述先裕后 :조상을 계승하고 자손을 잘되게 함.先世記錄들을 奉讀하십시요. image(gif) 만듬:문정공24세손 병선

옛글사전-1
옛글사전-2
옛글사전-3

조선실록단어해설
한자 어조사

예기(禮記)

 



대종회장25대-27대
창주공15세손
광훈(光勳)


만든 후손
발전연구위원 간사
25대∼
일헌공15세손
병선(昺璿)



GO BACK

 

1991 辛未譜
第四編 先世遺稿
行狀및 墓碣銘

 

 

 

月灘公事實
(월탄공사실)

[역문]鄭麒壽(정기수)의 字(자)는 仁叟(인수)요 號(호)는 月灘(월탄)이니 文靖公(문정공) 雪齋(설재) 諱(휘) 可臣(가신)의 十一世孫(십일세손)이며 海隱公(해은공) 諱(휘) 以夏(이하)의 孫子(손자)로

明宗(명종) 己未年(기미년 1559)에 公(공)이 綿城月川里(면성월천리)에서 出生(출생)하니 孝友(효우)가 著世(저세)하고 勇略(용략)이 絶綸(절륜)하였으며 ①倜儻(척당)하여 意氣(의기)가 있었으며 동생 凰壽(황수)와 같이 牛溪成先生(우계성선생)의 門下(문하)에 從遊(종유)하여 中庸(중용)과 大學(대학)의 ②旨訣(지결)을 받았으며 姜睡隱(강수은) 沆(항)과 宋海狂(송해광) 濟民(제민)들과 道義(도의)의 交遊(교유)를 하였으며

壬辰倭亂(임진왜란)에 임금이 서쪽으로 피난하니 公(공)이 消息(소식)을 듣고 부르짖어 통곡하고 이에 동생 凰壽(황수) 態壽(태수)와 從弟(종제) 鵾壽(곤수)와 同志(동지) 金禮秀(김례수) 鄭賢輔裵(정현보배) 蓂(명) 李景泌(이경필) 朴彦祥(박언상)과 같이 隣邑(인읍)에 檄文(격문)을 傳(전)하고 倡義募旅(창의모여)하여 장차 임금을 도우려 西(서)쪽으로 出發(출발)하려고 하였으나

出發(출발)할려고 할 때 병이 나서 동생에게 임금계신 곳으로 달려가라 하고 公(공)은 머물러 城(성)을 지키고 糧食(양식)과 機器(기기)를 調辨(조변)하였는데 左水使(좌수사) 李舜臣(이순신)이 公(공)의 膽略(담략)함을 듣고 檄文(격문)을 띄우니 公(공)이 어머님이 늙어 어렵게 여기거늘 母夫人(모부인)이 말하기를 너는 바로 忠義(충의)의 집안이라 어찌 내가 늙은 연유로 해서 家聲(가성)을 荒墜(황추)시키려고 하느냐 하니

公(공)이 드디어 應募者(응모자) 五百人(오백인)과 같이 달려가서 機密(기밀)에 入參(입참)하여 戰鬪艦(전투함)을 거느리니 李公(이공)이 자주 稱歎(칭탄)을 더하여 遠大(원대)한 器局(기국)으로 許(허)하여 十月(시월)에 軍門(군문)을 常職(상직)함에 訓練院僉正(훈련원첨정)으로 超叙(초서)하였고

癸巳年(계사년) 六月(6월)에 倡義使(창의사) 金千鎰(김천일)이 江華(강화)로부터 追敵(추적)하여 晉州(진주)에 이르니 李公(이공)이 公(공)을 보내 가서 水陸(수륙) 竝驅(병구)의 討策(토책)을 相議(상의)케 하니 金公(김공)이 심히 器重(기중)하게 여겨 右義將(우의장) 崔慶會(최경회)와 復讐將(복수장) 高從厚(고종후)와 같이 軍務(군무)의 重要(중요)함을 議論(의논)하여 確定(확정)하고 二十九日(29일)에 敵兵(적병)이 城(성)을 넘어 들어오니 一時(일시)에 衆軍(중군)을 進擊(진격)시켜 모두 亂兵刀鎗(난병도쟁)에 죽으니

諸義將(제의장)이 矗石樓(촉석루)에서 澄潭(징담)에 自投(자투)하고 公(공)은 그때 南城(남성) ③敵樓(적루)에 있다가 急(급)히 麾下(휘하)를 부르니 李景泌(이경필)이 이르기를 장수의 命令(명령)에 答(답)하지 않는것은 信(신)이 아니오 戰陣(전진)에서 부질없이 죽은것은 勇(용)이 아니다 하는것 없이 죽는것 보다는 살아서 할수 있는것이 낫다 하고

드디어 말에 책찍질하여 陣中(진중)에 衝突(충돌)하여 죽이면서 南門(남문)에 나오니 敵將(적장)과 麾下兵卒(휘하병졸)이 길을 막으니 公(공)이 長刀(장도)를 떨쳐 衝突(충돌)하여 바로 敵將(적장)을 베고 南江(남강)으로 뛰어 내려 빠졌다가 江(강)가에 오르니 따르는자는 겨우 李景泌(이경필) 한사람으로 다시 李忠武公(이충무공)을 따르니 李公(이공)이 壯(장)하게 여겨 繼援將(계원장)을 삼았으며

甲午年(갑오년)에 李公(이공)이 閒山(한산)에다 留陣(유진)하고 軍糧(군량)을 備蓄(비축)하고 군사를 정돈하여 海上防衛(해상방위)를 억눌러 단속하니 朝廷(조정)에서 三道水軍統制使(삼도수군통제사)에 任命(임명)하고 唐浦(당포)싸움에 公(공)이 先登奮擊(선등분격)하여 數千名(수천명)을 斬首(참수)하고 사로잡힌 男女(남녀)를 奪還(탈환)하였으며

閒山(한산)싸움에 가벼운 배로 敵(적)의 後面(후면)에 續出(속출)하여 二隻(이척)을 撞破(당파)하고 많은 무리를 殺傷(살상)하니 그때 兩南(양남)의 水軍(수군)이 獨盛(독성)하니 敵(적)이 심히 두려워 하여 이간질을 하여 우리의 諸將(제장)을 우롱하니 朝廷(조정)에서 그말을 믿고 李忠武公(이충무공)을 逮捕(체포)하여 서울로 押送(압송)하니

公(공)이 드디어 군사를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와 母親(모친)을 奉養(봉양)하였으며 丁酉年(정유년) 七月(칠월)에 敵(적)이 閑山島(한산도)를 陷落(함락)하고 統制使元均(통제사원균)이 죽으니 朝廷(조정)에서 다시 李忠武公(이충무공)을 統制使(통제사)로 삼으니 李忠武公(이충무공)이 千騎(천기)로서 順天府(순천부)에 馳行(치행)하면서

公(공)에게 글을 보내 同死(동사)하기를 勸勉(권면)하니 公(공)에게 바로 감히 죽일수 있는 義兵(의병) 數十人(수십인)과 같이 行(행)하여 흩어진 군사를 거두고 忠義(충의)로서 晩諭(만유)하여 二百五十三人(이백오십삼인)을 얻어 李公(이공)에게 나아가 珍島(진도)에 모여 於蘭島(어란도)와 碧波亭(백파정)에서 合戰(합전)하여 모두 大破(대파)하니

朝廷(조정)에서 李公(이공)은 資憲(자헌)에 陞進(승진)시키고 公(공)에게는 利津權管(이진권관)에 任命(임명)하니 公(공)이 赴任(부임)하여 軍民(군민)을 愛恤(애휼)하고 兵士(병사)를 訓練(훈련)시키며 兵器(병기)를 모아 李公(이공)과 같이 古今島山(고금도산)에 들어가 雄據(웅거)하니 中國(중국)의 장수 陳都督(진도독) 璘(인)과 劉賢督(유현독) 綎(정)이 水陸(수륙)으로 와서 만나고 같이 軍務(군무)를 이야기 하니 모두 獎許(장허)하였으며

戊戌年(무술년) 九月(구월)에 訓練院正(훈련원정)에 任命(임명)되었으며 十一月(십일월) 十九日(십구일)에 水軍(수군)이 陳都督(진도독)과 같이 敵船(적선)을 露梁津(노량진)으로 誘致(유치)하여 九百餘級(구백여급)을 斬首(참수)하고 將士(장사)가 勇氣(용기)를 倍(배)나 더하니

李公(이공)이 ④唾掌彎弓(타장만궁)하여 親(친)히 血戰(혈전)하다 탄환에 맞아 땅에 쓰러지니 急(급)히 보좌관을 불러 붙들라고 方牌(방패)로 내몸을 의지케 하여 살아있는것 같이 하여 軍衆(군중)을 놀라게 말라 하고는 곧 公(공)이 李公(이공)의 아들 薈(회)에게 이르기를 行長(행장)이 만일 들으면 힘을 다하여 죽일것이니 어찌 달아나리오.

아름다움을 求(구)함이 바로 이때라 하고 드디어 薈(회)를 재촉해서 代身(대신) 앉게하고 李莞(이완)과 宋希立(송희립) 등으로 左右(좌우)에서 保翼(보익)하여 한결같이 節制(절제)하고 公(공)이 허리에 화살차고 손에 활을 들고 船頭(선두)에 나가서서 指揮(지휘)하고 독전(독전)하여 드디어 陳公(진공)의 包圍網(포위망)을 풀었는데 문득 飛丸(비환)이 가슴을 뚫어 바다에 떨어져 죽으니 나이가 사십세(사십세)다.

바다가 깊어 屍身(시신)을 거두지 못하고 招魂(초혼)하여 돌아와 縣(현)의 東(동)쪽 嚴多面(엄다면) 三井山(삼정산) 考墓(고묘) 뜰아래 丁坐原(정좌원)에 臯葬(고장)하니 雙塋(쌍영)이다.

配(배)는 錦城吳氏(금성오씨)로 宣傳官誠(선전관성)의 딸이오 上護軍(상호군) 世翊(세익)의 孫女(손녀)며 錦城君(금성군) 愼中(신중)의 曾孫女(증손녀)다

一子紳(일자신)은 僉節制使(첨절제사)다. 體察使(체찰사) 李元翼(이원익)이 狀聞(장문)하고 甲辰(갑진)에 兵曹參議(병조참의)에 贈職(증직)되니 帖中(첩중)에 戰亡追贈(전망추증)이란 四字(사자)를 特書(특서)하였으며 乙巳年(을사년)에 宣武原從玄勳(선무원종현훈)에 記錄되었고 肅宗(숙종) 戊子年(무자년 1678)에 鄕人(향인)이 月川(월천)에 祠宇(사우)를 세웠고 從玄孫(종현손) 進士(진사)인 鳳徵(봉징)이 行狀(행장)을 贊(찬)하였으며 遺集(유집)을 家藏(가장)하였는데 亂中(난중)에 遺失(유실)함으로 世上(세상)에 傳(전)해지지 안했다.

事實(사실)이 湖南節義錄(호남절의록) 三綱錄(삼강록) 朝歸史略(조귀사략) 務安郡誌(무안군지) 湖南誌(호남지) 및 李忠武公(이충무공) 同義錄(동의록)에 실려있다.

<註>

①倜儻(척당):남에게 구속되지 않는 모양. 뜻이 크고 기개가 있음

②旨訣(지결)깊고 중심이 되는 말. 또는, 그 要旨

③敵捿(적루):城에 쌓은 捷堂. 즉,望捷

④唾掌彎弓(타장만궁):손바닥에 침을 발라 활을 당긴다는 뜻으로 힘을 냄

                                                       從玄孫 鳳徵 謹撰

아래와 같이 계보 파악 및 참고자료 붙임

系  譜 : 5卷 296     계보보기

4대파

指諭公諱億派

露梁戰에서 戰死

중조(中祖)

諱薰

 파계(派系)

敬菴公諱以周派

  21世

고조(高祖)

諱之雅

증조(曾祖)

諱益宗

조(祖)

諱以夏

고(考)

諱砥柱

  

15世諱麒壽

仁叟

 

月灘

 

 

明宗14己未 1559

宣祖19戊戌 1586年11月18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