어 항상 기쁘게 하시니 巖軒申先生(암헌신선생)이 稱讚(칭찬)하기를 鄭某(정모)는 養志(양지)의 孝子(효자)라 하다. 

兄弟間(형제간)이 없고 兩親(양친)이 年老(년로)하여 벼슬하기를 싫어하시고 사람과 더불어 經史(경사)를 討論(토론)하시기를 게을리 않하시니 淡然(담연)한 寒士(한사)러시다. 

其後(기후) 庚申年(경신년)에 先考(선고) 吏判公(이판공) 喪(상)을 當(당)하야 哀痛(애통)으로 卒哭(졸곡)을 지낸후 山所(산소) 옆 감나무아래 墓幕(묘막)을 짓고 三年間(삼년간) 侍墓(시묘)를 살으시니 그나무 이름을 永慕亭(영모정)이라 하다. 

世上(세상) 사람이 모두다 감탄하고 故鄕(고향)의 羅先生(나선생)이 詩(시)를 지어 讚揚(찬양)하였다. 其後(기후) 平安咸吉道(평안함길도) 體察使從事官(체찰사종사관)으로 계실 때 世宗二十六年三月十九日(세종이십육년3월19일)에 大夫人(대부인)이 病患(병환)이 계시여 世宗大王(세종대왕)께서 親筆(친필)로서 너의 母病(모병)이니 올라와 보여라. 敎書(교서)를 내리시고 世宗三十二年九月(세종32년 9월)에 또 大夫人(대부인)이 病患(병환)에 계시여 上(상)이 親筆(친필)로써 너의 母病(모병)이니 速(속)히 올라오라. 下命(하명)하시었다. 

이달에 결국 大夫人(대부인) 喪(상)을 當(당)하야 哀痛(애통)하사. 또 侍墓(시묘)를 살면서 三年喪(삼년상)을 치르니 다시는 벼슬길에 오르지 않기로 決心(결심)하시고 朝廷(조정)에서 여러차례 불렀으나 나가지 않하시다가 不得已(부득이) 出仕(출사)하야 寶城郡守(보성군수)를 지내시는中(중) 治民治政(치민치정)에 功蹟(공적)이 많으시었다. 

咸吉道(함길도) 觀察使(관찰사)로 계시면서 野人賊(야인적) 李滿住(이만주)를 무찔러 大功(대공)을 이루시니 上(상)이 가상히 여기시어 錦城北三里之地(금성북삼리지지)를 賜牌(사패)하시고 奴婢(노비)를 賜給(사급)하사 永世(영세)토록 遺傳(유전)케 하시니 卽(즉) 世祖七年四月(세조7년4월)也(야)라.

其後(기후) 內職(내직)으로 承政院右副承旨兼經筵參贊官寶文閣直提學修文殿學士(승정원우부승지겸경연참찬관보문각직제학수문전학사)를 하시다.  

其後(기후) 上(상)께서 溫陽溫泉(온양온천)에 行次(행차)하사 沐浴中溫泉場(목욕중온천장)에 불이 나서 百官(백관)들은 驚惶(경황)하야 어쩔 줄을 모르는 次(차)에 公(공)이 홀로 火炎(화염)을 무릅쓰고 뛰어들어 玉體(옥체)를 업고 나오시니 수염이 다 타고 불티가 滿身(만신)하고 靴尖(화첨)도 탔었으니 可爲(가위) 임금만 알고 내 몸은 모르는 忠臣(충신)이라 하시며 上(상)께서 가상히 여기시어 卽席(즉석)에서 畵工(화공)을 불러 宮女(궁녀)로 하여금 술한잔을 권케 하시며 其肖像(기초상)을 그리게 하야 下賜(하사)하사 永世(영세)토록 功蹟(공적)을 빛나게 하도다. 

世祖十二年丙戌十月六日(세조십이년병술십월육일)에 正憲大夫兵曹判書中樞府同知事兼五衛都摠府都摠管(정헌대부병조판서중추부동지사겸오위도총부도총관)이 되신 후 公年(공년)이 周甲(주갑)이라 매양 引退(인퇴)하고자 하시나 上(상)이 더욱 隆寵(융총)하사 물러감을 許(허)하지 아니하시다. 

其後(그후) 丁亥三月十日(정해삼월십일)에 私宅(사택)에서 殞命(운명)하시니 上(상)이 들으시고 놀라시와 朝廷事(조정사)를 罷(파)하시고 禮官(예관)을 보내사 掌禮(장례)를 살피게 하시고 羅州西白龍山(나주서백룡산)에 禮葬(예장)으로 치르고 諡號(시호)를 景武(경무)라 賜贈(사증)하시다. 

肅宗癸酉(숙종계유)에 士林(사림)이 雪齋書院(설재서원)에 配享(배향)하시고 下賜(하사)하신 肖像影幀(초상영정)을 모시니 卽(즉) 羅州錦城山下永安村影堂御書閣(나주금성산하영안촌영당어서각)이라. 

高宗戊辰(고종무진)에 湖西士林(호서사림)이 發意(발의)하니 湖南(호남)에서도 聯合(연합)이 되어 羅州(나주)에 모신 影幀(영정)을 畵工(화공)을 불러 摹寫(모사)하야 忠南論山郡魯城面禾谷里(충남논산군노성면화곡리)에 또다시 影堂(영당)을 세우고 影幀(영정)을 모셨는데 其時(기시)에 公(공)의 十二世孫(십이세손) 鳳洙氏(봉수씨)가 竭誠(갈성)의 協贊(협찬)으로 이루어진 큰 爲先事業(위선사업)이었다. 그러나 그 影堂(영당)을 後孫(후손)이 家勢(가세)가 貧窮(빈궁)하고 誠意(성의)가 微弱(미약)하야 永世保存(영세보존)치 못하고 影堂(영당)은 廢墟(폐허)가 되고 影幀(영정)마저 燒却(소각)하였으니 참으로 부끄럽고 痛嘆(통탄)할 일이며 千秋(천추)에 恨(한)이 된다. 

其後)기후 百餘年(백여년)이 지난 己未年(기미년)에 不肖國漢昌浩(불초국한창호)가 諸宗(제종)이 發意(발의)한바 財力(재력)이 不及(불급)하야 影堂(영당)은 復元(복원) 못하고 다만 遺墟碑(유허비)만을 겨우 이에 세워 永世(영세)토록 保存(보존)코자 하노라. 

                     庚申仲春 十三世孫 國漢 謹撰
檀紀四千三百十三年
경신중춘 십삼세손 국한 근찬
단기사천삼백십삼년

아래와 같이 계보 파악 및 참고자료 붙임

系  譜 :  1卷 7     계보보기

4대파

少尹公諱佶派

 

중조(中祖)

諱  

 파계(派系)

  

  21世

고조(高祖)

諱佶

증조(曾祖)

諱文振

조(祖)

諱有

고(考)

諱自新

  

9世諱軾

憑甫
 

永慕亭

諡號

景武

太宗7 1407

世祖12 丁亥 1467年 3月10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