述先裕后 :조상을 계승하고 자손을 잘되게 함.先世記錄들을 奉讀하십시요. image(gif) 만듬:문정공24세손 병선

옛글사전-1
옛글사전-2
옛글사전-3

조선실록단어해설
한자 어조사

예기(禮記)

 



대종회장25대-27대
창주공15세손
광훈(光勳)


만든 후손
발전연구위원 간사
25대∼
일헌공15세손
병선(昺璿)



GO BACK

 

1991 辛未譜
第四編 先世遺稿
行狀및 墓碣銘

 

 

 

高亭公事實
(고정공사실)

[역문]公(공)의 諱(휘)는 (진)이요 字(자)는 子儀(자의)며 號는 高亭(고정)이니 文靖公(문정공) 可臣(가신)의 十三世孫(13세손)이요 棄齋公(기재공) 勳(훈)의 七世孫(7세손)이다. 考(고)의 諱(휘)는 士賢(사현)이니 副護軍(부호군)이요 妣(비)는 貞夫人(정부인)이니 光山金氏(광산김씨) 生員奇瑞(생원기서)의 딸이다.

嘉靖(가정) 辛亥年(신해년 1551)에 公(공)이 箕城(기성) 葛洞坊(갈동방)에서 出生(출생)하니 容儀(용의)가 秀邁(수매)하고 志氣(지기)가 ①倜儻(척당)하였으며 또한 勇力(용력)이 있었다. 일찍 貞忠輔國(정충보국) 四字(4자)를 佩力(패력)에 새기여 自誓(자서)하고 항상 睢陽傳(휴양전)을 읽고 문득 어깨를 우쭐하여 눈물을 씻었으며 일찍 鄕射會(향사회)에 가서 公(공)이 활을 쏘아 맞추지 못한 것이 없으니 사람들이 모두 달리 여겼다.

弱冠(약관)에 一齋(일재) 李先生(이선생) 恒(항)을 뵈어 先生(선생)께서 한번 보시고 英才(영재)라 칭찬하였다. 金健齋(김건재) 千鎰(천일)과는 交誼(교의)가 가장 두터웠으니 公(공)이 글을 보내기를 人生(인생)의 窮達(궁달)이 하늘에 있으니 士君子(사군자) 處身(처신)은 마땅히 내가 힘쓸 뿐이다 라고 하였다.

甲申(갑신)에 護軍公(호군공)의 喪(상)을 당하여 시묘살이 하면서 禮(예)를 다 하였다. 萬曆(만력) 戊子年(1588)에 武科(무과) 丙科(병과)에 合格(합격)하고 여러번 옮겨 司宰監(사재감) 僉正(첨정)에 이르렀다.

己丑年(기축년)에 黨論(당론)이 方張(방장)하여 朝廷(조정)에 不靖(부정)함이 나타남을 보고 田舍(전사)에 退居(퇴거)하여 扁額(편액)을 高亭(고정)이라 하였다.

壬辰(임진)의 變(변)에 임금이 西(서)쪽으로 피난갔다는 消息(소식)을 듣고 분을 못이겨 일어나 再從叔(재종숙) 主簿(주부) 鷹(응)과 鴻(홍) 兄弟(형제)와 더불어 高敬命(고경명) 義幕(의막)에 同赴(동부)하여 方略(방략)을 指晝(지주)하고 드디어 梁淸溪(양청계) 大樸(대박)과 柳學諭彭老(유학유팽노) 等(등)으로 ②揷血(삽혈)하여 盟誓(맹서)하기를 山河物色(산하물색)이 항상 餘羞(여수)를 띠었고 巷陵松栢(항능송백)이 세가지가 나지 않았으니 越人(월인)의 너의 아비 죽인 것을 잊는다면 어찌 夫差(부차)가 朝夕(조석)으로 臥薪嘗膽(와신상담)의 盟誓(맹서)를 自呼(자호)하지 않으리오 道內(도내)에 檄文(격문)을 傳(전)하여 義士(의사) 數百人(수백인)을 募得(모득)하여 協力駐屯(협력주둔)하였다.

七月(칠월)에 賊(적)이 黃澗(황간)으로 부터 錦山(금산)을 犯入(범입)하니 公(공)이 招討使(초토사) 高公(고공)을 돌아보고 말하길 國事(국사)가 이에 이르렀으니 公(공)은 장차 어떻게 할 것인가 하니 高公(고공)이 應答(응답)하되 내 마땅히 죽기로서 擊滅(격멸)하리라 하니

公(공)이 進兵(진병)하여 土城(토성)에 直入(직입)하고 북을 울리고 督戰(독전)함에 無數(무수)히 斬殺(참살)하였다. 翌日(익일)에 軍(군)이 무너져 高敬命(고경명)과 柳彭老(유팽노)의 哉死(재사)함을 보고 本縣(본현)으로 돌아와 再從叔(재종숙) 主簿公(주부공)과 다시 倡義(창의)할 것을 謀議(모의)하고

公(공)이 말하길 이것이 내 뜻이라 하고 드디어 前主簿(전주부) 鄭忠良(정충량)에게 글을 보내 말하길 前日(전일) 土城(토성)의 敗(패)에 다시 무슨 말을 하겠는가 돌아 보건데 내가 몸을 나라에 許(허)했는데 醜虜(추로)가 심히 熾然(치연)하고 君父(군부)가 避亂(피란)갔으니 어찌 창을 배게 하고 칼날을 밟을 義(의)를 잊으리오. 그윽이 생각건대 그대는 當世(당세)의 雄傑(웅걸)이다.

勇力(용력)이 가히 三軍(삼군)에 뛰어났고 가히 萬人(만인)을 奪取(탈취)하니 一時(일시)에 滅賊(멸적)함이 그대의 掌上(장상)에 있으니 同心協力(동심협력)한 것이 可(가)할 것이다 하니 忠良(충량)도 또한 奮然(분연)히 일어나 從弟(종제) 得良(득량)과 같이 달려오니

公(공)이 大悅(대열)하여 忠良(충량)에게 軍糧有司(군량유사)를 맡기고 城堞(성첩)을 修築(수축)하고 流亡者(유망자) 數千人(수천인)을 招募(초모)하여 굳게 守護(수호)하였다.

癸巳年(계사년) 五月十三日(오월십삼일)에 淸正(청정)等(등) 嶺南(영남)으로 부터 晉州(진주)에 이르니 公(공)이 出兵(출병)하여 全羅兵使(전라병사) 宣居怡(선거이)를 조차 合勢(합세)하여 雲峯(운봉)에 留屯(유둔)하여 六月(유월)에 晉州(진주)를 쳐서 陷落(함락)시켰는데

丁酉年(정유년) 正月(정월)에 賊(적)이 再擧渡海(재거도해) 한다는 消息(소식)을 듣고 母夫人(모부인)에게 울면서 訣副(결부)하기를 今日(금일) 事勢(사세)가 甚急(심급)하니 義(의)는 君臣(군신)에게 重(중)하고 恩惠(은혜)는 母子(모자)에 가볍다 하고 다음날 擧兵(거병)하여 金億秋(김억추) 諸公(제공)과 같이 合勢(합세)하여 大同江(대동강)을 지키고 七月(칠월)에 賊船(적선)이 永等浦(영등포)에 이르니

再從叔(재종숙) 二公(이공)과 같이 都元師(도원사) 金命元(김명원) 幕下(막하)에 同赴(동부)하니 金公(김공)이 말을 나눔에 대기하여 말하길 이제야 보기를 어찌 늦게 하였는고 하고 인하여 右水使(우수사) 李億褀陣(이억기진)으로 보내니 李公(이공)이 기뻐하고 일어나 接對(접대)하되 이 三壯士(삼장사)를 얻으니 討賊靖難(토적정난)이 진실로 날을 가리어 기다릴 것이라 하고 이에 主簿公(주부공) 兄弟(형제)로 左右輔翼將(좌우보익장)을 삼고 公(공)으로 留鎭將(유진장)을 삼아 드디어 戰船(전선) 十隻(십척)을 맡겨 間山(간산)과 溫羅二島(온라이도)를 지켜 外賊(외적)을 막게 하니

明日(명일)에 左水使(좌수사) 李舜臣(이순신)과 唐項浦(당항포)에서 만나 싸우니 倭貴將(왜귀장)을 射殺(사살)하고 釼四十(일사십)과 화살 七十個(칠십개)를 奪取(탈취)하였고 溫羅島(온라도)에 陳(진)을 옮겨 여러번 싸워 이기니 李公(이공)이 褒啓(포계)하여 訓練院副正(훈련원부정)에 任命(임명)하였고 安骨浦(안골포)의 싸움에 先登(선등)하여 賊船(적선) 二十六隻(이십육척)을 撞破(당파)하고 九月(구월)에 再從叔(재종숙) 月灘公麒壽(월탄공기수)와 같이 舟師(주사)를 領率(영솔)하고 於蘭 碧波亭(어란 벽파정)에서 싸워 大捷(대첩)하고

戊戌年(무술년) 十一月(십일월)에 또 愛竹愛松二公(애죽애송이공)과 같이 家僮(가동) 忠男(충남) 義男(의남)을 거느리고 義兵(의병)과 軍糧(군량)을 募取(모취)하여 露梁(노량)에 들어가니 李舜臣(이순신)이 먼저 의거하니 公(공)이 左右(좌우)에서 劃策(획책)하더니 갑자기 賊(적)이 四面(사면)으로부터 急(급)하게 包圍(포위)하여 아침부터 저녁에 이르니 鐵丸(철환)이 비같이 쏟아지고 李忠武(이충무)가 먼저 戰死(전사)함을 보고 더욱 憤氣(분기)를 발하여 二叔(이숙)과 같이 칼을 빼서 땅을 그으면서 말하길 殉身報國(순신보국)이 이때니 賊(적)을 보고 죽지 아니하면 臣職(신직)이 아니다 하고

드디어 兵士(병사)를 指揮(지휘)하여 逐出(축출)하니 賊(적)이 이에 물러남에 翌朝(익조)에 竹(죽)을 엮어 柵(책)을 만들고 放丸(방환)하니 愛松公(애송공)이 먼저 賊(적)의 張丸(장환)에 맞아 상처를 싸고 다시 싸워 마침내 賊鋒(적봉)에 戰死(전사)하고 公(공)도 愛松公(애송공)과 同日(동일)에 탄환에 맞아 물로 떨어져 죽으니 때는 今月(금월) 十九日(십구일)이다.

奴忠男(노충남) 等(등)이 招魂(초혼)하여 돌아와 本縣(본현) 陰地村(음지촌)앞 石花山(석화산) 北麓(북록)에 장사하니 曾祖(증조) 司正公(사정공) 墓下(묘하) 丙坐(병좌)니 合窆(합폄)하였다.

配(배)는 淳昌(순창) 薛進士(설진사) 應龍(응룡)의 딸이요 玉川君(옥천군) 勳(훈)의 玄孫女(현손녀)다.

丁酉亂(정유란)에 家督(가독)을 이끌고 本面(본면) 竹寺洞(죽사동)에 避兵(피병)하였는데 賊(적)을 만나 抗節不居(항절불거)하고 죽었다. 五男二女(오남이녀)를 두었으니 堯鄕(요향)과 舜鄕(순향)과 柳興瑞(유흥서) 徐榮祖(서영조) 禹鄕(우향)과 湯鄕(탕향)과 文鄕(문향)이다.

族孫(족손) 進士世胤(진사세윤)이 行狀(행장)을 지었고 正祖(정조) 己未年(기미년)에 道內(도내) 章甫(장보)인 趙鎭修(조진수) 等(등)이 駕前(가전)에 上言(상언)하였고 禮判(예판) 徐龍輔(서용보)는 行査(행사)하였고 本宰(본재)인 申淑(신숙)은 營門(영문)에 論報(논보)하였고 道伯(도백) 趙宗鉉(조종현)은 朝廷(조정)에 狀聞(장문)하였고 吏判(이판) 尹光普(윤광보)는 入啓(입계)하였다.

純祖(순조) 辛酉年(신유년)에 通政大夫(통정대부) 兵曹參議(병조참의)에 贈職(증직)되었고 薛氏(설씨)는 淑夫人(숙부인)에 從贈(종증)되었다. 事載(사재) 咸平節義錄(함평절의록) 三綱錄(삼강록)及(급) 李忠武公(이충무공) 同義錄(동의록)하다 春(춘) 士林(사림) 湖南高宗乙巳(호남고종을사) 建忠義堂內歲洞(건충의당내세동) 今遺趾(금유지) 甲戌享鰲山祠(갑술향오산사) 配(배)

<註>

①倜儻(척당):여러 사람속에서 뛰어남. 또는 남에게 구속되지 않은 모양

②揷血(삽혈):맹세할 때에 犧牲(희생)을 잡아 서로 그 피를 들어마셔 입술을 벌거케 하고 서약을 지킨다는 丹心(단심)을 神(신)에게 맹세하는 일

아래와 같이 계보 파악 및 참고자료 붙임

系  譜 : 5卷 723    계보보기

4대파

指諭公諱億派

 

중조(中祖)

諱薰

 파계(派系)

逸齋公諱以殷派

  21世

고조(高祖)

諱李宗

증조(曾祖)

諱以殷

조(祖)

諱國柱

고(考)

諱士賢

  

16世 諱縉

子儀

 

古亭

 

 

明宗6辛亥 1551年3月3日

宣祖31戊戌 1598年11月19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