述先裕后 :조상을 계승하고 자손을 잘되게 함.先世記錄들을 奉讀하십시요. image(gif) 만듬:문정공24세손 병선

옛글사전-1
옛글사전-2
옛글사전-3

조선실록단어해설
한자 어조사

예기(禮記)

 



대종회장25대-27대
창주공15세손
광훈(光勳)


만든 후손
발전연구위원 간사
25대∼
일헌공15세손
병선(昺璿)



GO BACK
 

 

1991 辛未譜
第四編 先世遺稿
行狀및 墓碣銘

 

 

 

[역문]贈通訓大夫行司憲府監察師竹軒鄭公行狀
(증통훈대부행사헌부감찰사죽헌정공행장)

公(공)의 諱(휘)는 洙賢(수현)이요 字(자)는 國一(국일)이며 號(호)는 師竹軒(사죽헌)이다. 本貫(본관)은 羅州(나주)이며 軍器監判事公(군기감판사공)인 諱(휘) 諧(해)가 始祖(시조)이며 三傳(삼전)하여 雪齋文靖公諱可臣(설재문정공휘가신)은 各(각) 上祖(상조)이다.

李朝(이조)에 들어와 諱(휘)는 薰(훈)이요 號(호)는 棄齋(기재)며 文(문)으로 監察(감찰)이니 錦城大君(금성대군) 瑜(유)를 順興(순흥) 適所(적소)에서 뵈옵고 端宗(단종)을 復位(복위)하려다 일이 누설되어 南海(남해)로 귀양 가니 薰(훈)의 아들 之雅(지아)가 禍(화)가 일어난 후에 落南(낙남)하여 咸平(함평)에 사니 咸平(함평)의 鄭氏(정씨)가 이로부터 시작된다.

孫子(손자) 以殷(이은)이 趙靜庵(조정암) 光祖(광조)에게 師事(사사)하여 己卯士禍(기묘사화)때 上疏(상소)하여 靜庵(정암)을 救(구)하려다 귀양을 갔었고 아들 國柱(국주)는 恩津縣監(은진현감)으로 仁宗(인종) 昇遐(승하)를 만나 河西(하서) 金文正麟厚(김문정인후)와 같이 벼슬을 버리고 바로 돌아왔고 再傳(재전)하여 縉(진)은 僉正(첨정)으로 壬辰倭亂(임진왜란)때 擧義殉節(거의순절)하여 宣武勳(선무훈)에 記錄(기록)되고 兵曹參議(병조참의)에 贈職(증직)되었으며

아들 舜卿(순경)은 成先生(성선생) 牛溪門人(우계문인)으로 ①遺逸(유일)로 執義(집의)가 되었는데 日本(일본)에 被虜(피로)되어 八年(8년)만에 放還(방환)되었는데 光海主(광해주) 廢母(폐모)에 人倫(인륜)을 밝힌 疏(소)를 올렸고

甲子年(갑자년) 李适亂(이괄란)에 軍功(군공)이 있어 吏曹判書(이조판서)에 追贈(추증)되었고 아들 有三(유삼)은 金先生(김선생) 沙溪門人(사계문인)으로 遺逸(유일)로 持平(지평)이니 丁卯年(정묘년) 虜變(노변)에 倡義(창의)하였고 丙子年(병자년)에 斥和(척하)하고 城(성)을 내려와 入山(입산)하여 不返(불반)하고 大明處士(대명처사)라 自號(자호)하였으며 再傳(재전)하여 泰垕(태후)는 遂菴(수암) 權尙夏(권상하) 門人(문인)으로 學者(학자)가 花山先生(화산선생)이라 稱(칭)하였으며蔭職(음직)으로 參奉(참봉)이며 戶曹佐郞(호조좌랑)에 贈職(증직)되니 公(공)의 五世以上(5세이상)이다.

高祖(고조) 亨蓍(형시)는 李陶庵縡(이도암재)의 門人(문인)이니 號(호)는 愼黙齋(신묵재)로 孝子(효자)로 旌閭(정려)되었고 監察(감찰)에 贈職(증직)되었으며 曾祖(증조) 碩之(석지)는 戶曹參議(호조참의)에 贈職(증직)되었고 祖(조) 邦郁(방욱)은 性潭宋先生(성담송선생)에게 師事(사사)하니 先生(선생)께서 號(호)를 靜窩(정와)라 命(명)하고 白雲洞(백운동)에 晩居(만거)하니 世上(세상)에서 雲洞處士(운동처사)라 稱(칭)하고 壽階同樞(수계동추)하고 學問(학문)으로 正卿(정경)에 贈職(증직)되었으며 考(고)는 致鍊(치련)이니 孝子(효자)로 禮議(예의)에 贈職(증직)되었고 一世(일세)를 ②駕軼(가질)하여 士友(사우)의 推重(추중)한바 되니 農隱(농은)은 그의 號(호)다.

妣(비) 利川徐氏(이천서씨)는 同樞(동추)인 應伯(응백)의 딸이니 無育(무육)하고 坡平尹氏(파평윤씨)는 監役(감역)인 陽鎭(양진)의 딸이니 다같이 淑人(숙인)에 贈職(증직)되었다.

公(공)이 哲宗(철종) 丙辰年(병진년 1856) 二月(이월) 二十日(20일)에 咸平縣(함평현) 東(동)쪽 葛洞坊(갈동방) 雲洞里(운동리) 집에서 出生(출생)하니 타고난 성품이 盈邁(영매)하고 客儀(객의)가 峻茂(준무)하며 겨우 말할 나이에 청개구리 소리를 듣고 母夫人(모부인)에게 묻기를 이 소리가 어찌 겨울에는 안들리고 지금은 들리느냐고 하자 어머님이 말하기를 가을에는 죽고 봄에는 살아난다 하니 다시 묻기를 사람도 또한 죽고 사는 것이 있습니까 하거늘 그렇다고 하니 公(공)이 울면서 말하기를 나의 父母(부모)도 반드시 면치 못하겠구나 하고 그로 인하여 젖을 먹지 아니하니 억지로 달랜 후에야 그쳤으며 父母(부모)가 아프면 젖도 잘 안 먹고 울지도 잘 않고 憂色(우색)이 있는 것 같았으며 六歲(6세)에 千字文(천자문)을 주니 묻기를 또한 盈昃(영측)이 있습니까 하고 史略(사략)을 읽을 때 묻기를 글이 있기 전이라 가히 고증할 수 없다고 하였는데 天皇氏(천황씨)와 地皇氏(지황씨)의 歷年(역년)은 누가 알아 누가 기록했습니까 하니

禮議公(예의공)께서 大奇(대기)하여 우리 집에 千里駒(천리구)가 있다하고 敎導(교도)하되 限定(한정)된 것을 넘지 아니하여 小學(소학)과 家禮(가례)로 修身(수신)과 御家(어가)의 근본을 삼고 孝經(효경)과四書(사서)로 事親(사친)과 ③頣義(신의)의 主(주)로 삼았으며 庭訓(정훈)에 擩染(유염)되고 勵志力學(여지역학)하니 成童(성동)되기 전에 德器(덕기)가 夙就(숙취)하여 이미 聖賢(성현)의 大意(대의)를 알았고 간간히 科擧(과거)공부를 하되 ④隨衆鶻突(수중골돌)하였으며 첫날 저녁에도 글을 외우니 동요들이 譏笑(기소)하면 公(공)이 말하길 大禹(대우)같은 聖人(성인)도 이에 寸陰(촌음)을 아끼거늘 하물며 나같은 駑質(노질)이 어찌 감히 스스로 편안하랴 하였다.

孝友(효우)가 하늘로부터 타고나 伯氏(백씨) 梅竹軒公洙英(매죽헌공수영)과 같이 事親(사친)하되 左右(좌우)에서 즐겁게 하였으며 ⑤小心洞屬(소심동속)하여 一出言(일출언) 一擧足(일거족)을 감히 마음대로 아니하며 항상 名節(명절)이나 생신날을 당하면 家中(가중)의 노복과 어진 이를 거느리고 涑水翁儀(속수옹이)로 拜省獻侑(배성헌유)하였으며 別途(별도)로 養親(양친)의 주방을 만들어 必有必請不可不知[필유필청불가불지-반드시 두면 반드시 請(청)할 것이니 알아두어야 한다]란 八字(팔자)를 써서 걸어놓고 不換藏(불환장)이라 이름하니 卽(즉) 古人(고인)이 하루 봉양하기를 三公(삼공)으로 바꾸지 아니한다는 뜻이다.

癸酉年(계유년)에 母夫人(모부인)이 落傷(낙상)하여 아프게되자 대변을 맛보고 하늘에 빌었으며 돌아가시자 슬픈소리가 이웃까지 들리어 초상범절에 유감이 없었으며 葬後(장후)에는 兄弟(형제)가 兄(형)은 居廬(거려)하고 동생은 守家(수가)하여 執禮(집례)가 더욱 독실했으며 終喪日(종상일)에 禮議公(예의공)이 病(병)에 걸려 심히 위독하니

公(공)이 醫員(의원)에게 가서 藥(약)을 지어 돌아오는데 夜深(야심)한데 鬼火(귀화)가 알을 引導(인도)하였고 달여 드리니 얼마동안 효험을 얻었으나 또 別症(별증)이 생기니 兄弟(형제)가 一體(일체)로 斫指(작지)하였고 또 손을 문틈에 넣고 注血(주혈)하니 三日(삼일)을 延命(연명)하였으며 歛襲凡節(감습범절)을 前喪(전상)과 한결같이 하였으며

또 兄弟(형제)가 侍墓守家(시묘수가)를 전같이 하여 날마다 墓(묘)에 절을 하니 墓前(묘전)의 무릎닿은 곳이 패이고 풀이 나지 않았으며 墓松(묘송)에 벌레가 있어 손으로 잡으면서 訓戒(훈계)하니 벌레가 이에 自滅(자멸)하니 그때 地主(지주)인 趙璋熙(조장희)가 親(친)히 와서 慰勞(위로)하고 歎賞(탄상)하기를 大連(대련)과 小連(소련)의 孝道(효도)를 옛날에 그 말을 들었는데 이제 이사람을 본다 하고 贈詩(증시)하기를

天下人間父母心(천하인간부모심) 生男皆願孝誠深(생남개원효성심) 人生豈盡人人孝(인생기진인인효) 孝子家門孝子尋(효자가문효자심) [천하사람 부모마음은 아들 낳아 모두가 孝誠(효성)이 깊기를 원하네. 사람이 어찌 사람마다 孝道(효도)를 다하리오. 孝子(효자)의 家門(가문)에서 孝子(효자)를 찾네]라 하고 넉넉한 賻儀(부의)로서 表(표)하였다.

兄弟(형제)가 友愛(우애)하여 同堂三十年(동당삼십년)에 椿津(춘진)의 아름다움을 이루고 집가에 ⑥紫荆花(자형화) 三株(삼주)를 심고 날마다 그 아래서 嘯詠(소영)하여 詩(시)가 있으니 田眞遺蹟每恩之(전진유적매은지) 兄弟三人嘯詠之(형제삼인소영지) 到今指樹深爲誓(도금지수심위서) 但願長春無恙之(단원장춘무양지) 『田眞(전진)의 遺蹟(유적) 항상 생각하니 兄弟三人(형제삼인)이 嘯詠(소영)했네. 지금에 指樹(지수)하여 깊은 맹세하는 것은 다만 長春(장춘)하여 無恙(무양)하길 願(원)하노라』하였다.

梅軒公(매헌공)이 棄世(기세)함에 公(공)이 痛恨(통한)하여 살고자 않았으며 孤姪(고질)을 撫訓(무훈)하고 寡嫂(과수)를 承奉(승봉)하되 안팎의 크고 작은 일을 반드시 寡嫂(과수)에게 協議(협의)한 뒤에 行(행)하였다.

高宗(고종) 甲申年(갑신년 1884)에 繡衣使道(수의사도)가 朝廷(조정)에 褒薦(포천)하기를 忠賢(충현)의 後孫(후손)이 兄弟(형제)가 孝友(효우)하니 마땅히 彰善(창선)의 政事(정사)를 베풀어야 한다고 하여 이에 같이 旌閭(정려)하였으며 梅軒公(매헌공)에게는 監察(감찰)에 贈職(증직)되고 公(공)에게는 孝陵參奉(효능참봉)에 任命(임명)하니 굳이 林樊(임번)을 지키고 인하여 就職(취직)치 않았다.

그때 列彊(열강)이 爭衡(쟁형)하여 말발굽이 國內(국내)에 요란하니 慨然(개연)히 科擧(과거)를 보지 않고 壬辰年(임진년) 五月(오월)에 沈相公(심상공) 舜澤(순택)이 純孝篤行(순효독행)으로 임금께 아뢰어 司憲府監察(사헌부감찰)에 任命(임명)하니 公(공)이 就任(취임)치 않고 말하기를 父母(부모)님 生覺(생각)이 얽혀 悲痛(비통)하니 비록 영화로운들 어찌 기쁘리오. 나의 좋아 한 바를 조친것만 같지 못하다 하고 드디어 글읽기에 힘써 四子心經(사자심경)과 性理諸書(성리제서)를 부지런히 服膺(복응)하여 晝夜(주야)로 게을리 하지않고 別途(별도)로 書室(서실)을 만들어 十日(십일)마다 講(강)을 베풀고 春秋(춘추)에 鄕飮禮(향음례)를 行(행)했으며 家貧(가빈)하여 공부를 못한자가 있으면 반드시 이끌어 敎育(교육)시켰다.

甲午年(갑오년)에 東學(동학)이 크게 성하니 斥邪文(척사문)을 지어 坊曲(방곡)을 曉諭(효유)하였고 乙未年(을미년)에 明成皇后(명성황후)가 遇害(우해)했다는 소식을 듣고 痛哭飮血(통곡음혈)하고 말하기를 今日(금일) 臣民(신민)이 같이 못할 원수가 있으니 글을 올려 朝廷(조정)을 叫諱(규휘)코자한데 沈宰相(심재상)의 말린바가 되어 이에 그쳤으며

仁王山(인왕산)에 올라가 눈물을 씻으면서 읊기를 君遷母殺吾安適(군천모살오안적) 涉彼王山誦匪風(섭피왕산송비풍) 風雨淒淒膣欲裂(풍우처처질욕열) 靑天何日報丹忠(청천하일보단충)『임금은 옮겨지고 國母(국모)는 殺害(살해)되니 내 어디로 갈 것인가 저 仁王山(인왕산)에 올라가서 詩傳匪風章(시전비풍장)이나 외울라네. 風雨(풍우)는 쌀쌀하여 창자는 터지고자 한데 靑天(청천) 어느날에 忠心(충심)을 알릴거냐』하였고 剃髮(체발)한다는 소식을 듣고 탄식하기를 우리 東邦(동방)이 생긴 후로 처음있는 일이니 이 머리를 깍는 것은 天地(천지)가 눈물이요 山川(산천)리 피로구나 하였다.

丙申年(병신년)에 奇宇萬(기우만)이 道內(도내) 선비들과 같이 擧義討復(거의토복)함에 公(공)이 奮然(분연)이 起動(기동)하여 말하기를 今日(금일)에 다시 雲間月(운간월)과 비온 뒤 山(산)의 氣像(기상)을 보겠다 하고 羅州(나주)에 모일 것을 期約(기약)하였으나 일이 敗(패)하여 돌아와서 山水(산수)를 放浪(방랑)하여 金剛山(금강산) 毗盧峰(비로봉)에 올라 東海(동해)의 물결을 굽어보고 宋京(송경)에 이르러 舊朝文物(구조문물)을 대강 짐작하고 華陽洞(화양동)에 들어가 皇靈(황령)께 吊慰(적위)하여 下泉(하천)의 感動(감동)을 부치고 崔逸庵(최일암) 宋淵齋(송연재) 宋心石(송심석) 兄弟(형제)를 뵙고 돌아와

林盧(임로)에 누워 그 室(실)에 扁額(편액)하기를 師竹(사죽)이라 하고 晩節(만절)의 計劃(계획)을 세웠고 庚戌年(경술년) 후로는 西溪上(서계상)을 서성거리면서 一絶(일절)을 읊으니 東海未投跡(동해미투적) 西溪謾濯纓(서계만탁영) 安將此溪水(안장차계수) 願爲天下淸(원위천하청) 『東海(동해)에 자취를 던지지 못하고 西溪(서계)에서 부질없이 갓끈을 씻네. 어떻게 이 溪水(계수)를 잡아 天下(천하)가 맑아지길 願(원)하노라』하였으니 저것을 이른바 思金(사금)하다 물리치니 秦(진)나라 金(금)은 받지 않겠다는 盟誓(맹서)가 된다.

그 討復(토복)의 뜻은 朱子(주자)께서 말한 아픔을 참고 원통함을 머금어 협박해도 不得己(부득기)하다.『忍痛含怨迫不得己(인통함원박부득기)』八字(팔자)가 가슴속에 있는것이다. 이해 十一月二十四日(11월24일)에 이르러 病(병)이 甚(심)하여 일어나지 못하니 나이 겨우 五十五歲(55세)였다.

時代像(시대상)이 날로 굴러가고 일의 難測(난측)한데 잘 志節(지절)을 保存(보존)하고 名分(명분)을 잃지 아니하여 居家(거가)에 和睦(화목)으로서 張公藝(장공예)의 忍字(인자)를 잊지 말것이며 處事(처사)에 義理(의리)로서 항상 昭烈(소열)의 善言(선언) 等(등) 글자를 생각하라 하니 公(공)이 죽기직전의 無戒(무계)한 大槪(대개)다. 葬地(장지)는 本郡(본군) 葛洞坊(갈동방) 鰲首山(오수산) 東麓(동록) 辛原(신원)에 있었으나 本面(본면) 陰地村前(음지촌전) 抱卯洞(포묘동) 先兆右嶝(선조우등) 丙坐(병좌)에 移葬(이장)하여 雙兆(쌍조)다.

아! 人道(인도)가 세가지나 있으니 學(학)과 行(행)과 功業(공업)이다. 公(공)의 才學(재학)이 能(능)히 達通(달통)치 못하였으나 功業(공업)의 위에 있되 施行(시행)되들 못했으나 그러나 行(행)으로서 말한다면 十訓(십훈)을 만들어 家庭(가정)을 가르쳤으니 一曰(일왈) 事親(사친)이오. 二日(이일) 奉祀(봉사)요. 三日(삼일) 隆師(융사)요. 四日(사일) 敦睦(돈목)이요. 五日(오일) 勸學(권학)이요. 六日(육일) 講禮(강례)요. 七日(칠일) 愼言擇交(신언택교)요. 八日(팔일) 崇儉節用(숭검절용)이요. 九日(구일) 接賓恤窮(접빈휼궁)이요. 十日(십일) 戒酒遠色(계주원색)이니 다만 이 여러가지를 넓혀 채운다면 德(덕)이 가추지 않은 것이 없고 善(선)을 다 쓰지 못 할것이다.

學(학)으로써 말한다면 그 心性(심성)과 理氣(이기)를 論(론)하기를 心性(심성)과 理氣(이기)는 元來(원래) 서로 떠나지 아니하나 그러나 心氣(심기)는 스스로 心氣(심기)요 性理(성리)는 스스로 性理(성리)다. 帥役(수역)과 子賊(자적)의 區分(구분)이 있으니 性理(성리)는 帥(수)며 子(자)요. 心氣(심기)는 投(투)며 賊(적)이다.

만일 마음이 性(성)이라고 認識(인식)하고 氣(기)가 理(이)라고 認識(인식)한다면 이것은 天壤(천양)의 易(역)으로 轉移(전이)의 사이에 있다. 但(단) 氣(기)의 精爽(정상)이 不囿不局(불유불국)하여 理(이)와 같이 無間(무간)하나 그러나 氣(기)의 界分(계분)이 또한 여기에 있으니 역시 알지 않으면 안 된다 하였고 또 人心(인심)과 道心(도심)을 論(논)하되 性命(성명)에 근원을 둔즉 道心(도심)이라 할 것이오. 形氣(형기)에 나타나면 人心(인심)이라 할 것이니 人字(인자)는 身字(신자)와 같으니 내 몸이 있으면 人心(인심)이 없지 않음으로 朱子(주자)가 말하기를 비록 上知(상지)라도 人心(인심)이 없는 것이 아니다 함이 이것이다 하였으니 이는 公(공)이 모두 心得躬行(심득궁행)하고 스승에게 質凝(질응)하고 벗에게 講(강)한 正論(정론)이다.

公(공)이 質厚(질후)하되 才敏(재민)하고 外明內寬(외명내관)하여 終日塑生(종일소생)하여 神明(신명)을 對(대)하듯 하며 應接事爲(응접사위)에 擧止(거지)가 凝重(응중)하니 참으로 篤學力行(독학력행)의 君子(군자)다. 世上(세상)에 有力者(유력자)가 없어 수레바퀴를 밀었으나 마침내 ⑦坎壈(감람)하여 죽으니 哀惜(애석)하다.

配(배)는 淑人靑松沈氏(숙인청송심씨)로 忠臣(충신)인 參判友信(참판우신)의 後孫(후손)이요. 孝旌(효정)한 持平能文(지평능문)의 딸이니 溫惠貞淑(온혜정숙)하고 配德無違(배덕무위)하며 子孫(자손)을 敎養(교양)하되 勸學成家(권학성가)하니 六親(육친)이 모두 칭찬하였다.

二男一女(이남일녀)를 두었으니 男(남) 謹兌(근태)는 일찍 奇松沙(기송사)에게 師事(사사)하여 篤學力行(독학역행)으로 橘頌(귤송)을 賦(부)한데 가까웠으며 敬兌(경태)는 性稟(성품)이 至孝(지효)하여 나이 十三歲(13세)에 己酉亂(기유난)을 당하여 賊(적)이 分親(분친)을 害(해)하려 하자 칼날을 무릅쓰고 代身(대신)하기를 애걸하니 賊(적)이 孝道(효도)에 感動(감동)하여 물러갔다. 父親喪(부친상)을 당하여 斫血致孝(작혈치효)하였으며 딸은 鄭京謨(정경모)에게 出嫁(출가)하니 東萊人(동래인)이다. 槿兌(근태)의 아들은 炳式(병식)과 炳德(병덕)이요. 敬兌(경태)의 아들은 炳淥(병록)이며 나머지는 어리다.

<註>

①遺逸(유일):學德(학덕)이 있는분이 官界(관계)에 나가지 않고 숨어 삶

②駕軼(가질):普通(보통)보다 뛰어남. 出衆(출중)하여 휩쓰름

③頣義(신의):뜻을 기름

④隨衆鶻突(수중골돌):여러사람들의 分明(분명)치 못한 일을 따름

⑤小心洞屬(소심동속):마음이 조마조마하여 조심하고 공경하는 것

⑥紫荊花(자형화);박태기 나무

⑦坎壈(감람):뜻을 얻지 못한 모양

歲庚申年暮春 完山 李承旭 謹撰
세경신년모춘 완산 이승욱 근찬

 

아래와 같이 계보 파악 및 참고자료 붙임

系  譜 : 5卷 746   계보보기

4대파

指諭公諱億派

 

중조(中祖)

諱薰

 파계(派系)

逸齋公諱以殷派

  21世

고조(高祖)

諱亨蓍

증조(曾祖)

諱碩址

조(祖)

諱邦郁

고(考)

諱致鍊

  

25世 諱洙賢

國一

 

師竹軒

 

 

哲宗7丙辰 1856年 2月20日

高宗庚戌 1910年 11月24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