述先裕后 :조상을 계승하고 자손을 잘되게 함.先世記錄들을 奉讀하십시요. image(gif) 만듬:문정공24세손 병선

옛글사전-1
옛글사전-2
옛글사전-3

조선실록단어해설
한자 어조사

예기(禮記)

 



대종회장25대-27대
창주공15세손
광훈(光勳)


만든 후손
발전연구위원 간사
25대∼
일헌공15세손
병선(昺璿)



GO BACK

 

1991 辛未譜
總論

 

 

 

三. 高麗史列傳

鄭可臣, 字獻之, 初名興, 羅州人, 父松壽, 鄕貢進士. 可臣, 生而穎悟, 讀書作文, 頗爲時輩所推. 嘗隨僧天琪來京, 貧窮無依, 寄食天琪. 天琪憐之, 求贅富家, 無應者. 太府少卿安弘祐許之, 約旣定後悔曰, “吾雖貧士族, 豈可納卿貢子未幾弘祐死, 家日貧乃許. 天琪執可臣手, 徒步而往, 一老嫗迎門, 然薪照之, 草屋數閒而已. 天琪歸且哭曰, “! 鄭生至於此耶高宗朝登第, 累歷華要. 忠烈三年, 除寶文閣待制. 羅州人稱, “錦城山神, 降于巫言, ‘珍島·耽羅之征,我實有力, 賞將士而不我祿, 何耶必封我定寧公.’” 可臣惑其言, 諷王 封定寧公, 且輟其邑祿米五石, 歲歸其祠.

  遷左司議大夫, 時李汾禧兄弟, 附洪茶丘, 醞釀金方慶罪. 可臣恥與同朝, 乞歸養母, 至再三, 王慰諭以遣, 物論多之. 尋召還, 以秘書尹, 爲必闍赤, 拜承旨. 監察司言, “諸道按廉使·別監, 職在察吏治問民苦, 今皆籍上供, 斂民紬·楮皮幣·脯果·名表紙等物, 賂遺權貴. 己自不正, 烏能正人 請皆理罪.” 王謂可臣曰, “楮生於地, 紙有何弊可臣曰, “臣嘗管記全州, 知造紙甚苦. 今官高用紙亦多, 不能無愧.” 王只許除名表紙. 元命我征日本, 王用尹秀言, 將令儒士從軍. 可臣言, “先王用人, 各隨其才, 比之於身, 如左右手. 故上國之法, 儒戶不與軍事. 今欲使儒生, 被堅執銃, 遠從征役, 恐虧盛德.” 王然之.

  時有天變, 伍允孚請設消災道場以禳之, 可臣謂廉承益曰, “天變, 豈浮屠法所能禳盍請修德承益曰, “吾豈不知 但難言耳.” 歷密直學士政堂文學. 十六年, 世子如元, 可臣及閔漬等從行. 一日, 帝引世子于便殿, 隱几而臥問, “爾讀何書對曰, “有師儒鄭可臣·閔漬在此, 宿衛之暇, 時從質問孝經··.” 帝大悅曰, “試喚可臣來.” 世子引與俱入, 遽起而冠, 責曰, “爾雖世子, 吾甥也, 彼雖陪臣, 儒者也. 何得令我不冠以見仍賜坐, 問本國風俗, 世代相傳, 理亂之迹. 自辰至未, 聽之不倦. 後命公卿, 征交趾, 詔與高麗世子師二人同議. 可臣等曰, “交趾遠夷, 勞師致討, 不若遣使招來. 如其執迷不服, 聲罪征之, 可一擧萬全.” 對稱旨. 於是, 授可臣翰林學士嘉議大夫, 時人榮之. 自是, 眷遇日隆, 數輟珍膳, 賜之. 或天寒, 賜以貂裘.

  帝使翰林學士撒刺蠻, 問可臣本國歸附年月, 可臣對曰, “太祖皇帝, 肇興朔方, 有遼孽金山王子者, 自稱大遼, 奪掠中都子女玉帛, 東走江東城拒守. 朝廷遣哈眞·扎刺追討, 時方雪深道險, 饋饟不繼. 我國遣趙冲·金就礪, 濟兵犒師, 殲其醜虜, 因奉表請爲東藩. 太祖遣使, 詔答之, 仍論, ‘汝國人不能寒暑, 來聘固難, 其貢獻方物, 朕當使人取之.’ 此事在戊寅, 至今凡七十有六年.” 帝又召見世子于紫檀殿, 可臣從. 帝使之年, 仍命脫笠曰, “秀才不須編髮, 宜著巾.” 御案前有物, 大圓小銳, 色潔而貞, 高可尺有五寸, 內可受酒數斗, 云摩訶鉢國所獻駱駝鳥卵也. 帝命世子觀之, 仍賜世子及從臣酒, 命可臣賦詩, 可臣卽獻詩云, ‘有卵大如甕, 中藏不老春. 願將千歲壽, 醺及海東人.’ 帝嘉之, 輟賜御羹. 世子凡入見, 必令可臣從. 帝嘗觀遼東水程圖, 欲置水驛, 語可臣曰, “汝國所産唯米布, , 道遠物重, 所輸不償所費. 今欲授汝江南行省左丞使, 主海運, 歲可致若干斛. 豈唯補國用, 可給東人寓都之資.” 對曰, “高麗山川 林藪居十之七, 耕織之勞, 僅支口體之奉. 況其人不習海道, 以臣管見, 恐或不便.” 帝然之. 尋拜僉議贊成事, 二十二年, 加中贊. 時副知密直崔冲紹, 以世子命, 將設公主穹廬, 就壽昌宮基, 築壇繚垣, 大興工役. , 取土無所, 掘一穴, 人輒爭, 壓死者衆. 又沿路墻屋, 令皆覆瓦, 冲紹與可臣·李之氐·崔有渰·朴義等, 督役甚急, 民苦之. 二十四年, 上章乞退, 不允, 命五日一朝, 加壁上三韓三重大匡守司空. 旣而暴卒, 謚文靖.

性正直端嚴, 處事精審. 在政房, 諳練典故, 題品銓注, 皆當物議. 一時辭命, 多出其手, 嘗撰金鏡錄. 扁所居曰雪齋, 日與賢士大夫, 商確古今, 雖至大官, 行止如書生. 及爲冢宰, 人想望, 及卒, 國人驚悼. 或謂, “王之請禪位也, 可臣撰表, 人有言, ‘表中語, 有非王之意者. 若詰其由, 撰表者豈得可臣憂懼, 飮藥死" 後配享忠宣廟, 子倬····.

 

[역문]
高麗史列傳卷十八文靖公雪齋鄭可臣先生
                    (고려사열전권십팔문정공설재정가신선생)

鄭可臣(정가신)의 字는 獻之(헌지)며 初名(초명)은 興(흥)이니 羅州人(나주인)이다. 父(부)는 松壽(송수)로 鄕貢進士(향공진사)다. 可臣(가신)이 出生(출생)하면서 부터 穎悟(영오)하여 讀書(독서)와 作文(작문)에 자못 時輩(시배)의 推重(추중)한바가 되었다.

일찍 僧(승) 天琪(천기)를 따라 서울에 왔는데 貧窮(빈궁)하여 의지할 때가 없어서 天琪(천기)에게 寄食(기식)하니 天琪(천기)가 불쌍히 여겨 부자 집 데릴사위 할데를 求(구) 했으나 應(응)한 사람이 없어서 大府少卿(대부소경) 安弘祐(안홍우)가 約婚(약혼)을 許(허)하고 이미 定(정)한 뒤에 뉘우치고 말하기를

내 비록 가난한 士族(사족)이나 어찌 가히 鄕貢子弟(향공자제)를 들여오리오하더니 얼마 안 되어 弘祐(홍우)가 죽음에 집이 날로 가난하여 이에 허락하니 天琪(천기)가 先生(선생)의 손을 잡고 徒步(도보)로 가니 一老嫗(일로구)가 門(문)에서 맞이하여 섶에 불을 켜서 비치니 草家數間(초가수간)일 뿐이다.

天琪(천기)가 돌아와서 울면서 아! 鄭生(정생)이 이지경에 이르렀는가 하였다.

高宗朝(고종조)때 及第(급제)하여 빛난 要職(요직)을 두루 지내고 忠烈王(충열왕) 三年(3년)에 寶文閣(보문각) 待制(대제)에 任命(임명)되었다.羅州人(나주인)이 일컷기를 錦城山神(금성산신)이 무당에게 내려 말하기를

珍島(진도) 耽羅(탐라)의 싸움에 내가 實(실)로 힘이 컸었는데 將士(장사)들에게는 賞(상)을 주고 내게는 祿(록)을 주지 아니한 것은 무엇때문인가 반드시 나를 定寧公(정녕공)에 封(봉)해야 한다고 하니 先生(선생)이 그 말에 미흡되어 王(왕)께 諫(간)하여 定寧公(정녕공)에 封(봉)하고 또 그 邑祿(읍록)을 거두어 쌀 五石(5석)을 해마다 그 祠堂(사당)에 보냈다.

左司議大夫(좌사의대부)로 자리를 옮기게 되었다. 그때 李汾禧(이분희) 兄弟(형제)가 洪茶丘(홍다구)에게 붙어 金方慶(김방경)에게 罪(죄)를 圖謀(도모)하니 先生(선생)이 朝廷(조정)에 같이 있는 것을 부끄럽게 여겨 故鄕(고향)으로 돌아가 어머님을 奉養(봉양)하겠다고 두 서너 차례를 애걸함에 이르니 王(왕)께서 慰諭(위유)하고 물건을 보냄으로써 議論(의론)이 많았으나 얼마 안 되어 召還(소환)하여 秘書尹(비서윤)으로서 必闍赤(필도적)을 삼고 承旨監察司(승지감찰사)에 任命(임명)하니 말하기를 諸道(제도)의 按廉別監(안렴별감)은 職責(직책)이 官吏(관리)의 治蹟(치적)을 살피고 백성의 괴로움을 묻는 것이어늘 이제는 모두가 上供(상공)을 빙자하여 백성에게 細楮皮弊脯果名表紙(묻세저피폐포과명표지)등 물건을 거두어 權貴(권귀)에게 뇌물로 보내니 自身(자신)이 不正(부정)하면서 어찌 능히 사람을 바르게 하리오 하고 모두 罪(죄)로 다스릴 것을 請(청)하니

王(왕)이 先生(선생)에게 말하기를 닥은 땅에서 나는 것이니 종이에 무슨 弊(폐)가 있으리오하니 先生이 말하기를 臣(신)이 일찍 全州(전주) 管記(관기)로 造紙(조지)의 심히 괴로움을 아오니 이제 벼슬이 높은 이들이 쓰는 종이가 또한 많으니 능히 부끄러움이 없지 아니할 것이라하니 王(왕)께서 名表紙(명표지)만을 除外(제외)하고 許諾(허락)하였다. 元(원)나라가 우리에게 日本(일본)을 征伐(정벌)하라命(명)하니 尹秀言(윤수언)을 登用(등용)하여 장차 儒士(유사)를 從軍(종군)케 하라고 下令(하령)하니

先生(선생)이 말하기를 先王(선왕)이 사람을 씀에 各各(각각) 그 재주를 따르니 몸에 比較(비교)한다면 左右(좌우)의 손과 같음으로 上國(상국)의 法(법)에 儒戶(유호)를 軍事(군사)에 參與(참여)시키지 아니하니 이제 儒生(유생)으로 하여금 굳은 갑옷을 입히고 날카로운 창을 들려 멀리 征伐(정벌)에 따르게 한다면 두렵건데 盛德(성덕)이 이그러질까 하나이다하니 王(왕)이 그러하겠다고 하였다.

그때 天變(천변)이 있어 伍允孚(오윤부)가 消災道場(소재도장)을 設置(설치)하여 빌자고 請(청)하니 先生(선생)이 廉承益(염승익)에게 말하기를 天變(천변)을 어찌 佛法(불법)으로 능히 물리치리오하니 承益(승익)이 말하기를 『내가 어찌 모르겠는가 다만 말하기어려울 뿐이라고 하였다.

密直學士 政堂文學(밀직학사정당문학)을 歷任(역임)하고 十六年(16년)에 世子(세자)가 元(원) 나라를 가게 됨에 先生(선생)과 閔漬(민지)등이 從行(종행)하였는데 하루는 元帝(원제)가 世子(세자)를 便殿(편전)으로 불러 책상에 기대여 누워 묻기를 네가 무슨 글을 읽느냐고 하니 對答(대답)하기를 儒師(유사)인 鄭可臣(정가신)과 閔漬(민지)가 이곳에 있는데 宿衛(숙위)한 틈에 때때로 孝經(효경)과 論語.孟子(논어.맹자)를 質問(질문)합니다 하니

元帝(원제)가 크게 기뻐하고 이르기를 시험하리니 先生(선생)을 불러오라 하니 世子(세자)가 引率(인솔)하여 같이 들어가니 문득 일어나 冠(관)을 하고 꾸짖기를 네 비록 世子(세자)나 나의 外孫(외손)이요 저가 비록 陪臣(배신)이나 儒者(유자)다. 어찌 나로 하여금 冠(관)하지 않고 보게 하는고 하며 앉으라 하고 本國風俗(본국풍속)과 代代(대대)로 내려오면서 일어난 理亂(이란)의 자취를 물으니 辰時(진시:7시)로부터 未時(미시:오후3시)까지 이르도록 듣기를 게을리 아니하였다.

뒤에 公卿(공경)들에게 交趾國(교지국)을 征伐(정벌)하라고 命(명)하고 詔書(조서)하기를 高麗(고려)의 世子師(세자사) 二人(2인)과 同議(동의)하라 하니 先生(선생)이 말하기를 交趾(교지)는 멀리있는 오랑케니 군사를 수고로이 해서 討伐(토벌)한 것이 使臣(사신)을 보내어 招來(초래)함만 같지 못하니 만일 그가 固執(고집)하여 不服(불복)한다면 罪(죄)를 물어 征伐(정벌)해도 可(가)하니 一擧(일거)에 萬全(만전)함이라하고 뜻에 맞추어 對答(대답)하니 이에 先生(선생)에게 翰林學士(한림학사) 嘉義大夫(가의대부)에 除授(제수)하니 그때 사람들이 榮華(영화)롭게 여기었다.

이로부터 임금의 총애가 날로 융숭하여 자주 좋은 음식을 거두어 내리시며 혹은 추운 날에는 貂裘(초구)를 내리시었다.

元帝(원제)가 翰林學士(한림학사) 撤刺蠻(철자만)을 시켜 先生(선생)에게 本局(본국)에 歸附(귀부)한 年月(년월)을 묻자 先生(선생)이 對答(대답)하기를 太祖皇帝(태조황제) 朔方(삭방)에서 王業(왕업)을 일으킬 때 遼孼(요얼) 金山王子(금산왕자)란 놈이 있어 自稱(자칭) 大遼(대료)라 하고 中都(중도)의 子女(자녀)와 玉帛(옥백)을 奪掠(탈략)하여 東(동)으로 달아나 江東城(강동성)에서 막아 지키니 朝廷(조정)에서 哈眞札刺(합친찰자)를 보내어 追討(추토)하니 그때 바야흐로 눈이 깊이 쌓였고 길이 험하여 軍糧(군량)을 이으지 못하니 我國(아국)에서 趙沖(조충)과 金就礪(김취려)를 보내어 군사를 건지고 장수를 먹이며 그 醜虜(추로)를 섬멸하고 因(인)하여 表(표)를 받들고 東方(동방)의 울타리가 되기를 請(청)하니

太祖(태조)께서 使臣(사신)을 보내어 부드러운 말로 答(답)하시고 인하여 論(론) 하기를 너희 나라 사람이 춥고 더움에 능하지 못하여 朝貢(조공)을 바치기 어려우니 그 貢獻(공헌)한 地方土産物(지방토산물)을 朕(짐)이 마땅히 사람을 시켜 取(취)하리라 하였으니 이일이 戊寅年(무인년)에 있었으니 只今(지금)까지 무릇 七十六年(칠십육년)입니다 하였다.

元帝(원제)가 또 世子(세자)를 紫檀殿(자단전)에 召見(소견)하심에 先生(선생)이 따르니 元帝(원제)가 之年(지년)으로 하여금 그대로 삿갓을 벗으라 命(명)하시고 말씀하시기를 秀才(수재)는 모름지기 머리를 엮으지 아니하니 마땅히 巾(건)을 쓰라 하시고 임금의 案前(안전)에 물건이 있는데 크게 둥글고 조금 뾰죽하며 빛이 조촐하고 굳어 높이가 가히 一尺五寸(1척5촌)가량 되어 안에는 가히 술을 두어 말을 담을 수가 있는데 이르기를 摩訶本國(마하본국)이 바친 駱駝鳥(낙타조)의 알이라 한다.

元帝(원제)가 世子(세자)에게 命(명)하여 보라고 하고 인하여 世子(세자)와 從臣(종신)들에게 술을 내리시고 先生(선생)에게 詩(시)를 지으라고 命(명)하니 先生(선생)이 바로 詩(시)를 지어 바쳐 이르기를 『달걀 크기가 동이와 같은데 가운데 不老春(불로춘)을 감추었네. 願(원)컨데 千歲酒(천세주)를 누리어 훈훈함이 海東人(해동인)에 미치게 하소서』하니 元帝(원제)가 가상이 여기시고 임금이 자신 국을 거두어 내리시었다.

世子(세자)가 보통 때 들어와 뵈이면 可臣(가신)이 따르라고 命(명)하시었다. 元帝(원제)가 일찍 遼東(요동) 水程圖(수정도)를 보고 水驛(수역)을 두고자 하여 先生(선생)에게 말하기를 너의 나라 産物(산물)이 오즉 쌀과 布(포)이니 만일 陸路(육로)로 輸道(수도)한다면 길은 멀고 물건은 무거워 輸道(수도)한 物量(물량)이 消實(소실)한 量(량)을 당하지 못하니 이제 네게 江南行省(강남행성) 左丞使(좌수사)를 除授(제수)하여 海運(해운)을 主管(주관)케하고자 하니 한해에 若干(약간)의 斛(곡)과 匹(필)을 가져온다면 어찌 國用(국용)을 도울뿐이리오 가히 東人(동인)이 서울에 와서 살고있는 資本(자본)도 줄 것이라 하니

對答(대답)하기를 高麗(고려)의 山川(산천)과 林藪(임수)가 十分(십분)의 七(칠)을 차지하고 있으니 밭 갈고 베 짜는 勞力(노력)으로 겨우 口體(구체)의 살아감을 지탱해오며 하물며 그 사람들이 海道(해도)를 익히지 아니했으니 臣(신)의 所見(소견)으로는 두렵건데 혹시 不便(불편)할까 합니다 하니 元帝(원제) 그러하겠다고 하였다.

얼마 안 있어 僉議贊成事(첨의찬성사)에 任命(임명)하였고 二十二年(22년)에 中贊(중찬)을 더하였고 그때 副知密直(부지밀직) 崔沖紹(최충소) 世子命(세자명)으로 장차 公主(공주)의 穹廬(궁려)를 지으려고 壽昌宮(수창궁)터에다가 壇(단)을 쌓고 담을 둘러치면서 크게 工事(공사)를 일으켰다. 바야흐로 땅이 얼어서 取土(취토)에 팔곳이 없어 한 구덩이에 사람들이 몰려드니 壓死者(압사자)가 많았고 또 沿路(연로)의 墻屋(장옥)을 모두 개와를 이라고 하여 沖紹(충소)와 先生(선생)과 李之氏(이지씨) 崔有渰(최유엄) 朴義(박의) 等(등)으로 일을 督促(독촉)케 함이 甚急(심급)하여 백성이 괴로워한지라 二十四年(24년)글을 올려 물러날 것을 빌었으나 허락지 않고 五日(5일)에 한번씩 朝廷(조정)에 나오라 命(명)하고 壁上三韓三重大匡守司空(벽상삼한삼중대광수사공)을 더하였다.

이윽고 暴卒(폭졸)하니 諡號(시호)는 文靖(문정)이다. 性稟(성품)이 正直端嚴(정직단엄)하며 處事(처사)에 精審(정심)하며 政房(정방)에 있을 때 典故(전고)에 精通(정통)하며 題品(제품)과 銓注(전주)에 모두 여러 사람의 評論(평론)에 當(당)하였으며 한때 辭令(사령)이 많이 그의 손에서 나왔다.

일찍 金鏡錄(금경록)을 撰(찬)하였고 사는 곳을 扁額(편액)하기를 雪齋(설재)라 하고 날마다 어진 士大夫(사대부)로 古今(고금)을商確(상확)하고 비록 大官(대관)에 이르렀으나 行止(행지)가 書生(서생)과 같았으며 冢宰(총재)가 되자 사람들이 太平(태평)을 想望(상망)하였으나 卒(졸)하게 되자 國人(국인)이 驚悼(경도)하였으며

혹 者(자)는 이르기를 王(왕)의 禪位(선위)를 請(청)함에 先生(선생)이 表(표)를 撰(찬)하였는데 사람들이 말이 잇기를 表中(표중)의 말에 王(왕)의 뜻이 아닌 것이 있었다 하니 만약 그 연유로 꾸짖은 다면 表(표)를 撰(찬)한자 어찌 追責(추책)하리오. 先生(선생)이 憂懼(우구)하여 藥(약)을 마시었다.

死後(사후)에 忠宣廟(충선묘)에 配享(배향)되었으며아들은 倬(탁), 佺(전), 佶(길), 億(억), 儼(엄)이다.

<註>
①鄕貢進士(향공진사):地方(지방)에서 치른 試驗(시험)에 合格(합격)한 進士(진사)
②必闍赤(필도적):蒙古語(몽고어)로 書記(서기)를 말함
③貂裘(초구):돈리로 만든 갑옷
④穹廬(궁려):높은 집 즉 高臺廣室(고대광실)
⑤暴卒(폭졸):사납게 죽음 즉 天命(천명)을 누린것이 아니고 다른 작용으로 죽은것
⑥題品(제품):어느 事物(사물)을 藝術的(예술적) 표현으로 그 가치를 評(평)하는것 즉 品評(품평)
⑦銓注(전주):人物(인물)을 전령하여 적재 적소에 배치하는 것
⑧辭令(사령):말 또는 한나라의 使者(사자)로서 하는 말
⑨商確(상확):어떤 일을 비교해서 생각함
⑩冢宰(총재):최고의 臣下(신하). 重臣(중신)

 

 

아래와 같이 붙임

高麗史列傳

鄭可臣, 字獻之, 初名興, 羅州人, 父松壽, 鄕貢進士. 可臣, 生而穎悟, 讀書作文, 頗爲時輩所推. 嘗隨僧天琪來京, 貧窮無依, 寄食天琪. 天琪憐之, 求贅富家, 無應者. 太府少卿安弘祐許之, 約旣定後悔曰, “吾雖貧士族, 豈可納貢子” 未幾弘祐死, 家日貧乃許. 天琪執可臣手, 徒步而往, 一老嫗迎門, 然薪照之, 草屋數閒而已. 天琪歸且哭曰, “噫! 鄭生至於此耶” 高宗朝登第, 累歷華要. 忠烈三年, 除寶文閣待制. 羅州人稱, “錦城山神, 降于巫言, ‘珍島·耽羅之征,我實有力, 賞將士而不我祿, 何耶必封我定寧公.’” 可臣惑其言, 諷王 封定寧公, 且輟其邑祿米五石, 歲歸其祠.

遷左司議大夫, 時李汾禧兄弟, 附洪茶丘, 醞釀金方慶罪.
可臣恥與同朝, 乞歸養母, 至再三, 王慰諭以遣, 物論多之. 尋召還, 以秘書尹, 爲必闍赤, 拜承旨. 監察司言, “諸道按廉使·別監, 職在察吏治問民苦, 今皆籍上供, 斂民紬·楮皮幣·脯果·名表紙等物, 賂遺權貴. 己自不正, 烏能正人 請皆理罪.” 王謂可臣曰, “楮生於地, 紙有何弊” 可臣曰, “臣嘗管記全州, 知造紙甚苦. 今官高用紙亦多, 不能無愧.” 王只許除名表紙. 元命我征日本, 王用尹秀言, 將令儒士從軍. 可臣言, “先王用人, 各隨其才, 比之於身, 如左右手. 故上國之法, 儒戶不與軍事. 今欲使儒生, 被堅執銃, 遠從征役, 恐虧盛德.” 王然之.

時有天變, 伍允孚請設消災道場以禳之,
可臣謂廉承益曰, “天變, 豈浮屠法所能禳 盍請修德” 承益曰, “吾豈不知 但難言耳.” 歷密直學士政堂文學. 十六年, 世子如元, 可臣及閔漬等從行. 一日, 帝引世子于便殿, 隱几而臥問, “爾讀何書” 對曰, “有師儒鄭可臣·閔漬在此, 宿衛之暇, 時從質問孝經·論·孟.” 帝大悅曰, “試喚可臣來.” 世子引與俱入, 遽起而冠, 責曰, “爾雖世子, 吾甥也, 彼雖陪臣, 儒者也. 何得令我不冠以見” 仍賜坐, 問本國風俗, 世代相傳, 理亂之迹. 自辰至未, 聽之不倦. 後命公卿, 議征交趾, 詔與高麗世子師二人同議. 可臣等曰, “交趾遠夷, 勞師致討, 不若遣使招來. 如其執迷不服, 聲罪征之, 可一擧萬全.” 對稱旨. 於是, 授可臣翰林學士嘉議大夫, 時人榮之. 自是, 眷遇日隆, 數輟珍膳, 賜之. 或天寒, 賜以貂裘.

帝使翰林學士撒刺蠻, 問
可臣本國歸附年月, 可臣對曰, “太祖皇帝, 肇興朔方, 有遼孽金山王子者, 自稱大遼, 奪掠中都子女玉帛, 東走江東城拒守. 朝廷遣哈眞·扎刺追討, 時方雪深道險, 饋饟不繼. 我國遣趙冲·金就礪, 濟兵犒師, 殲其醜虜, 因奉表請爲東藩. 太祖遣使, 優詔答之, 仍論, ‘汝國人不能寒暑, 來聘固難, 其貢獻方物, 朕當使人取之.’ 此事在戊寅, 至今凡七十有六年.” 帝又召見世子于紫檀殿, 可臣從. 帝使之年, 仍命脫笠曰, “秀才不須編髮, 宜著巾.” 御案前有物, 大圓小銳, 色潔而貞, 高可尺有五寸, 內可受酒數斗, 云摩訶鉢國所獻駱駝鳥卵也. 帝命世子觀之, 仍賜世子及從臣酒, 命可臣賦詩, 可臣卽獻詩云, ‘有卵大如甕, 中藏不老春. 願將千歲壽, 醺及海東人.’ 帝嘉之, 輟賜御羹. 世子凡入見, 必令可臣從. 帝嘗觀遼東水程圖, 欲置水驛, 語可臣曰, “汝國所産唯米布, 若陸輸, 道遠物重, 所輸不償所費. 今欲授汝江南行省左丞使, 主海運, 歲可致若干斛匹. 豈唯補國用, 可給東人寓都之資.” 對曰, “高麗山川 林藪居十之七, 耕織之勞, 僅支口體之奉. 況其人不習海道, 以臣管見, 恐或不便.” 帝然之. 尋拜僉議贊成事, 二十二年, 加中贊. 時副知密直崔冲紹, 以世子命, 將設公主穹廬, 就壽昌宮基, 築壇繚垣, 大興工役. 也方凍, 取土無所, 掘一穴, 人輒爭趍, 壓死者衆. 又沿路墻屋, 令皆覆瓦, 冲紹與可臣·李之氐·崔有渰·朴義等, 督役甚急, 民苦之. 二十四年, 上章乞退, 不允, 命五日一朝, 加壁上三韓三重大匡守司空. 旣而暴卒, 謚文靖.
性正直端嚴, 處事精審. 在政房, 諳練典故, 題品銓注, 皆當物議. 一時辭命, 多出其手, 嘗撰金鏡錄. 扁所居曰雪齋, 日與賢士大夫, 商確古今, 雖至大官, 行止如書生. 及爲冢宰, 人想望大平, 及卒, 國人驚悼. 或謂, “王之請禪位也,
可臣撰表, 人有言, ‘表中語, 有非王之意者. 若詰其由, 撰表者豈得逭責’ 可臣
憂懼, 飮藥死" 後配享忠宣廟, 子倬·佺·佶·億·儼.

 

 

 

고려사 > 卷二十九 世家 卷第二十九 > 忠烈王 6年 > 7월

> 김방경이 퇴직을 청했으나 허락하지 않다 |

1280년 7월 7일(음), 1280년 8월 3일(양), 충렬왕 6년

○丙午 僉議中贊 金方慶, 上章乞退, 遣承旨 鄭可臣, 敦諭起之. 

고려사 > 卷二十九 世家 卷第二十九 > 忠烈王 7年 > 4월

> 왕이 합포현에 가다 | 1281년 4월 1일(음), 1281년 4월 20일(양), 충렬왕 7년

○四月 丙寅朔 幸合浦. 右副承旨 鄭可臣扈從.  

고려사 > 卷二十九 世家 卷第二十九 > 忠烈王 10年 > 9월

>김주정 등을 관직에 임명하다|1284년 9월 25일(음), 1284년 11월 3일(양), 충렬왕 10년

○己亥 以金周鼎爲文翰學士承旨, 李尊庇爲監察大夫, 孔愉爲典法判書, 鄭可臣爲密直學士, 崔守璜爲右副承旨. 廉守貞以寵臣承益之兄, 驟得少府尹·知制誥  

고려사 > 卷二十九 世家 卷第二十九 > 忠烈王 10年 > 12월

> 원에 하정사를 보내다 | 1284년 12월 1일(음), 1285년 1월 7일(양), 충렬왕 10년

○ 十二月 甲辰 遣密直學士 鄭可臣如元, 賀正 

고려사 > 卷三十 世家 卷第三十 > 忠烈王 13年 > 6월

> 정가신 등을 각 도의 안무사로 임명하다 | 1287년 6월 5일(음), 1287년 7월 16일(양), 충렬왕 13년

○ 甲子 遣鄭可臣于慶尙, 蔡謨于全羅, 安戩于忠淸道, 皆爲安撫使  

고려사 > 卷三十 世家 卷第三十 > 忠烈王 13年 > 12월

> 염승익 등을 관직에 임명하다 | 1287년 12월 미상(음), 충렬왕 13년

○ 以廉承益爲僉議評理, 鄭可臣 判三司事, 金忻 同判密直司事, 韓希愈 副知密直司事 

고려사 > 卷三十 世家 卷第三十 > 忠烈王 13年 > 12월

>허공 등을 관직에 임명하다 |1287년 12월 27일(음), 1288년 1월 31일(양), 충렬왕 13년

○ 癸未 以許珙爲僉議中贊, 洪子藩·韓康並爲僉議贊成事, 趙仁規·廉承益並知都僉議司事, 朴之亮 判三司事, 印侯 判密直司事, 羅裕 同知密直司事, 林貞杞·金之淑·金琿[金惲]·蔡謨並副知密直司事, 權㫜爲密直學士, 鄭可臣爲監察大夫, 李混爲右副承旨. 

고려사 > 卷三十 世家 卷第三十 > 忠烈王 14年 > 7월

>정가신 등을 관직에 임명하다 | 1288년 7월 9일(음), 1288년 8월 7일(양), 충렬왕 14년

○ 壬辰 以鄭可臣 判密直司事, 李益培 副知密直司事致仕  

고려사 > 卷三十 世家 卷第三十 > 忠烈王 16年 > 1월

> 홍자번 등이 병부에서 군사를 뽑다 | 1290년 1월 21일(음), 1290년 3월 3일(양), 충렬왕 16년

○ 乙丑 僉議贊成事 洪子藩, 判密直事 鄭可臣等, 調兵于兵部.

고려사 > 卷三十 世家 卷第三十 > 忠烈王 16年 > 11월

> 세자를 원으로 보내다 | 1290년 11월 28일(음), 1290년 12월 30일(양), 충렬왕 16년

○ 丁卯 遣世子如元. 政堂文學 鄭可臣, 禮賓尹 閔漬等從行. 世子自東京, 至京師, 行省路州官皆遣人, 勞問絡繹. 至京館于同僉樞密院事 洪君祥第, 帝屢賜鞍馬衣帶, 以寵之.  

고려사 > 卷三十 世家 卷第三十 > 忠烈王 17年 > 7월

> 원에 사신을 보내 황제의 생일을 축하하다 | 1291년 7월 17일(음), 1291년 8월 12일(양), 충렬왕 17년

○ 壬子 遣政堂文學 鄭可臣如元, 賀聖節  

고려사 > 卷三十 世家 卷第三十 > 忠烈王 17年 > 9월

> 홍자번 등을 관직에 임명하다 | 1291년 9월 1일(음), 1291년 9월 24일(양), 충렬왕 17년

○ 九月 乙未 以洪子藩 判典理司事 世子師, 趙仁規 判軍簿司事 世子傅, 廉承益 判版圖司事 世子保, 鄭可臣爲僉議贊成事 世子貳師, 金忻 判密直司事.  

고려사 > 卷三十 世家 卷第三十 > 忠烈王 18年 > 8월

> 원 황제가 세자와 더불어 일본 정벌을 논의하다 | 1292년 8월 19일(음), 1292년 9월 30일(양), 충렬왕 18년

○ 丁未 世子謁帝于紫檀殿. 鄭可臣·柳庇等隨入. 有丁右丞者奏, “江南戰船, 大則大矣, 遇觸則毁, 此前所以失利也. 如使高麗造船, 而再征之, 日本可取.” 帝問征日本事, 洪君祥進言曰, “軍事至大, 宜先遣使, 問諸高麗, 然後行之.” 帝然之.  

고려사 > 卷三十一 世家 卷第三十一 > 忠烈王 20年 > 1월

> 원 세조황제가 죽자 왕이 빈전에서 제사를 지내다 | 1294년 1월 22일(음), 1294년 2월 18일(양), 충렬왕 20년

○ 癸酉 世祖皇帝崩. 王與公主, 以羊十馬一, 祭于殯殿, 其文曰, “鰈墟莫遠, 佇瞻蓂陛以來賓, 龍馭忽回, 曷極鼎湖之哀慕. 夢也覺也, 顚之倒之. 聊修菲薄之儀, 冀垂歆容之賜.” 將使贊成事 鄭可臣讀之, 諸大臣止之曰, “豈宜用諸侯之禮, 祭天子乎” 遂不讀, 王奠薦之禮, 哀慕之誠, 皆致其極. 元朝喪制, 非國人不敢近, 唯高麗得與焉, 故王之從臣, 雖輿臺之賤, 出入無禁  

고려사 > 卷三十一 世家 卷第三十一 > 忠烈王 20年 > 5월

> 원 황제가 고려의 귀부 햇수를 묻자 왕이 76년이 되었음을 답하다 | 1294년 5월 미상(음), 충렬왕 20년

○ 帝嘗使翰林學士 撒刺蠻, 問高麗歸附年月, 王使鄭可臣, 上書以對曰, “太祖聖武皇帝, 肇興朔方時, 則有大勢國, 助征金國, 恃功而驕, 不用帝命. 有金山王子者, 改其國號, 自稱大遼, 奪掠中都等處子女玉帛, 東走江東城拒守, 朝廷遣哈眞·扎刺追討, 時方雪深道險, 粮餉不繼. 高王聞之, 遣趙冲·金就勵, 濟兵犒師, 殲其醜虜. 因奉表, 請爲東藩, 太祖遣慶都虎思, 優詔荅之, 大加稱賞, 于今七十有六年矣.”  

고려사 > 卷三十一 世家 卷第三十一 > 忠烈王 21年 > 1월

> 정가신 등을 관직에 임명하다 | 1295년 1월 24일(음), 1295년 2월 9일(양), 충렬왕 21년

○ 己巳 以鄭可臣爲僉議侍郞贊成事, 印侯爲世子貳師, 金忻 知都僉議司事, 金之淑 判三司事, 安珦爲密直司使, 車信爲世子元賓, 柳陞 知密直司事, 崔有渰·李之氐爲左右常侍, 李混 同知密直司事, 柳庇·閔漬爲左右承旨, 元卿爲左副承旨.  

고려사 > 卷三十一 世家 卷第三十一 > 忠烈王 22年 > 4월

> 향각에서 꽃놀이 잔치를 열다 | 1296년 4월 12일(음), 1296년 5월 15일(양), 충렬왕 22년

○ 庚戌 還宮, 設賞花宴于香閣, 大學士 鄭可臣製詩以賀  

고려사 > 卷三十一 世家 卷第三十一 > 忠烈王 22年 > 4월

> 꽃놀이 잔치 때 정가신이 지은 시에 화답한 사람에게 쌀을 주다 | 1296년 4월 27일(음), 1296년 5월 30일(양), 충렬왕 22년

○乙丑 命都僉議郞舍, 禁內六官及學官, 和鄭可臣賞花內宴詩, 各賜米二十石  

고려사 > 卷三十一 世家 卷第三十一 > 忠烈王 22年 > 7월

> 원에 사신을 보내 황제의 생일을 축하하고 왕의 입조를 청하다 | 1296년 7월 28일(음), 1296년 8월 28일(양), 충렬왕 22년

○ 乙未 遣中贊 鄭可臣如元, 賀聖節. 上將軍 金延壽, 請入朝  

고려사 > 卷三十一 世家 卷第三十一 > 忠烈王 23年 > 10월

> 정가신 등을 관직에 임명하다 | 1297년 10월 2일(음), 1297년 10월 18일(양), 충렬왕 23년

○ 冬十月 辛卯 以鄭可臣爲僉議中贊 判典理司事 世子師, 洪奎 判三司事, 李之氐爲三司左使, 朴義 知密直司事 世子元賓, 柳庇 同知密直司事 監察大夫, 崔冲紹·許評竝副知密直司事, 崔旵爲右常侍, 閔宗儒 知申事  

고려사 > 卷三十一 世家 卷第三十一 > 忠烈王 23年 > 10월

> 정가신 등을 관직에 임명하다 | 1297년 10월 2일(음), 1297년 10월 18일(양), 충렬왕 23년

○ 冬十月 辛卯 以鄭可臣爲僉議中贊 判典理司事 世子師, 洪奎 判三司事, 李之氐爲三司左使, 朴義 知密直司事 世子元賓, 柳庇 同知密直司事 監察大夫, 崔冲紹·許評竝副知密直司事, 崔旵爲右常侍, 閔宗儒 知申事  

고려사 > 卷三十三 世家 卷第三十三 > 忠宣王 卽位年 > 3월

> 정가신의 치사 요청을 허락하지 않다 | 1298년 3월 미상(음),

○ 中贊 鄭可臣上章乞退, 不允  

고려사 > 卷三十三 世家 卷第三十三 > 忠宣王 卽位年 > 5월

> 조인규 등을 관직에 임명하다 | 1298년 5월 6일(음), 1298년 6월 15일(양),

○ 是日, 以趙仁規爲司徒侍中 叅知光政院事, 洪子藩爲左僕射 叅知光政院事, 洪奎守司徒領景靈宮事, 鄭可臣爲司空右僕射 修文殿大學士 監修國史 叅知光政院事, 印侯爲光政使 叅知機務, 金琿檢校守司徒領奉常寺事, 車信·李之氐並檢校司徒資政院使, 金之淑 同知光政院使 叅知機務, 安珦 叅知機務 行東京留守 集賢殿大學士 雞林府尹, 柳庇爲光政副使兼權叅知機務, 崔有渰檢校司空司憲大夫, 李混檢校司空西京留守 平壤府尹, 鄭瑎爲南京留守 廣陵府尹, 崔冲紹 同知資政院事 行中京留守 開元府尹 果毅軍都指揮使, 朴義 同知資政院事, 閔漬 集賢殿大學士 簽光政院事, 元卿爲中京留守 果毅軍都指揮使, 閔宗儒爲銓曹尙書 崇福館使, 許評爲民曹尙書, 尹珤爲弘文館學士 儀曹尙書, 崔旵爲詞林學士承旨 刑曹尙書, 全昇爲崇文館學士 兵曹尙書, 柳栯爲兵曹尙書 鷹揚軍上將軍, 吳漢卿爲詞林學士 試左散騎常侍, 李瑱爲詞林學士 試右散騎常侍, 洪子翰爲金吾衛攝上將軍兼司憲中丞, 張碩爲光政都承旨 奉常卿, 金恂爲光政副使承旨 成均祭酒, 趙瑞爲光政承旨 典客卿, 李承休爲詞林侍讀學士 試秘書監 左諫議大夫, 沈逢吉爲司憲中丞, 權永爲詞林侍講學士 試衛尉卿, 趙簡爲刑曹侍郞 右諫議大夫  

고려사 > 卷三十三 世家 卷第三十三 > 忠宣王 卽位年 > 6월

> 첨의중찬 정가신이 죽다 | 1298년 6월 미상(음),

○ 僉議中贊 鄭可臣 

고려사 > 卷三十三 世家 卷第三十三 > 忠宣王 復位年 > 11월

> 왕이 공평한 조세 부과 등의 각종 개혁정책을 발표하다 | 1308년 11월 16일(음), 1308년 11월 29일(양), 충선왕 복위년

○ 辛未 王在金文衍家, 百官會梨峴新宮, 王下敎曰, “肇自祖王, 統合三韓, 臣服述職者尙矣, 逮我父王, 上國顧遇, 更異於前, 獲承釐降, 厚沐寵光. 孤亦入侍, 繼爲駙馬, 歷衛三朝, 于今十有九年. 越於年前, 仰憑皇帝·皇太后·皇太子, 奮庸熙載, 肅淸四海, 至於本國, 奸佞之儔, 亦皆蕩除, 內外安寧. 孤乃請欲歸寧父王, 上天不吊, 未獲少延, 剋日奔喪, 何嗟及矣 皇帝哀予小子, 乃許愼終繼襲之命, 尋遣使臣, 仍授征東行中書省右丞相 高麗國王, 依前開府儀同三司駙馬都尉瀋陽王. 噫! 聖恩重大, 王位難虛, 承先父之遺訓, 追臣民之推戴, 以否德就位, 兢兢業業, 不敢遑寧. 追惟祖王, 開創之初, 法度悉備, 降及後代, 漸致陵夷. 又近, 奸臣得志, 愚弄國柄, 毁綱隳紀, 公私田民, 倂爲所奪, 人民艱食, 官廩空虛, 私門富溢, 孤甚痛之. 庸是, 擇遣使人, 點數民田, 均租定賦, 遹追前式. 此盖一爲國用周備, 一爲俸祿贍給, 一爲民産豊足. 況司牧之初, 宜加異澤, 自至大元年十月十六日黎明以前, 除不忠不孝, 謀故殺人外, 咸宥除之.

一, 祖王以降, 歷代祖先, 宜加上德號.

一, 城隍幷國內名山大川, 載在祀典者, 並宜加號.

一, 圓丘·籍田·社稷, 乃國家徼福之所, 宜令有司, 營立齋廚, 祭膳之設, 要當蠲潔.

一, 寢園及祖宗墳墓, 務在敬崇, 邇來有司怠慢, 至有傾頹毁者. 今特設典儀寺, 全爲斯任, 其寢園, 一新營構, 諸墳墓, 更加完補, 置看守人戶, 禁樵採放火.

一, 大成至聖文宣王, 百代之師, 春秋釋奠, 朔望祭享, 諸儒聚會, 宜加精潔.

一, 孝子·順孫·節婦·烈女, 旌表門閭, 許加分職.

一, 地理國師道詵, 儒宗弘儒侯薛聰, 文昌侯崔致遠, 並宜加號.

一, 諸衙門, 隨時沿革, 不拘一體. 況本國, 官多虛設, 名存實少, 今商酌時便, 或倂或省, 宜加勤恪, 各供爾職.

一, 先於至元十二年, 欽蒙世祖皇帝, 遣阿禿因, 來傳聖旨, 又於至元二十八年, 予與鄭可臣·柳淸臣等, 詣紫檀殿裏, 親奉世祖皇帝聖旨云, ‘同姓不得通婚, 天下之通理. 況爾國識會文字, 行夫子之道, 不應要同姓.’ 時有李守丘, 傳說柳淸臣, 又傳譯鄭可臣, 本國因循, 未還遽革耳. 自今, 若宗親娶同姓者, 以違背聖旨論, 宜娶累世宰相之女爲室, 宰相之男, 可聽娶宗世之女. 若家世卑微, 不在此限. 新羅王孫金琿一家, 亦爲順敬太后叔伯之宗, 彦陽金氏一宗, 定安任太后一宗, 慶源李太后·安山金太后·鐵原崔氏·海州崔氏·孔岩許氏·平康蔡氏·淸州李氏·唐城供氏·黃驪閔氏·橫川趙氏·坡平尹氏·平壤趙氏並累代功臣宰相之宗, 可世爲婚媾, 男尙宗女, 女爲宗妃. 文武兩班之家, 不得娶同姓, 外家四寸, 亦聽求婚.

一, 自至元二十七年, 至大德元年, 自大德二年, 至于今, 侍從臣僚, 多負勞苦, 其功可賞, 宜別錄敍用.

一, 大德三年, 本國無賴之徒, 將欲搆亂, 萬戶 忽刺歹·金忻等, 先知其謀, 有能整亂, 其功可賞, 宜別錄敍用.

一, 大德七年春, 奸臣佞竪, 至行在香水園, 謀爲不利於孤, 評理 朴景亮·劉福和·供詵·許有全·李連松·姜融·李珍·李萮·趙通等, 奮義忘生, 力沮奸謀, 忠勤特異. 朴景亮宜別錄敍用, 其親子及堂兄弟姉妹, 至于子孫, 一皆爲良, 劉福和·供詵·許有全·李連松·姜融·李珍·李萮·趙通等, 尤加敍用, 延及子孫.

一, 大德九年冬, 本國宰相洪子藩·崔有渰·柳淸臣·金深·金利用等, 圖安宗社, 重義輕身, 偕赴朝廷, 論列利害, 爲孤請還, 其功殊異, 宜別綠敍用.”

是日, 下批判, 檢校之職, 益繁矣. 又下旨于典農司, “一, 本司所畜米穀, 但爲備荒而已, 閒有無職之人, 冒求購受, 爲費不細. 其前後所下賜米鈞旨, 盡行封置毋給. 一, 賜給田租, 已納到司者, 雖有還給鈞旨, 勿用聽受. 一, 豪勢之家, 始以賜給, 占籍土田, 因稱祖業者, 及其足丁, 剩於本數者, 令各道務農使, 盡行打量, 納租本司. 一, 京畿八縣, 祿科·口分田外, 其餘田租, 疾早收畜. 一, 東西積倉, 用船軍·其人各一百名及諸色匠人, 從宜營造. 一, 農元倉·東積倉·西積倉, 令伍尉·隊正失職者九十名, 輪日直守, 有政, 當加敍用.”  

고려사 > 卷三十六 世家 卷第三十六 > 忠惠王 卽位年 > 6월

> 선대 왕들의 신주를 재배치하다 | 1330년 6월 27일(음), 1330년 7월 13일(양), 충혜왕 즉위년

○ 丁未 祔忠宣王于寢園, 以忠正公洪子藩·文靖公鄭可臣配享, 遷仁宗主, 權安康宗主于東夾室.  

고려사 > 卷六十 志 卷第十四 > 禮 二 > 길례대사

> 묘정에 배향하는 체협공신

○ 禘祫功臣配享於庭.

太祖室. 太師·開國·武烈公裴玄慶, 太師·開國·忠烈公洪儒, 太師·開國·武恭公卜智謙, 太師·開國· 壯節公申崇謙, 太師·開國·忠節公庾黔弼, 太傅·熙愷公崔凝.

惠宗室. 太師·開國·嚴毅公朴述希, 太師·開國·克翼公金堅術.

定宗室. 守太師·開國·威靜公王式廉.

光宗室. 太師·匡衛公劉新城, 太師·內史令·開國·貞敏公徐弼.

景宗室. 太師·開國·匡益公朴良柔, 太師·開國·敏休公崔知夢.

成宗室. 太師·內史令·匡彬公崔亮, 太師·內史令·文貞公崔承老, 太尉·內史令·貞憲

公李夢游, 太師·內史令·章威公徐熙, 司徒·內史令 李知白.

穆宗室. 太師·內史令·貞信公韓彦恭, 太師·門下侍中·忠懿公崔肅, 太尉·門下侍中 金承祚.

顯宗室. 太師·門下侍中·仁憲公姜邯贊, 太師贈門下侍中·節義公崔沆, 太師·內史令·貞肅公崔士威, 太師·中書令·英肅公王可道.

德宗室. 太尉·門下侍郞平章事·襄懿公柳韶.

靖宗室. 太師·內史令·元肅公徐訥, 太師·門下侍中·景文公黃周亮, 太師·中書令·文憲公崔冲, 守司 徒·門下侍中·貞簡公金元冲.

文宗室. 太尉·門下侍中·順恭公崔齊顔, 太師·中書令·章和公李子淵, 太師·中書令·景肅公王寵之, 太師·中書令·文和公崔惟善.

順宗室. 守司徒·門下侍中·文忠公李靖恭.

宣宗室. 守太尉·門下侍中·長淵縣開國伯·貞獻公文正, 守司徒·門下侍中·匡肅公柳洪, 守太尉·門下侍郞平章事·文貞公金上琦.

獻宗【闕】

肅宗室. 守太尉·門下侍中·忠謙公邵台輔, 守司空·左僕射·叅知政事·景烈公王國髦, 守太尉·中書 令·忠景公崔思諏.

睿宗室. 守司空·中書侍郞平章事·貞簡公柳仁著, 守太師·門下侍中·鈴平伯·文肅公尹瓘, 守太傅·門 下侍中·文成公金仁存, 守太保·門下侍中·忠烈公魏繼廷.

仁宗室. 守太傅·中書令·樂浪侯·文烈公金富軾, 守太尉·門下侍郞平章事·莊景公崔思全.

毅宗室. 平章事 崔允儀, 平章事·恭肅公庾弼, 平章事 文公元.

明宗室. 平章事·文定公尹鱗瞻, 平章事·忠肅公文克謙.

神宗室. 門下侍中·文景公趙永仁.

熙宗室. 平章事·文懿公崔詵, 平章事·良淑公任濡.

康宗室. 叅知政事·翊烈公鄭克溫.

高宗室. 平章事·文正公趙冲, 侍中 李杭, 侍中·威烈公金就礪.

元宗室. 平章事 李世材, 平章事 蔡楨.

忠烈王室. 中贊·文敬公許珙, 中贊·文良公薛公儉.

忠宣王室. 中贊·忠正公洪子藩, 中贊·文靖公鄭可臣.

忠肅王【闕】

忠惠王室. 政丞·思肅公韓渥, 叅理 李揆.

忠穆王【闕】

忠定王室. 鐵城府院君·文貞公李嵓, 興安府院君·文忠公李仁復.

恭愍王室. 政丞·正獻公王煦, 雞林府院君·文忠公李齊賢, 益城府院君·文忠公李公遂, 夏城府院君·襄平公曹益淸, 瑞寧君·文僖公柳淑.

志卷第十四.  

고려사 > 卷七十三 志 卷第二十七 > 選擧 一 > 과목 1

> 최함일 등이 급제하다 | 1290년 5월 미상(음), 충렬왕 16년

○ 十六年五月 政堂文學 鄭可臣 知貢擧, 判秘書事 金賆 同知貢擧, 取進士, 賜崔咸一等三十一人及第  

고려사 > 卷七十三 志 卷第二十七 > 選擧 一 > 과목 1

> 강훤 등이 급제하다 | 1295년 10월 미상(음), 충렬왕 21년

○ 二十一年十月 鄭可臣 知貢擧, 金恂 同知貢擧, 取進士, 賜姜喧等二十七人及第

고려사 > 卷一百四 列傳 卷第十七 > 諸臣 > 김방경

> 원 황제가 김방경을 사면하고 위로하다

○ 帝諭王曰, “訴方慶者皆死, 無可對訟, 朕已知方慶寃.” 遂赦之, 命隨王還國. 復爲中贊, 賜銀十斤. 六年秋, 上章乞退, 王遣承旨 鄭可臣, 敦諭起之. 冬, 復請老, 王曰, “卿年雖老, 勳業殊異, 豈宜輕許其退 且今天子有東征之命, 我國亦當奏置元帥. 苟以無功業者請, 帝以爲何如” 遂不允. 後復上章乞退, 又不允, 遣右承旨 趙仁規, 上中書省書曰, ‘陪臣金方慶, 盡心供職, 凡有朝命, 恪勤不懈. 又於珍島·耽羅·日本, 隨官軍致討, 累捷有功, 宣授虎頭牌, 獎諭答勞. 今復管領正軍一萬·水手一萬五千, 往征日本, 若不參領軍事, 竊恐難以號令, 或致違誤. 方慶年齡雖邁, 壯心尙在, 欲更盡力, 以答天恩. 伏請善奏, 許參元帥府, 勾當公事.’

帝下詔, 授方慶中善大夫管領高麗國都元帥. 時方慶如元賀正, 帝御大明殿受賀, 四品以上得上殿赴宴. 方慶亦與焉, 帝溫言慰籍, 命坐丞相之次, 賜珍餐, 又賜白飯魚羹曰, “高麗人好之.” 仍侍宴三日. 及還, 賜弓矢·劒·白羽甲, 又賜弓一千·甲冑一百·胖襖二百, 令分賜東征將士, 仍示東征條令. 丞相安童, 素與本國有恩者, 時在朔方, 故不國贐行. 方慶以銀盂·苧布, 遺其夫人, 夫人曰, “莫是金相邪 自丞相北去, 絶無國贐, 非公誰數婦人” 前此, 進奉使必國贐以行, 或有羨餘, 爲使者率私用, 方慶嘗爲進奉使, 悉還之  

 

  여기서 부터 신미보(辛未譜 )내역


고려사 > 卷一百五 列傳 卷第十八 > 諸臣

> 정가신

鄭可臣, 字獻之, 初名興, 羅州人, 父松壽, 鄕貢進士. 可臣, 生而穎悟, 讀書作文, 頗爲時輩所推. 嘗隨僧天琪來京, 貧窮無依, 寄食天琪. 天琪憐之, 求贅富家, 無應者. 太府少卿 安弘祐許之, 約旣定後悔曰, “吾雖貧士族, 豈可納鄕貢子” 未幾弘祐死, 家日貧乃許. 天琪執可臣手, 徒步而往, 一老嫗迎門, 然薪照之, 草屋數閒而已. 天琪歸且哭曰, “噫! 鄭生至於此耶” 高宗朝登第, 累歷華要. 忠烈三年, 除寶文閣待制. 羅州人稱, “錦城山神, 降于巫言, ‘珍島·耽羅之征, 我實有力, 賞將士而不我祿, 何耶 必封我定寧公.’” 可臣惑其言, 諷王 封定寧公, 且輟其邑祿米五石, 歲歸其祠.  

고려사 > 卷一百五 列傳 卷第十八 > 諸臣 > 정가신

> 정가신이 김방경 무고사건에 반대하여 사직하다

遷左司議大夫, 時李汾禧兄弟, 附洪茶丘, 醞釀金方慶罪. 可臣恥與同朝, 乞歸養母, 至再三, 王慰諭以遣, 物論多之. 尋召還, 以秘書尹, 爲必闍赤, 拜承旨.

監察司言, “諸道按廉使·別監, 職在察吏治問民苦, 今皆籍上供, 斂民紬·楮皮幣·脯果·名表紙等物, 賂遺權貴. 己自不正, 烏能正人 請皆理罪.” 王謂可臣曰, “楮生於地, 紙有何弊” 可臣曰, “臣嘗管記全州, 知 紙甚苦. 今官高用紙亦多, 不能無愧.” 王只許除名表紙. 元命我征日本, 王用尹秀言, 將令儒士從軍. 可臣言, “先王用人, 各隨其才, 比之於身, 如左右手. 故上國之法, 儒戶不與軍事. 今欲使儒生, 被堅執銃, 遠從征役, 恐虧盛德.” 王然之.

時有天變, 伍允孚請設消災道場以禳之, 可臣謂廉承益曰, “天變, 豈浮屠法所能禳 盍請修德” 承益曰, “吾豈不知 但難言耳.” 歷密直學士·政堂文學  

고려사 > 卷一百五 列傳 卷第十八 > 諸臣 > 정가신

> 정가신이 충렬왕을 수행하여 원에 가다

○ 十六年, 世子如元, 可臣及閔漬等從行. 一日, 帝引世子于便殿, 隱几而臥問, “爾讀何書” 對曰, “有師儒鄭可臣·閔漬在此, 宿衛之暇, 時從質問孝經·論·孟.” 帝大悅曰, “試喚可臣來.” 世子引與俱入, 遽起而冠, 責曰, “爾雖世子, 吾甥也, 彼雖陪臣, 儒者也. 何得令我不冠以見”賜坐, 問本國風俗, 世代相傳, 理亂之迹. 自辰至未, 聽之不倦. 後命公卿, 議征交趾, 詔與高麗世子師二人同議. 可臣等曰, “交趾遠夷, 勞師致討, 不若遣使招來. 如其執迷不服, 聲罪征之, 可一擧萬全.” 對稱旨. 於是, 可臣 翰林學士·嘉議大夫, 時人榮之. 自是, 眷遇日隆, 數輟珍膳, 賜之. 或天寒, 賜以貂裘.

帝使翰林學士 撒刺蠻, 問可臣本國歸附年月, 可臣對曰, “太祖皇帝, 肇興朔方, 有遼孽金山王子者, 自稱大遼, 奪掠中都子女玉帛, 東走江東城拒守. 朝廷遣哈眞·扎刺追討, 時方雪深道險, 饋饟不繼. 我國遣趙冲·金就礪, 濟兵犒師, 殲其醜虜, 因奉表請爲東藩. 太祖遣使, 優詔答之, 仍論, ‘汝國人不能寒暑, 來聘固難, 其貢獻方物, 朕當使人取之.’ 此事在戊寅, 至今凡七十有六年.” 帝又召見世子于紫檀殿, 可臣從. 帝使之年, 仍命脫笠曰, “秀才不須編髮, 宜著巾.” 御案前有物, 大圓小銳, 色潔而貞, 高可尺有五寸, 內可受酒數斗, 云摩訶鉢國所獻駱駝鳥卵也. 帝命世子觀之, 仍賜世子及從臣酒, 命可臣賦詩, 可臣卽獻詩云, ‘有卵大如甕, 中藏不老春. 願將千歲壽, 醺及海東人.’ 帝嘉之, 輟賜御羹. 世子凡入見, 必可臣從.

帝嘗觀遼東水程圖, 欲置水驛, 語可臣曰, “汝國所産唯米·布, 若陸輸, 道遠物重, 所輸不償所費. 今欲授汝江南行省左丞使, 主海運, 歲可致若干斛. 豈唯補國用, 可給東人寓都之資.” 對曰, “高麗山川 林藪居十之七, 耕織之勞, 僅支口體之奉. 況其人不習海道, 以臣管見, 恐或不便.” 帝然之.

尋拜僉議贊成事, 二十二年, 加中贊. 時副知密直 崔冲紹, 以世子命, 將設公主穹廬, 就壽昌宮基, 築壇繚垣, 大興工役. 地方凍, 取土無所, 掘一穴, 人輒爭趍, 壓死者衆. 又沿路墻屋, 令皆覆瓦, 冲紹與可臣·李之氐·崔有渰·朴義等, 督役甚急, 民苦之. 二十四年, 上章乞退, 不允, 命五日一朝, 加壁上三韓三重大匡·守司空. 旣而暴卒, 謚文靖.

性正直端嚴, 處事精審. 在政房, 諳練典故, 題品銓注, 皆當物議. 一時辭命, 多出其手, 嘗撰金鏡錄. 扁所居曰雪齋, 日與賢士大夫, 商確古今, 雖至大官, 行止如書生. 及爲冢宰, 人想望大平, 及卒, 國人驚悼. 或謂, “王之請禪位也, 可臣撰表, 人有言, ‘表語, 有非王之意者. 若詰其由, 撰表者豈得逭責可臣憂懼, 飮藥死.後配享忠宣廟, 子倬·佺·佶·億·儼.  

                                                                                                                                                       여기까지

고려사 > 卷一百七 列傳 卷第二十 > 諸臣

> 민지

閔漬, 字龍涎, 驪興人, 平章事 令謨五世孫也. 元宗朝, 擢魁科, 忠烈時, 由祗候, 遷殿中侍史, 累轉禮賓尹. 忠宣以世子如元, 漬與鄭可臣從之. 一日, 帝命公卿, 議征交趾, 詔與漬等同議. 對稱旨, 授翰林直學士·朝列大夫. 後元欲復征日本, 令本國 戰艦. 王入朝欲陳東征不便, 漬以左副承旨從行. 漬偶閱杜氏通典, 及唐太宗征高麗, 魏徵諫曰, “高麗如石田, 得之無益.” 乃示僉院 洪君祥因語曰, “倭之於大元, 豈啻若唐之於高麗乎 況往歲之役, 本國民力竭矣. 今若不寢, 乃吾民何 惟公圖之.” 君祥曰, “君有命, 敢不從” 漬以君祥言議從臣, 欲罷造艦. 印侯·張舜龍曰, “此朝廷大事, 豈以一僉院言, 止之乎” 漬曰, “後若有詰, 我自當之, 非諸君所知也.” 遂白王罷之, 人以漬爲勁直. 世子諷王, 令西京留守 安悅致仕, 欲以從臣代之. 漬以悅年未七十爲辭, 王乃止. 世子怒謂漬曰, “揚人之惡, 以鈞其名, 卿有焉.” 陞密直學士, 添設也, 尋罷. 王嘗遣內僚高汝舟, 令漬製詩, 漬饋汝舟白酒靑瓜. 汝舟白王曰, “漬雖宰相, 其貧無比.” 王乃賜米一百碩. 久之, 授集賢殿大學士·僉光政院事, 改同知密直司事·監察大夫·詞林學士承旨, 加判密直司事. 忠宣初, 以僉議政丞致仕. 忠肅八年, 起爲守政丞, 封驪興君.

고려사 > 卷一百七 列傳 卷第二十 > 諸臣 > 민지

> 민지가 충선왕 소환을 요청하다

十年, 漬與駕洛君 許有全, 興寧君 金如元, 表請召還忠宣. 漬自述其表, 略曰, “蕞爾小邦, 依于上國. 太祖皇帝龍興之際, 契丹遺種, 漏逃天網, 闌入我疆, 朝廷遣哈眞·札刺兩元帥討之. 我忠憲王, 遣陪臣趙冲等, 運粮助戰, 以滅之, 兩元帥與冲等盟曰, ‘今我二國, 約爲兄弟, 世世子孫, 無相忘也.’ 我忠敬王, 以世子入朝, 端遇世祖皇帝. 回自南征, 將繼大統, 命我忠敬王, 還國襲爵. 忠烈王, 亦以世子, 入侍天庭, 世積忠勤, 釐降公主, 得生嗣子前王璋. 前王年十六, 承詔入侍, 世祖皇帝, 冊爲世子, 降詔云, ‘嗣惟汝嫡, 親實我甥.’ 自是, 留侍輦轂, 歷事五朝. 沈酣德澤, 貪戀寵光, 但期作善以盡忠. 不覺執迷而獲罪, 雖云遠謫, 是帝師興福之鄕. 若復尋思, 亦君父滌瑕之藥, 但在自新之遲速, 豈無如舊之恩憐 臣等曾無匡救之能, 俾及顚隮之患. 又迫桑楡之晩景, 靡堪犬馬之戀懷. 旣難逃歲月之如流, 恐遂隔音容而入地故, 增深痛, 共切哀祈. 伏望, 矜我王失計而無他. 憐老物忘軀而到此, 賜籠鶴得還之翼, 令復舊巢. 指海鼈更戴之齡, 祝延聖算.”

又獻書都堂曰, “方今天下土地之廣, 人民之衆, 自有宇宙以來, 無與今日比者. 然未聞一夫不獲其所, 一物不得其宜者. 實由諸相公贊襄燮理之功. 伏惟, 前王以世祖之外甥, 歷事五朝, 凡三十餘載, 但以廣作勝綠, 祝延聖算爲己任. 一旦不覺執迷, 獲戾於天, 遠謫西土者, 于今四年, 豈不痛哉 小邦人民, 旣非木石, 誰無犬馬戀主之情 然天遙地隔, 蚊虻之鳴, 上達無由, 但日夜呼泣而己. 况漬等曾被任用, 荷德費恩, 旣極名位, 年且耆耈, 豈不百倍于常情乎 然雷霆之威, 無所不震, 驚懼失措, 罔知所圖. 但仰望天日, 而趑趄海隅者久矣. 今諸相國閣下, 將使四海之內, 無一物不得其所. 若未達殘陽戀主之情, 忽先朝露以沒, 則可謂孤負盛代, 恨及黃泉. 由是, 忍病登途, 備嘗艱險, 幸存餘喘, 匍匐而來. 伏望, 諸相公哀我王遠謫殊方, 累經歲月. 憐老軀生度三千餘里, 欲申微願善爲敷奏. 導宣聖澤, 回我王萬里之行, 則漬等雖老, 忘軀報德之心, 不後於龜蛇.” 漬等留元半歲餘, 爲瀋王黨所沮, 竟未達而還.

十三年卒, 年七十九, 謚文仁. 忠烈嘗命漬增修鄭可臣所撰千秋金鏡錄, 國家多故, 未暇及焉. 後與權溥同校撰成, 名曰世代編年節要. 上自虎景大王, 迄于元王, 分爲七卷, 幷世係圖以進. 又撰本國編年綱目, 上起國祖文德大王, 下訖高宗, 書凡四十二卷. 其昭穆之論, 與編年節要不同. 漬稍有文藻而多俗習, 心術不正, 謟事內人. 且不知性理之學, 其論有背於聖人, 至以朱子昭穆之議爲非, 所見之偏類此. 子祥正.  

고려사 > 卷一百十二 列傳 卷第二十五 > 諸臣 > 이존오

> 이존오가 신돈의 전횡을 비판하다

辛旽當國, 凌僣不法, 無敢言者. 存吾奮不顧身, 將論之. 袖䟽藁赴省, 示同列曰, “妖物誤國, 不可不去.” 諸郞畏縮, 無敢應者. 左司議大夫 鄭樞, 存吾姻親也, 謂曰, “兄不當如是.” 樞從之. 遂上曰, “臣等伏値三月十八日, 於殿內設文殊會, 領都僉議 辛旽, 不坐宰臣之列, 敢與殿下並坐, 閒不數尺, 國人驚駭, 罔不洶洶. 夫禮所以辨上下定民志, 苟無禮焉, 何以爲君臣, 何以爲父子, 何以爲國家乎 聖人制禮, 嚴上下之分, 謀深而慮遠也. 竊見, 旽過蒙上恩, 專國政而有無君之心. 當初領都僉議·判監察命下之日, 法當朝服進謝, 而半月不出. 及進闕庭, 膝不少屈, 常騎馬出入紅門, 與殿下並據胡床. 在其家, 宰相拜庭下, 皆坐待之, 雖崔沆·金仁俊·林衍之所爲, 亦未有如此者也. 昔爲沙門, 當置之度外, 不必責其無禮. 今爲宰相, 名位已定, 而敢失禮毁常若此. 原究其由, 必托以師傅之名. 然兪升旦 高王之師, 鄭可臣 德陵之傅, 臣等未聞彼二人者, 敢若此也. 李資謙 仁王之外祖, 仁王謙讓, 欲以祖孫之禮相見, 畏公論而不敢, 盖君臣之分, 素定故也. 是禮也, 自有君臣以來, 亘萬古而不易, 非旽與殿下之所得私也.

旽是何人, 敢自尊若此乎 洪範曰, ‘惟辟作福, 惟辟作威, 惟辟玉食. 臣而有作福·作威·玉食, 必害于家, 凶于國. 人用側頗僻, 民用僣忒.’ 是謂臣而僣上之權, 則有位者, 皆不安其分, 小民化之, 亦踰越其常也. 旽作福作威, 又與殿下抗禮, 是國有兩君也. 陵僣之至, 驕慢成習, 則有位者, 不安其分, 小民踰越其常, 可不畏哉 宋司馬光曰, ‘紀綱不立, 奸雄生心.’ 然則禮不可不嚴, 習不可不愼. 若殿下必敬此人, 而民無灾禍, 則髡其頭, 緇其服, 削其官, 置之寺院而敬之. 必用此人而國家平康, 則裁抑其權, 嚴上下之禮以使之, 民志定矣, 國難紓矣. 且殿下以旽爲賢, 自旽用事以來, 陰陽失時, 冬月而雷, 黃霧四塞彌旬. 日黑子, 夜赤祲, 天狗墜地, 木冰太甚. 淸明之後, 雨雹寒風, 乾文屢變. 山禽野獸, 白日飛走於城中. 旽之論道燮理功臣之號, 果合於天地祖宗之意乎 臣等職在諫院, 惜殿下相非其人, 將取笑於四方, 見譏於萬世, 故不得嘿嘿, 庶免不言之責. 旣以言矣, 敬聽所裁.”

記:고려사에 관련 모든 문헌,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인용함

 

1991년 신미보(辛未譜) 1페이지

4世 子 可臣 가신
  可臣初諱興 字獻之號雪齋又曰無慍堂
•高麗高宗十一年甲申에羅州治南洞江面에侍中洞에서誕生하였으며幼而潁悟하여讀書作文에頗爲時輩所推라高宗朝에文科에   及第하여累歷華要하고官至僉議中贊判典理司事世子師하고
•忠烈王二十四年戊戌三月에上章乞退코자하니不允하고命五日一朝하라하며加壁上三韓三重大匡守司空右僕射修文殿大學士   監修國史하고參知光政院事하다性正直端嚴하고處事精審하여在政房에諳鍊典故하고題品銓注가皆當物議라一時辭命多出其   手하였다嘗撰千秋金鏡錄하고扁所居曰雪齋又無慍堂이라하다日與賢士大夫로商確古今하며雖至大官이라行止如書生이及爲   冢宰에人이想望太平하다朝退之暇常與金文肅公周鼎과尹文顯公珤와鼎坐共議國事하고講論經史하니世稱三賢堂이라하다陪   世子하고入中國하야嘉議大夫翰林學士를授하고陞金紫光祿大夫하다及還에賜金鞍金帶白馬龍硯하니以是洞名이金鞍洞이라
•忠烈王二十四年戊戌六月四日에卒하니國人이驚悼하다諡號는文靖이다事見麗史列傳及朝鮮史畧墓禮葬于京畿道長湍郡江東   面(現漣川郡旺澄面)基谷里鄭陵洞卯坐原有碑床石
•配陰平郡夫人安氏大府少卿弘祐女이며兵部郞中世亮의孫이다忌十月六日墓從莊公瑩有遺集行狀
•忠肅王十七年庚午六月에忠宣廟에配享
•肅宗十四年戊辰에建院于羅州金鞍洞雪齋書院에配享
•純祖十四年己巳에建祠于咸平郡月也面鰲山祠에配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