述先裕后 :조상을 계승하고 자손을 잘되게 함.先世記錄들을 奉讀하십시요. image(gif) 만듬:문정공24세손 병선

옛글사전-1
옛글사전-2
옛글사전-3

조선실록단어해설
한자 어조사

예기(禮記)

 



대종회장25대-27대
창주공15세손
광훈(光勳)


만든 후손
발전연구위원 간사
25대∼
일헌공15세손
병선(昺璿)



GO BACK
 

 

1991 辛未譜
第四編 先世遺稿
行狀및 墓碣銘

 

 

 

贈通訓大夫行司憲府監察愛梅軒鄭公事狀
             (증통훈대부행사헌부감찰애매헌정공사장)

[역문]하루는 鄭君 鎔兌氏(정군 용태씨)가 千里(천리)길을 걸어와서 나의 病室(병실)에 들려 말하기를 나의 先親(선친)과 始終善行(시종선행)과 前後(전후) 褒貤(포이)의 實的(실적)을 묻혀버릴 수가 없어 傳來(전래)한 本狀(본장)과 合(합)하여 删潤(산윤)한 것이 있으니 다행이도 名公(명공)께서는 민망하오나 裁定(재정)하여 한 말씀 남겨주소서 한지라 내가 일어나 대답하기를 옳도다 그대의 말이여 남은 사람이 있어 事實(사실)을 고증하여 闡揚(천양)코자 하거늘 하물며 孝子(효자)의아들로 爲先(위선)을 하는데 等閒(등한)히 보고 泯沒(민몰)하게끔 맡겨 두리오.

삼가 살펴보건데 公(공)의 諱(휘)는 洙英(수영)이오 字(자)는 乃燦(내찬)이며 愛梅軒(애매헌)은 그의 自號(자호)다. 羅州鄭氏(나주정씨)는 海東(해동)의 大家(대가)요 湖南(호남)의 望族(망족)으로 譜系(보계)는 軍器監公(군기감공) 諱(휘) 諧(해)가 始祖(시조)가 되고 三傳(삼전)하여 文靖公(문정공) 諱(휘) 可臣(가신)에 이르니 이분이 名祖(명조)가 된다.

高麗朝(고려조)에서 李朝(이조)에 이르러 事功名德(사공명덕)이 史乘(사승)에 炳載(병재)하니 그 世代(세대)가 번거롭지 않다. 譜(보)에 이르기를 亨蓍(형시)의 號(호)는 愼黙齋(신묵재)니 陶庵先生(도암선생) 李文正(이문정)의 門人(문인)이며 孝(효)로 旌門(정문)을 命(명)하였고 童蒙敎官(동몽교관) 監察(감찰)에 贈職(증직)되었으며 碩之(석지)는 戶參(호참)에 追贈(추증)되었고 邦郁(방욱)은 宋性潭(송성담) 高弟(고제)로 先生(선생)께서 號(호)를 정와라 命(명)하였고 壽(수)로 同樞(동추)며 致練(치련)은 孝(효)로 持平(지평)에 贈職(증직)되었고 號(호)는 農隱(농은)이니 公(공)에게는 高祖以下(고조이하) 三世(삼세)다.

妣(비)는 利川徐氏(이천서씨)로 同樞(동추) 應伯(응백)의 딸이니 ①結縭後(결리후)에 卒(졸)하고 계비는 坡平尹氏(파평윤씨)로 監役陽鎭(감역양진)의 딸이니 다같이 淑人(숙인)에 贈(증)하였다.

尹夫人(윤부인) 꿈에 愼黙公(신묵공)이 지름 한치의 寶珠(보주)를 주니 光彩(광채)가 滿室(만실)한 한덩이를 보고 임신이 되어 憲宗(헌종) 癸卯年(계묘년 1843) 九月二十九日(9월29일)에 公(공)이 葛洞(갈동)의 雲洞舊第(운동구제)에서 出生(출생)하니 稟賦(품부)가 秀異(수이)하고 聰敏(총민)이 絶人(절인)하여 讀書(독서)를 잘하여 先生(선생)님을 수고롭게 아니하고 學業(학업)이 日就(일취)하여 科場(과장)에서 시험에 재주를 겨루어 많은 聲譽(성예)가 있었다.

丙寅年(병인년) 西警後(서경후)로 科擧工夫(과거공부)를 廢止(폐지)하고 오로지 自身(자신)을 爲(위)한 學問(학문)에 힘써 舜(순)은 무엇이며 나는 무엇이냐는 마음으로 삼고 혼자 寒暄先生(한훤선생)을 항상 말하기를 先生(선생)은 豪傑(호걸)한 재주와 篤實(독실)한 學問(학문)으로 小學童子(소학동자)라고 自稱(자칭)하거늘 하물며 後生(후생)의 萬(만)에 萬(만)이라도 미치지 못한 者(자)는 마땅히 그 공력을 百倍(백배)나 더함이 可(가)하다 하고 글을 새벽까지 읽고 敬義二字(경의이자)를 座右(좌우)에 特書(특서)하여 항상 곁에 모시고 應對(응대)하고 進退(진퇴)하며 昏定晨省(혼정신성)하여 한결같이 어버이 뜻을 承順(승순)함을 일삼았으며 農隱公(농은공)이 性稟(성품)이 嚴正(엄정)하고 사람들보다 지나쳐 일찍 怒(노)하여 尹夫人(윤부인)에게 핍박하면 夫人(부인)이 이웃집에 避(피)해있으면서 水穀(수곡)을 不接(부접)하니 公(공)이 百方(백방)으로 간절히 빌어 水菽(수숙)을 供饋(공궤)하기를 한번도 怠忽(태홀)함이 없었으며 혹시 아버지의 怒(노)하심을 어기기 어려워 가만히 梧桐(오동)잎새를 따서 솥에서 밥을 싸서 받치니 이렇게 하기를 무릇 한달이나 하였다. 따라다니면서 울면서 諫(간)하여 마침내 嚴父(엄부)의 노여움을 咸回(함회)시켰고 母夫人病(모부인병)에 밤이면 禱天(도천)하고 낮이면 合藥(합약)하여 대변을 맛보고 종기를 빨며 다하지 아니한것이 없다.

癸酉年(계유년)에 母親喪(모친상)을 當(당)하여 酒肉(주육)을 먹지 않고 經帶(경대)를 벗지 않했으며 동생에게 집을 지키게 하고 대자리를 받들고 몸소 墓下(묘하)에 廬幕(여막)을 치고 슬픔을 다하니 이에 두 마리 白兎(백토)가 幕(막)아래로 가까이 와서 이리저리 깡충깡충 뛰면서 弔慰(조위)한 모양 같더니 드디어 耦居(우거)하여 새끼를 낳으니 쓰다듬고 길들이니 이는 옛날의 蔡邕事(채옹사)가 再現(재현)한 것 같다.

山(산)허리에 물이 없어 널리 求(구)할 때 토끼가 발을 들어 샘 있는 곳을 그어 보임으로 파본즉 샘물이 湧出(용출)했으며 혹시 路人(로인)이 마시면 忽變(홀변)하며 三年(3년)이 지나야 물맛이 復舊(복구)되었으며 公(공)이 出入(출입)한 마당가에 桐木(동목)을 붙들고 涕泣(체읍)하니 梧桐(오동)이 이에 말라버렸다.

乙亥年(을해년)에 農隱公(농은공)이 아파서 ②甚濱(심빈)하니 바로 脫服(탈복)한 다음이다.

醫員(의원)도 奏效(주효)가 없어 兄弟(형제)가 同心(동심)하여 앞을 다투어 裂指注血(열지주혈)하니 二日(이일)을 延命(연명)하다 卒(졸)하니 歛龍凡節(감룡범절)을 한결 前喪(전상)같이 하고 葬死(장사)하려고 할 때 미리 坐向(좌향)을 잡으려고 한데 二兎(이토)가 또 와서 천광에 엎드려 東(동)쪽을 가리키면서 머리를 끄덕이여 이로 因(인)하여 向卯(향묘)하였으며 墓(묘)곁에 廬幕(여막)을 치고 朝夕(조석)으로 哭奠(곡전)하며 죽을 마시며 빗질을 廢(폐)하고 二兎(이토)가 항상 護衛(호위)하여 廢廬(폐여)하여도 즐겨 등돌려 가지아니하며

그때 丙子年(병자년) 酷毒(혹독)한 가뭄을 만났는데 哭拜(곡배)한 餘暇(여가)에 호미로 幕下(막하)에 二斗落(이두락) 땅을 다스려 밤낮으로 물을 대여 몸소 勞苦(노고)하여 세철 糧食(양식)을 이으니 遠近吊客)(원근적객)이 詩(시)로써 慰勞(위로)하여 아직도 傳(전)함에 侍墓洞兎泉廬田(시묘동토천여전)이라고 한것은 後人(후인)의 稱(칭)이다. 喪期(상기)를 마치는 날에 祭祀(제사)하기 위하여 집에 돌아옴에 夜氣(야기)가 淸朗(청랑)하여 한 가닥 瑞氣(서기)가 墓(묘)로부터 집에 뻗치니 祭祀(제사)를 마치고 哭(곡)하면서 墓(묘)에 오른즉 동이 트지 않았는데 문득 神火(신화)가 있어 촛불 같아 左右(좌우)로 줄을 지어 隨行(수행)하다 그치니 사람들이 孝感(효감)의 所致(소치)라고 하였다.

公(공)이 平日(평일)에도 叱咤(질타)의 소리가 大馬(대마)에게도 미치지 않으며 念勵(염려)의 기운이 面目(면목)에 나타나지 않았으며 매양 忌日(기일)을 當(당)하면 室堂(실당)을 灑掃(쇄소)하고 몸소 器血(기혈)을 시처 精潔(정결)에 힘썼으며 俯伏(부복)하여 새벽까지 있었으며 省墓(성묘)하기를 日課(일과)로 하여 盛寒谣雨(성한요우)에도 廢(폐)하지 안했으며 밤이면 울음소리를 듣고 일어나 양치질과 머리를 빗고 衣冠(의관)하고 敬齋箴(경재잠)과 西銘圖(서명도)를 외운 후에 祠板(사판)에 徃參(徃참)하고 돌아와서 詩傳(시전)을 읽으며 蓼莪篇(요아편)에 이르러서는 처음부터 세 번을 읽고 눈물을 흘리니 孝(효)의 지극함이 아니면 능히 그렇게 하리요. 子姪(자질)을 경계하되 義方(의방)으로 하고 공경으로 接入(접입)할 때는 사람이 감히 무례한 짓을 못하며 善(선)으로서 달램에 사람들이 스스로 感服(감복)하며 哀慶患難(애경환난)이 있으면 살피지 않은 곳이 없으니 또한 그 德美(덕미)가 充積(충적)한 符驗(부험)이다.

性品(성품)이 梅花(매화)를 사랑하여 梅軒(매헌)이라 揭實(게실)하고 詩(시)를 지어 뜻을 보이고 매양 新曆(신력)을 보면 반드시 淸(청)나라 年號(년호)를 削去(삭거)하였으며 丙寅洋禍(병인양화)로부터 以來(이래)로 丙子年(병자년) 納洋時(납양시)에 이르기까지 비록 家庭用(가정용)이라도 洋物(양물)을 嚴禁(엄금)하니 대개 西塵(서진)에 물들지 않은 뜻에서 나온 것이다. 갑자기 今上(금상) 癸未年(계미년) 十二月(12월) 十五日(15일)에 卒(졸)하니 壽(수)는 四十一歲(41세)니 아깝다.

쌓인것은 厚(후)하되 發(발)한 것은 薄(박)하니 거의 公(공)의 이름이로되 朝廷(조정)에서 듣고 그 至孝(지효)에 感動(감동)하여 乙酉年(을유년)에 이르러 旌閭(정려)와 監察(감찰)이란 褒貤(포이)의 恩典(은전)이 거듭 나리니 公(공)같은 분은 後生(후생)에게 儀範(의범)이 되며 衰俗(쇠속)에 激勵(격려)하니 아! 盛(성)하도다.

葬地(장지)는 本面(본면) 鰲首山下(오수산하) 陷井頭(함정두) 西原(서원)에 있었으니 卽(즉) 公(공)이 시묘 살이 하든 빈터의 後麓 (후록)이다. 本面(본면) 陽亭里(양정리) 古亭村后(고정촌후) 山頂嶝(산정등) 曾祖考(증조고) 墓下(묘하) 卯坐(묘좌)로 雙兆(쌍조)다. 配(배)는 晉州鄭氏(진주정씨)로 監察(감찰) 之球(지구)의 딸로 淑人(숙인)에 封(봉)하고 公(공)보다 二年(2년) 먼저 辛丑年(신축년) 二月(2월) 六日生(6일생)이니 性稟(성품)이 溫惠端莊(온혜단장)하여 시부모를 섬기되 상냥하고 순종했으며 君子(군자)를 받들되 和(화)하고 공경하였으며 시부모가 돌아가심에 泣血盡哀(읍혈진애)하였으며 남편이 病(병)들어 살을 잘라 죽에 타서 효험을 얻으니 鄕里(향리)에서 모두 孝烈婦(효열부)라 칭찬하였으며 사람의 飢寒(기한)을 보면 반드시 衣食(의식)을 주어 愛恤(애휼)하니 어찌 그 盛(성)함인가?

二男(이남)을 기르니 長男(장남)은 鎔兌(용태)로 好古尙志(호고상지)하여 先祖(선조)의 아름다움을 받들고 次男(차남)은 爀兌(혁태)다. 鎔兌(용태)의 配(배)는 光山金氏(광산김씨)로 士人(사인) 洪穆(홍목)의 딸이며 忠壯公(충장공) 德齡(덕령)의 後孫(후손)으로 婦德(부덕)이 甚備(심비)하였으며 爀兌(혁태)는 아직 未冠(미관)이다. 드디어 本狀(본장)에 依(의)하여 右(우)와 같이 檃括(은괄)하니 知德者(지덕자)의 고증을 기다리며 또 위하여 贊(찬)하노니,

錦城(금성)의 華閥(화벌)로 源派(원파)가 流長(유장)하네. 능히 先祖(선조)의 事業(사업)을 이어받아 發揮(발휘)하여 확실히 나타났네. 孝道(효도)는 黙齋 (묵재)의 뒤를 이었고 學問(학문)은 暄堂(훤당)에 傳受(전수)했네. 血指(혈지)하고 居廬(거려)함에 털끝만치도 억지가 없네. 兄되기도 어렵고 동생되기도 어려워 大小喪(대소상)을 잘 치루었네. 토끼 보면이 누군고 하느님께 感祥(감상)했네. 秉執(병집)이 이뜸으로 華夷(화이)를 大防(대방)했네. 實望(실망)을 진실로 믿어 名望(명망)이 넘치었네 한번 궁중에 이르니 明主(명주)께서 향기를 들었네. 雙闕鳥頭(쌍궐조두)를 사람들이 瞻望(첨망)하네. 福祿(복록)이 秩秩(질질)하고 子孫(자손)이 綿綿(면면)하네. 그 아름다운 德(덕) 기록하여 百世(백세)토록 永傳(영전)하리라.

<註>

①結縭(결리):시집가는 것. 여자가 시집갈 때 母親(모친)이 수건을 그의 허리띠에 묶어 주는 것

②甚濱(심빈):죽음에 가까움

副承旨靑松 沈東獻 謹撰
부승지청송 심동헌 근찬

아래와 같이 계보 파악 및 참고자료 붙임

系  譜 : 5卷 746    계보보기

4대파

指諭公諱億派

 

중조(中祖)

諱薰

 파계(派系)

逸齋公諱以殷派

  21世

고조(高祖)

諱亨蓍

증조(曾祖)

諱碩址

조(祖)

諱邦郁

고(考)

諱致鍊

  

25世 諱洙英

內燦

 

愛梅軒

 

 

憲宗9癸卯 1843年 9月28日

高宗20癸未 1883年 12月15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