述先裕后 :조상을 계승하고 자손을 잘되게 함.先世記錄들을 奉讀하십시요. image(gif) 만듬:문정공24세손 병선

옛글사전-1
옛글사전-2
옛글사전-3

조선실록단어해설
한자 어조사

예기(禮記)

 



대종회장25대-27대
창주공15세손
광훈(光勳)


만든 후손
발전연구위원 간사
25대∼
일헌공15세손
병선(昺璿)



GO BACK
 

 

1991 辛未譜
第四編 先世遺稿
先世碑文

 

 

 

正憲大夫兵曹判書中樞府同知事兼諡號景武公鄭先生神道碑
                         (정헌대부병조판서중추부동지사겸시호경무공정선생신도비) 

[역문]鄭氏一族(정씨일족)이 羅州(나주)에 定着(정착)하여 本貫(본관)을 삼고 代代(대대)로 살아 터가 되고 各地(각지)에 ①飯囊(반낭)하니 그 수효를 헤아리지 못한다. 中葉(중엽)에 諱(휘)는 (식)이오, 字(자)는 憑甫(빙보)며 又字(우자)는 敬瞻(경첨)이고, 號(호)는 永慕亭(영모정)이니 雪齋書院(설재서원)에 配享(배향)되었다. 

그 先祖(선조)인즉 上祖(상조)의 諱(휘)는 諧(해)니 軍器監(군기감)에 追封(추봉)되었고 三世(삼세)를 傳(전)하여 諱(휘) 可臣(가신)은 壁上三韓三重大匡(벽상삼한삼중대광) 都僉議中贊(도첨의중찬) 修文殿大學士(수문전대학사)로 諡號(시호)는 文靖(문정)이며 號(호)는 雪齋(설재)로 學行(학행)이 世上(세상)에 일컬어지니 儒士(유사)의 ②編伍(편오)를 抗疏(항소)하였고, 崇佛(숭불)의 道場(도장)을 講罷(파)(강파)하였으니 일이 高麗史(고려사)에 실려있다. 

이로부터 世上(세상)에 ③圭組(규조)로 나타났다.

諱(휘) 佶(길)은 開城少尹(개성소윤)이요, 諱(휘) 文振(문진)은 寶城郡守(보성군수)요, 諱(휘)有(유)는 通政(통정)으로 知成川事(지성천사)니 이분이 公(공)의 祖考(조고)다. 考(고)의 諱(휘)는 自新(자신)이니 朝鮮朝(조선조)에 들어와 保功將軍(보공장군) 雄武侍衛司(웅무시위사) 大護軍(대호군)으로 綾城(능성) 等(등) 守令(수령)을 歷任(역임)하니 모두 治積(치적)이 있어 資憲大夫(자헌대부) 吏曹判書(이조판서)에 追贈(추증)되었으며 妣(비) 貞夫人(정부인)은 全州崔氏(전주최씨)로 漢城判尹(한성판윤) 士威(사위)의 딸이다. 

公(공)이 太宗七年丁(태종7년 1407)에 出生(출생)하니 性嚴淸簡直(성엄청간직)하여 비록 호화스럽게 자랐으나 마땅히 寒素(한소)로서 自處(자처)하여 經史(경사)를 博涉(박섭)하였고 義理(의리)를 탐책 探賾(탐색)하였으며 行動擧止(행동거지)에 반드시 古人(고인)을 사모하여 일찍이 世俗(세속)을 따르지 않았으며 어려서부터 孝道(효도)를 다하여 父母(부모)를 섬기되 和聲怡色(화성이색)으로 항상 그 뜻을 奉養(봉양)하니 巖軒申先生(암헌신선생)이 養志(양지)한 大孝(대효)라고 칭찬하였다 한다. 

世宗十四年壬子(세종14년 임자 1432)에 文科丙科(문과병과)에 及第(급제)하고 翌年(익년)에 宣務郞試東部令(선무랑시동부령)에 補職(보직)되니 公(공)이 獨子(독자)로서 父母(부모)이 나이 이미 늙어 出仕(출사)키를 즐겨하지 않고 定省之禮(정성지례)며 出反之節(출반지절)을 한가지도 踈忽(소홀)함이 없으며 그 틈을 타서 사람들과 經史(경사)를 討論(토론)하고 孜孜(자자)하여 게을리 아니하니 그 삶이 淡然(담연)하여 寒士(한사)와 같았다. 朝廷(조정)에서 職位(직위)로서 連召(연소)하였으나 모두 赴任(부임)치 않고 庚申(경신)에 父親喪(부친상)을 當(당)하니 哀毁(애훼)가 踰節(유절)하고 이미 葬禮(장례)와 卒哭(졸곡)을 마치고 墓(묘) 西(서)편 雙柿樹(쌍시수)아래 가닥 집을 쌓고 哀慕傷心(애모상심)하여 三年喪(삼년상)을 마치고 그 나무 이름을 永慕亭(영모정)이라 하니 世人(세인)이 感歎(감탄)치 않은이가 없었으며 服(복)이 끝남에 大夫人(대부인)의 命(명)으로 承訓郞(승훈랑) 禮佐田品擲奸使(예좌전품척간사)에 出仕(출사)하고 돌아와서 守吏曹正郞(수이조정랑)이 되어 大夫人(대부인)을 받들고 서울 집에 모시어 定省(정성)을 편안케 하였으며 議政府(의정부) 檢詳(검상)으로 옮겼다가 平安咸吉道(평안함길도) 都體察使從事官(도체찰사종사관)으로 나가던 途中(도중)에 大夫人(대부인) 病患(병환)으로 上(상)이 손수 書敎(서교)하기를 너의 어미가 得病(득병)하니 上來上見(상래상견)하라고 ④故諭(고유)하니 그때가 世宗二十六年甲子(세종26년갑자 1444) 三月十九日(3월19일)이다. 

뒤에 또 國葬都監判官(국장도감판관)을 지내고 重試(중시)에 合格(합격)했으며 議政府(의정부) 舍人(사인) 寶文閣(보문각) 知製(지제)로 平安咸吉道(평안함길도) 都體察使從事官(도체찰사종사관)으로 나갔는데 또 大夫人(대부인) 病(병)이 있어 上(상)이 또 손수 써서 下敎(하교)하기를 너의 어머니가 得病(득병)하였으니 速(속)히 올라와 相見(상견)하라고 故諭(고유)하니 이때가 世宗三十二年庚午(세종32년 경오 1450) 九月三日(9월3일)이었다. 

다음 寶文閣(보문각)으로 承召(승소)하였으나 이달에 母親喪(모친상)을 당하니 守喪(수상)을 한결같이 前喪(전상)처럼 하고 哀毁(애훼) 三年(삼년)에 거의 滅性(멸성)에 이르렀다. 

公(공)께서 兩親(양친)이 이미 돌아가심으로 榮達(영달)할 뜻이 없어 朝廷(조정)에서 여러번 불렀으나 일어나지 않했는데 마침내 아껴 ⑤遞命(체명)하니 不得已(부득이) 나가 知承文院(지승문원) 司諫院事(사간원사)로 寶城郡守(보성군수)가 되니 곧 海濱(해빈)의 땅으로 學問(학문)을 좋아하지 아니하니 公(공)이 郡子弟(군자제)를 뽑아 庠舍(상사)에서 會議(회의)하고 嚴(엄)하게 勸課(권과)하니 四年(사년)만에 儒和( 화)가 興隆(흥융)하였으며 庶民(서민)을 사랑하고 故老(고노)들게 물어 ⑥弊瘼(폐막)을 盡除(진제)하고 私捧(사봉)을 덜어 窮餓(궁아)를 救(구)하니 勸儉(권검)한 政事(정사)가 遠近(원근)에 소문이 나니 方伯(방백)l 연달아 ⑦褒啓(포계)하고 郡(군)에 잇은지 四年(사년)만에 다시 옮겨 承政院(승정원) 副承旨(부승지) 兼知經筵參贊官(겸지경연참찬관) 寶文閣(보문각) 直提學(직제학) 修文殿(수문전) 學士(학사)로 들어갔다. 

世祖五年己卯(세조5년 기묘 1459)에 咸吉道都觀察使(함길도도관찰사)가 되어 백성이 편하게 살 수 있는 方略(방략)을 힘써 다하여 官民(관민)이 樂業(낙업)하니 上(상)이 가상이 여겨 內官(내관)인 李存(이존)을 보내어 잔치와 옷 한벌을 下賜(하사)하였고 毛燐衛(모인위) 破江野人(파강야인)을 從征(종정)하여 賊(적) 李滿住(이만주)를 破(파)하고 大功(대공)이 있어 上(상)께서 嘉尙(가상)하게 여겨 특히 錦城(금성) 北(북)쪽 三十里(삽십리)의 땅을 賜牌(사패)하고 또 沿路州郡(연로주군) 및 奉常寺奴僕(봉상사노복) 等(등)을 下賜(하사)하여 그 所生(소생)을 永世(영세)토록 傳(전)케 하니 이일은 곧 世祖七年(세조7년 1461) 四月(사월)이다. 

大司憲(대사헌) 判漢城尹(판한성윤)으로 任命(임명)되어 條法(조법)을 嚴守(엄수)하여 豪貴(호귀)를 배부르게 아니하니 小民(소민)이 職業(직업)을 얻고 京師(경사)가 廟淸(묘청)되었다. 

知中樞院事(지중추원사)가 되어 宿弊(숙폐)를 革去(혁거)하니 朝廷(조정)에서 일컷기를 長德偉人(장덕위인)이라 하였으며 上(상)이 倚毗(의비)함이 자못 융숭했다. 일찍이 溫泉(온천)에 ⑧扈駕(호가)하였는데 行宮(행궁)에 불이나 百官(백관)이 驚惶(경황)하여 어찌할 줄 몰랐는데 公(공)이 혼자 戎服(융복)으로 불꽃을 무릅쓰고 들어가 등에 玉體(옥체)를 업으니 머리와 수염이 모두 타서 재가 땀에 젖어 몸에 가득하고 신 끝이 또한 문지러졌으니 가히 죽음을 무릅쓰고 避(피)하지 않고 聖主(성주)를 護衛(호위)하는 忠誠(충성)이 다만 임금만을 알고, 있는줄을 모르니 그 節操(절조)가 絶倫(절륜)하다 할 것이다. 

上(상)께서 특별히 嘉尙(가상)이 여기시고 곧 畵工(화공)을 앞에불러 무릅쓴 肖像畵(초상화)를 그리게 하여 寵賜(총사)하여 表(표)하기룰 永世不朽(영세불후)한 行蹟(행적)이라 하였다. 

뒤에 兵曹判書(병조판서) 中樞府同知事(중추부동지사) 兼五衛都摠府都摠管(겸오위도총부도총관)에 陞進(승진)되니 卽(즉) 世祖十二年丙戌(세조12년 병술 1466) 十月六日(10월6일)이다.  

公(공)의 나이 六十(육십)이 되도록 오랫동안 兵曹(병조)에 있어 깊히 盛滿(성만)함을 두려워하여 引退(인퇴)코자 하였으나 上(상)의 ⑨眷遇(권우)가 날로 높아져 그 가는 것을 許諾(허락)치 않했다. 丁亥年(정해년) 三月(삼월)十日(10일)에 卒(졸)하니 壽(수)는 六十一歲(61세)였다. 上(상)께서 들으시고 놀래고 슬퍼하여 朝會(조회)를 罷(파)하고 禮官(예관)을 보내어 祭物(제물)을 下賜(하사)하고 羅州(나주) 西(서)편 白龍山(백룡산)에 禮葬(예장)하고 景武(경무)라 贈諡(증시)하니 恩榮(은영)이 至大(지대)하였다. 

配貞夫人(배정부인)은 驪興閔氏(여흥민씨)로 二男(이남)을 두었으니 承賢(승현)은 監察(감찰)이요, 壽俊(수준)은 府使(부사)다. 장사한후 지금까지 表阡(표천)을 갖추지 못하다가 이제야 公(공)의 後孫(후손) 遇洪(우홍)이 장차 神道碑(신도비)를 세워 偉業(위업)을 闡揚(천양)하려고 함에 後孫(후손) 芝會 (지회)가 그 行狀(행장)을 품에 품고 成均館(성균관)으로 와서 내게 글을 請(청)하니 忠孝兼全(충효겸전)의 懿德(의덕)을 仰慕(앙모)하고 祖先崇奉(조선숭봉)의 美誠(미성)에 圭徂(규조)가 ⑩蟬聯(선련)하고 簪纓(잠영)이 顯赫(현혁)하네. 

公(공)이 世上(세상)에 태어남에 天資(천자)가 聰明(총명)이라. 經史(경사)를 博涉(박섭)하고 義理(의리)를 硏精(연정)했네. 타고난 至孝(지효)로 志體(지체)를 奉養(봉양)해 드렸네. 婉容(완용)한 和色(화색)으로 벼슬길에 나가지 않했네. 父親喪(부친상)에 草幕(초막)에 살면서 永慕亭(영모정)이라 이름 하였네. 

命(명)을 받들어 出仕(출사)하니 平咸監營(평함감영)이네. 母病侍湯(모병시탕)에 임금이 勤行(근행)하라 諭示(유시)하였네. 行宮(행궁)에 불이 나니 百官(백관)이 驚惶(경황)했네. 公(공)이 혼자 불꽃 무릅쓰고 犧牲(희생)을 돌보지 않았네. 수염이 타고 신이 무드러짐에 御命(어명)으로 畵像(화상)을 그리었네. 하늘로부터 命(명)을 받으니 忠孝(충효)에 정성을 다했네. 碑石(비석)에 길이 刻(각)하여 永遠(영원)히 和聲(화성)을 심네. 

                                               檀紀四三二三年庚午瑞陽節
成均館長 金敬洙 謹撰
成均館典禮委員長 姜正熙 謹篆
 
단기사삼이삼년경오서양절
成均館長 김경수 근찬
성균관전례위원장강정희 근전

註[주]

①飯囊(반낭):주머니속의 물건처럼 흩어 지지 않고 모여 산다는 뜻

②編伍(편오):隊伍를 編成함. 즉 儒林을 入隊시키는 듯

③圭組(규조):구슬과 그 끈이니 즉 벼슬집안을 말함

④故諭(고유):어떤 일로 임금이 신하에게 일러줌

⑤遞命(체명):다른 직책으로 바꾸어 명함

⑥弊瘼(폐막):폐단과 병폐

⑦褒啓(포계):朝廷에서 포상토록 報告함

⑧扈駕(호가):임금이 行次할 때 수레를 호위함

⑨眷遇(권우):임금이 돌보아 待遇해줌. 총애와 같음

⑩蟬聯(선련):연이어 계속됨

⑪豐碑(풍비):공덕을 기리어 세운 큰 비석

⑫闡揚(천양):명백하게 들어 나타냄

⑬婉容(완용)온화한 몸가짐

⑭貞珉(정민):굳고 고운 돌. 비석

⑮倚毗(의비):의지하고 신뢰함

⑯頗隆(파륭):매우 융성함

아래와 같이 계보 파악 및 참고자료 붙임

系  譜 :  1卷 7     계보보기

4대파

少尹公諱佶派

 

중조(中祖)

 파계(派系)

  

  21世

고조(高祖)

諱佶

증조(曾祖)

諱文振

조(祖)

諱有

고(考)

諱自新

  

9世諱軾

憑甫
 

永慕亭

諡號

景武

太宗7 1407

世祖12 丁亥 1467年 3月10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