述先裕后 :조상을 계승하고 자손을 잘되게 함.先世記錄들을 奉讀하십시요. image(gif) 만듬:문정공24세손 병선

옛글사전-1
옛글사전-2
옛글사전-3

조선실록단어해설
한자 어조사

예기(禮記)

 



대종회장25대-27대
창주공15세손
광훈(光勳)


만든 후손
발전연구위원 간사
25대∼
일헌공15세손
병선(昺璿)



GO BACK

 

1991 辛未譜
第四編 先世遺稿
行狀및 墓碣銘

 

 

 

月菴公衣履藏碑銘
(월암공의이장비명)

[역문]옛 先祖(선조) 壬辰年(임지년)에 倭(왜)놈이 入冠(입관)하니 임금이 西(서)쪽으로 避亂(피란)할 때 擧義殉國(거의순국)이 ①前援相望(전원상망)하였으되 錦山(금산)의 싸움이 첫째였다.

月菴鄭公(월암정공)의 諱(휘)는 民秀(민수)요 重峯趙先生(중봉조선생)을 조차 같은 날에 죽어 死體(사체)를 未收(미수)하고 家人(가인)이 남겨놓은 衣履(의이)를 咸平縣(함평현) 東(동)쪽 崇忠洞(숭충동) 艮坐(간좌)의 언덕에 묻고 墳墓(분묘)로 代替(대체)해서 春秋(춘추)로 享祀(향사)하니 모두 이 公(공)의 鄕里後孫(향리후손) 學勉(학면)이 年代(년대)가 오래되어 封域(봉역)을 알지 못할까 두려워하여 장차 돌에 새겨 表(표)하라고 公(공)의 孫子(손자) 進士(진사)인 世胤(세윤)이 記述(기술)한 行狀(행장)을 가지고 와서 昌山曺悳承(창산조덕승)에게 銘(명)을 請(청)하니 돌아 보건데 사람도 희미하고 人望(인망)도 가벼워 足(족)히 公(공)을 爲(위)하지 못하여 거듭 두려운 듯 辭讓(사양)하였으나 學勉(학면)이 請(청)하기를 더욱 힘쓰니 그 相知者(상지자)가 편렴해서 참으로 謀事(모사)할 수 없다고 한지라 이에 그 뜻을 공경하여 그 行狀(행장)에 의하여 敍述(서술)한다.

公(공)의 字(자)는 子俊(자준)이니 羅州人(나주인)이다. 그 先祖(선조)는 可臣(가신)이니 高麗(고려) 忠烈王(충렬왕)을 도왔으니 官(관)은 中贊(중찬)이오 諡號(시호)는 文靖(문정)이니 德業(덕업)과 文章(문장)이 蔚然(울연)하여 儒宗(유종)이 되니 學者(학자)들이 雪齋先生(설재선생)이라 稱(칭)하고 諱(휘) 薰(훈)은 號(호)가 棄齋(기재)로 端宗(단종)을 謀後(모후)하려다 일이 누설되어 南海(남해)로 귀양하니 이분이 公(공)의 六世祖(육세조)다.

曾祖(증조) 以周(이주)는 訓練院副正(훈련원부정)이며 祖(조)는 元柱(원주)니 忠佐衛司正(충좌위사정)이요 父(부)는 鵾(곤)이니 敬陵參奉(경능참봉)이다. 妣(비)는 光山鄭氏(광산정씨)로 參奉(참봉) 倫弼(윤필)의 딸이다. 公(공)이 隆慶己巳生(융경기사생)으로 出生(출생)하면서부터 器局(기국)이 超邁(초매)하고 雅性(아성)이 慷慨(강개)하여 二親(이친)을 奉養(봉양)하되 誠孝(성효)가 備至(비지)하였으며 餘力(여력)에 글을 배워 當世(당세)에 推重(추중)하여 宋海狂濟民(송해광제민)으로 道義交(도의교)가 되었다.

萬曆庚寅(만력경인)에 孝廉(효렴)에 뽑혀 孝陵參奉(효능참봉)에 薦除(천제)되었고 일찍이 趙先生(조선생)을 金浦(김포)에서 ②贄謁(지알)하여 더불어 말을 하니 大奇之(대기지)하여 말하기를 君(군)의 才器(재기)를 보니 반드시 需世(수세)에 當(당)할 것이라 하니 인하여 忠義(충의)로서 힘쓰더니 壬辰(임진)의 變(변)에 公(공)이 母親喪中(모친상중)에 있었는데 겨우 服(복)하였다.

임금이 播遷(파천)했다는 말을 듣고 北望慟哭(북망통곡)하면서 義旅(으여)를 募集(모집)하여 義州(의주)로 달려가려고 三從(삼종)인 參奉(참봉) 繪(회)에게 같이 가기를 請(청)하여 드디어 募集(모집)한 勇敢(용감)이 죽을 兵士(병사) 百五人(백오인)과 같이 家廟(가묘)에 告訣(고결)하기를 醜虜(추로)가 날뛰어 列都(열도)이 쓰러지니 임금의 옷을 입고 임금의 밥을 먹으면서 어찌 참아 앉아서만 보리로 하였다. 編成(편성)된 군사를 거느리고 千里(천리)에 赴援(부원)하는데 趙先生(조선생) 檄文(격문)에 應(응)하여 公州義兵幕舍(공주의병막사)로 馳赴(치부)하니 先生(선생)이 大喜(대희)하여 軍務(군무)에 屬(속)하게 하고 크고 작은 것에 協贊(협찬)하였다.

淸州(청주)의 싸움에 길을 나누니 夾擊(협격)하여 馳屯(치둔)한 倭(왜)놈을 敗走(패주)시키고 陣(진)을 錦山城(금산성)밖에 옮겨 都元師(도원사) 權慄(권율)을 기다리는데 賊(적)이 後援部隊(후원부대)가 없음을 염탐하고 戰列(전열)을 整備(정비)하지 못한 틈을 타서 들어 닥치니 先生(선생)께서 下令(하령)하기를 今日(금일)에 다만 一死(일사)가 있을 뿐이니 死生(사생)과 進退(진퇴)를 마땅히 義字(의자)에 부끄러움이 없게 하라 하니 公(공)이 應聲(응성)하여 力戰(역전)한지 한참 만에 賊(적)이 세 번 패배하였으나 우리 兵士(병사)가 화살도 다되고 힘도 쇠진되자 賊(적)이 드디어 쳐들어오니 公(공)이 趙光倫(조광윤) 任廷式(임정식) 李勵(이려) 金獻(김헌) 등으로 빈주먹으로 相搏(상박)하니 七百義士(칠백의사)가 한사람도 隊伍(대오)를 떠난 자가 없었으며 公(공)도 繪(회)와 같이 先生(선생)의 屍身(시신)곁에서 죽으니 八月十八日(팔월십팔일)이다.

아! 公(공)의 義(의)는 이에 끝났다. 戊戌(무술)에 公(공)의 仲父(중부)인 主簿(주부) 鷹(응)과 季父(계부)인 主簿(주부) 鴻(홍)과 族兄(족형)인 副正(부정) 縉(진)이 李忠武(이충무)를 조차 露梁(노량)에서 殉死(순사)하니 세상에서 一門五忠(일문오충)이라 하였다.

을사년에 宣武原從勳(선무원종훈)에 錄(록)하고 肅宗(숙종) 乙未(을미)에 錦山前場(금산전장)에다 紀蹟(기적)하여 立碑(입비)하고 純祖(순조) 辛酉年(신유년)에 通政大夫(통정대부) 司僕寺正(사복시정)에 증직되었다. 公(공)이 光山金氏(광산김씨) 通禮院引儀(통예원인의) 彦弼(언필)의 딸에게 장가들어 三子(삼자)를 낳으니 時謙(시겸)과 時讓(시양)과 時言(시언)이다. 時謙(시겸)의 아들 世胤(세윤)이오 時讓(시양)의 아들은 世弼(세필)이오 時言(시언)의 아들은 世徵(세징)이며 曾孫以下(증손이하)는 그만하고 가난하여 점점 喪退(상퇴)해지면서 지금에 이르니 아직도 하늘의 ③報施(보시)를 받지 못하니 어떻게 그럴 수 있는 것인가 悳承(덕승)이 公(공)의 行蹟(행적)을 비록 능히 闡揚(천양)치 못하였으나 哀情(애정)이 激(격)한지라 그윽히 그 咨嗟(자차)하고 感歎(감탄)함을 이기지 못하고 이어서 詩(시)로써 이르노니.

사람이 天地間(천지간)에 피알처럼 부쳐있도다. 參學(참학)하여 貴(귀)한 것은 살아서 敎育(교육)함이로다. 父母(부모)에게 孝道(효도)하여 나라에 옮겼도다. 王(왕)을 위해 싸웠으며 힘을 남김이 없도다. 마침내 殉死(순사)하니 ④皐比(고비)에 의지했도다. 一擧(일거)에 雙全(쌍전)함이여 누가 장차 짝하리오 錦山(금산)의 모뿌리 巖巖(암암)하고 錦川(금천)이 오열하도다. 公(공)의 遺風(유풍)이 가히 없어지지 않으리로다.

<註>

①前後相望(전후상망):앞뒤로 계속해서 이어짐을 말함

②贄謁(지알):예물을 갖추어 찾아봄

③報施(보시):善行(선행)에 대하여 寺福(사복)을 줌

④皐比(고비):將軍(장군)의 坐瘞(좌예) 즉 虎庋(호기)

                            昌學 曺悳承 謹撰
                                  
창학 조덕승 근찬

 

아래와 같이 계보 파악 및 참고자료 붙임

系  譜 : 5卷 327    계보보기

4대파

指諭公諱億派

宣祖龍蛇之變三從弟民秀와
淸州交戰, 錦山之役에冒刀殉節

중조(中祖)

諱薰

 파계(派系)

敬菴公諱以周派

  21世

고조(高祖)

諱益宗

증조(曾祖)

諱以周

조(祖)

諱元柱

고(考)

  

16世 諱民秀

子俊

 

月菴

 

 

宣祖己巳 1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