述先裕后 :조상을 계승하고 자손을 잘되게 함.先世記錄들을 奉讀하십시요. image(gif) 만듬:문정공24세손 병선

옛글사전-1
옛글사전-2
옛글사전-3

조선실록단어해설
한자 어조사

예기(禮記)

 



대종회장25대-27대
창주공15세손
광훈(光勳)


만든 후손
발전연구위원 간사
25대∼
일헌공15세손
병선(昺璿)



GO BACK

 

1991 辛未譜
第四編 先世遺稿
行狀및 墓碣銘

 

 

 

終慕齋公墓誌
(종모재공묘지)

[역문]羅州(나주)의 曲江(곡강:지금의 洞江面) 鄭侍洞(정시동) 北麓(북록) 乙坐(을좌)의 墓(묘)는 終慕齋(종모재) 鄭公(정공) 諱(휘) 履常(이상)의 衣履所藏(의이소장)이다.

옛날에 記錄(기록)이 없어 世代(세대)가 멀어져 그 葬事(장사)한 軍代(군대)를 잃어버려 坏(배)가 晏然(안연)하여 子孫(자손)이 保護(보호)하니 이에 가히 그 德厚(덕후)한 사람은 그 德澤(덕택)이 오래임을 볼것이다. 公(공)의 字(자)는 惕之(척지)니 羅州人(나주인)이다.

鼻祖(비조)의 諱(휘)는 諧(해)는 그후 高麗(고려)때 諱(휘) 可臣(가신)이 있으니 諡號(시호)는 文靖(문정)으로 忠宣王廟廷(충선왕묘정)에 配食(배식)하니 世稱(세칭) 雪齋先生(설재선생)이라 한다.

李朝(이조)에 鄕人(향인)이 先生(선생)을 爲(위)하여 祠宇(사우)를 세우니 진실로 公(공)의 九世孫(9세손)이다.

이분이 諱(휘) 佶(길)을 낳으니 文(문)으로 少尹(소윤)이요 이분이 諱(휘) 文振(문진)을 낳으니 文(문)으로 郡守(군수)는 吏判(이판)에 贈職(증직)되었으며 이분이 有(유)를 낳으니 兵參(병참)에 贈職(증직)되었고 이분이 諱(휘) 自新(자신)을 낳으니 大護軍(대호군)으로 吏判(이판)에 贈職(증직)되었으며 이분이 諱(휘) 軾(식)을 낳으니 世祖朝(세조조)에 登第(등제)하여 兵曹判書(병조판서)를 諡號(시호)는 景武(경무)며 號(호)는 永慕亭(영모정)이니 雪齋祠宇(설재사우)에 配享(배향)되었고 이분이 諱(휘) 承賢(승현)을 낳으니 監察(감찰)이오 이분이 諱(휘) 覲(근)을 낳으니 參奉(참봉)이오 이분이 諱(휘) 均(균)을 낳으니 生員(생원)으로 바로 公(공)의 아버지라

妣(비)는 羅州丁氏(나주정씨)로 嘉靖(가정) 癸未年(계미년 1523)에 公(공)이 本州(본주) 曲江(곡강) 鳳洞(봉동)에서 出生(출생)하니 公(공)이 資質(자질)이 異凡(이범)하여 말 배울때부터 이미 文字(문자)를 가르쳐 주고 出員公(출원공)이 甚(심)히 奇愛(기애)하였으며 겨우 七,八歲(칠,팔세)에 능히 事親(사친)하는 道理(도리)를 알아 時物(시물)의 새로운 맛있는것 있으면 먼저 먹지 않고 품에 품어라.

父母(부모)에게 먼저 드렸으며 그 志業(지업)이 將進(장진)함에 儼然(엄연)함이 成人(성인)같아 長者(장자)의 期望(기망)이 또한 깊었다. 父母(부모)가 일찍 병으로 食飮(식음)을 들이지 못하니 公(공) 또한 먹지 않고 몸소 藥餌(약이)를 잡아 他人(타인)에게 맡기지 아니하며 매양 하늘에 빌어 몸이 代身(대신)하기를 비니 鄕里(향리)에서 歎賞(탄상)하고 모두 孝子(효자)라고 하더라

어른이 되어 小學(소학)을 受讀(수독)하고 한결같이 古人(고인)을 法(법)을 삼고 異技(이기)와 雜戱(잡희)같은 것은 마음속에 接(접)하지 않고 다만 文辭(문사)로서 課業(과업)을 하여 明宗(명종) 乙卯年(을묘년 1555)에 司馬試(사마시)에 合格(합격)하였으며

公(공)이 兩親(양친)을 섬기되 그 誠敬(성경)을 다하여 溫情(온정)의 節次(절차)와 甘旨(감지)의 奉供(봉공)을 고생스러워도 부지런히 마련하여 奉養(봉양)치 않음이 없었다. 일찍이 戒子(계자)하기를 비록 窮之(궁지)하나 정성을 다하여 求(구)하면 至誠(지성)으로 이루지 않는 것이 없다 하였다.

父母喪(부모상)을 당하여 그 사는 마을 西麓(서록)에 장사하고 墓(묘)곁에 廬幕(여막)을 치고 前後(전후) 六年間(6년간)을 哭泣(곡읍)하며 슬퍼하여 한결 担括(담괄)같이 하여 조금도 惰容(타용)이 없으니 樵牧(초목)들도 咨嗟(자차)하였다.

服(복)을 다 지난 후에도 廬幕(여막)은 오히려 두고 省掃(성소)를 廢(폐)하지 않으며 詩(시)가 있으니 이르기를 “끝이 없는 劬募(구모)하신 은혜 萬(만)에 하나라도 갚기 어렵네”라 하고 또 그 집에다 扁額(편액)하기를 終慕(종모) 二字(이자)로서 하니 終身(종신)토록 사모한다는 뜻을 부치니 時人(시인)이 그 山(산)을 이름 하되 鄭侍洞(정시동)이라 하였다.

公(공)이 일찍이 家訓(가훈)을 지어 子孫(자손)들에게 남기니 그 條目(조목)이 三十(삼십)가지니 君臣(군신)과 師傳(사전)과 父母(부모)와 兄弟(형제)와 室家(실가)와 子孫(자손)과 宗族(종족)과 親姻(친인)과 朋友(붕우)와 婢僕(비복)과 戶邸(호저)와 居隣(거린)과 鄕黨(향당)과 州邑(주읍)과 鄰境(인경)과 道內(도내)와 國中(국중)과 喪祭(상제)와 墳墓(분묘)와 居處(거처)와 執事(집사)와 隸業(예업)과 喜怒(희로)와 愛惡(애악)와 恥辱(치욕)과 功責(공책)과 改過(개과)와 守分(수분)과 飢荒(기황)과 積德(적덕)이다.

每編(매편)에 모두 스스로 글을 썼으니 가히 嘉言至論(가언지론)이라 할것이니 지금은 十一編(십일편)만이 남아 있고 居鄰以下(거린이하) 十九編(19편)은 잃어버려 傳(전)하지 아니하니 애석하다.(-십일편의 복사본을 인동리 창환대부님 한테 받아 자료실에 올릴 계획으로 보관 중 : 일헌공15세손 병선/광주광역시 북구 동문대로 86번길 91-2 . *昌環大夫의 冥福을 빕니다 2017?-)

配(배)는 光山金氏(광산김씨)로 進士(진사) 暄(선)의 딸이니 시부모를 섬기되 능히 婦道(부도)를 잡았으니 또한 가히 家法(가법)의 바름을 볼 것이다. 一男(일남)은 鵬南(붕남)이오 二女(이여)는 奉事(봉사) 金漲(김창)과 李春芳(이춘방)에게 出嫁(출가)하였고 鵬南(붕남)이 光山金氏(광산김씨) 內禁衛(내금위) 廷佐(정좌)의 딸에게 장가들어 一男(일남)을 낳으니 善卿(선경)으로 主簿(주부)다. 咸平(함평) 魯夢麟(노몽린)의 딸에게 장가들어 一男(일남)을 出生(출생)하니 克信(극신)으로 參奉(참봉)이다.

噫(희)와 公(공)의 小著文字(소저문자)가 다 兵亂(병란)에 잃어버려 世代(세대)가 오래되어 泯設(민설)하여 可考(가고)할 바가 없고 오직 이 公(공)이 自爲(자위)한 家訓(가훈)의 序文(서문)에 이르기를 우리나라가 비록 海隅(해우)에 僻處(벽처)하였으나 본래부터 禮義(예의)의 나라 되고 稱(칭)하여 文獻(문헌)의 이름과 道脈(도맥)이 不墜(불추)하여 이 나라에 태어난 것이 또한 다행이었다. 그러나 人心(인심)과 世道(세도)가 날마다 다르고 해마다 變(변)하여 廉恥(염치)는 더러워지고 禮義(예의)는 버려져 駸駸(침침)한듯 無禮(무례)하고 無我(무아)한데極(극)하니 이를 크게 두려워하여 家訓(가훈)을 만든 까닭이라 하였다.

지금 數百載(수백재)의 아래서 가히 公(공)을 알 수 있는 것은 여기에 있음 이로다. 子孫(자손)이 凌替(능체)하여 幽誌(유지)를 아직도 만들지 못하여 일이 장차 고증할 수 있을까 하여 後孫(후손)들이 後世(후세)에 傳(전)하고자 하여 公(공)의 七世孫(7세손) 璞甫(박보)께서 내게 誌(지)를 請(청)하고 事實(사실)의 記錄(기록)을 보임으로 내가 固辭(고사)하였으나 얻지 못하고 潤色(윤색)하여 기록하기를 右(우)와 같이 하노라.

                                                                  蔚山 金壽祖 謹撰

아래와 같이 계보 파악 및 참고자료 붙임

系  譜 : 4卷 722      계보보기

4대파

少尹公諱佶派

明宗乙卯司馬性至孝하여考妣에廬墓六年하고服   闋에仍居墓側하여晟昏婦를一如居廬日이라仍廢   科業하고精探性理之學하다性盡誠敬之道하고名   其齋曰終慕라하니盖終身之慕意也라後人이名記   洞曰鄭侍洞이라하다正月十五日卒墓鄭侍洞北甲   坐有碣

•配光山金氏進士喧女九月二十三日壬午卒墓合兆

중조(中祖)

參奉公諱覲  

 파계(派系)

終慕齋公諱履常派

  21世

고조(高祖)

諱載

증조(曾祖)

諱承賢

조(祖)

諱覲

고(考)

諱均

  

13世 履常

得而

 

終慕齋

 

 

中宗癸未

正月15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