述先裕后 :조상을 계승하고 자손을 잘되게 함.先世記錄들을 奉讀하십시요. image(gif) 만듬:문정공24세손 병선

대종회장25대-27대
창주공15세손

광훈(光勳)


만든 후손
발전연구위원 간사
25대∼.일헌공15세손
병선(昺璿)


GO BACK
 

 

1991 辛未譜
第三編 先世遺蹟
世德祠

 

 

 

世德祠上樑文
(세덕사상량문)

[역문]()하노니, 群賢(군현)을 아울러 祭祀(제사)지내니 반드시 祠宇(사우)를 세워 靈魂(영혼)을 편안케 하고 모든 後孫(후손)들은 스스로 原流(원류)가 있으니 마땅히 ()에 올라 ()을 올린다. 이것이 肯構肯堂(긍구긍당)이 되고 기리써 ()하며 써 ()함을 본다. 생각건대


軍器監鄭公(군기감정공)羅州鄭氏(나주정씨)始祖(시조). 高麗朝廷(고려조정)元勳(원훈)이다.


禮賓卿公(예빈경공)은 능히 先考(선고)()을 이으니 爵位(작위)追封(추봉)했네.

 

銀靑光祿樞密副使公(은청광록추밀부사공)은 성한 ()과 쌓인 慶事(경사)로 넉넉히 一姓(일성)福祿(복록)傳承(전승)함을 드리웠고 賢子肖孫(현자초손)은 마땅히 百世(백세)位廟不遷(위묘부천)하였네.


文靖公雪齋先生(문정공설재선생)代代(대대)忠孝(충효)에 독실하니 ()하도다. 圭組(규조)赫葉(혁엽)이요 재주가 文武(문무)()하니 ()하도다. 邦國(방국)幹禎(간정)이네. 世子(세자)를 모시고 中國(중국)에 들어가 金紫光祿大夫(금자광록대부)에 올랐고 金鏡錄(금경록)을 지어 後世(후세)를 깨우치니 朝野(조야)太平基礎(태평기초)想像(상상)하네.


大護軍公(대호군공)은 이미 海東(해동) 虎賁(호분)盛譽(성예)()하고 이 派中(파중) 氏族(씨족)의 밑둥이 되었네.


都僉議公(도첨의공)文靖賢抱(문정현포)로 능히 詩禮懿範(시례의범)()했고 前光(전광)胚胎(배태)하여 길이 竹帛(죽백)耀名(요명)을 드리웠네.


禮曹判書(예조판서) 氷軒公(빙헌공)氷蘗(빙벽)精神(정신)이요. 臨履(임이)雅操(아조)額子(액자) 閔子騫(민자건) 游夏(유하)仁姿文學(인자문학)이요. 世宗(세종)皇猷黼黻(황유보불)이네. 機微(기미)를 보고 終日(종일)을 기다리지 아니하니 知微知彰(지미지창)이오 용감하게 물러나 故鄕(고향)에 돌아가 누웠으니 可仕可止(가사가지). 이에 있음인저

七賢(칠현)이 한 門中(문중)에서 挺生(정생)하니 徃牒(왕첩)의 보기 어려움을 ()하고 많은 겨레들이 同心(동심)하여 論發(논발)하니 이곳에 新祠(신사)를 세워 侑享(유향)한다. 이 어찌 다만 鄭門(정문) 氏葉(씨엽)盡誠(진성)이리오 또한 실로 南州(남주) 士族(사족)의 우러러 본 바가 된다. 春秋饗祀(춘추향사)에 장차 澗藻沚蘋(간조지빈)을 바치고 後孫(후손)趨蹌(추창)함이 이 峨冠博帶(아관박대)를 가추었네. 이에 兒郞(아랑)의 노래를 엮어서 張老(장노)()을 부친다.

어허라 들보를 ()으로 던지니 鷹峰(응봉)의 아침햇살 玲瓏(영롱)하게 비치구나. 齊明盛服(제명성복)은 마땅히 새로 짓고 祀事(사사)는 오직 공손하여 마음을 다하리라.

들보를 西()로 던지니 道川(도천)上下(상하). 길은 높고 낮네. 遡源活水(소원활수)는 맑음이 거울같고 때를 갈고 닦아 빛내니 히 희미하지 않네.

들보를 ()으로 던지니 玉女(옥녀)羅山(나산)江色(강색)이 쪽빛이네. 臨水(임수)爲容(위용) 또한 말하지 말라 眞工(진공)은 스스로 泳涵(영함)함에 있네.

들보를 ()으로 던지니 옛적 餘忱(여침)이 감동 北極星(북극성)을 쳐다보네. 祖先(조선)傳承(전승)하여 忠孝(충효)()을 삼고 明良(명량)濟濟(제제)王國(왕국)하네.

들보를 위로 던지니 衆星(중성)璀璨(최찬)하니 連珠(연주)의 모양이네. 南國(남국)照明(조명)하니 색같은 빛을 더하고 文士(문사)繼承(계승)하니 사람이 다 쳐다보네.

들보를 아래로 던지니 桑麻(상마)雨露(우로) 平野(평야)()했구나. 吉蠲(길견)하게 술밥을 만드니 酒肴(주효)가 많고 豐潔(풍결)祭祀(제사)거동 마땅히 玉(옥)잔을 올리네.

엎드려 원하옵건데 上樑(상량)한 후에 百靈(백령)咸護(함호)하고 모든 ()이 아울러 이르리라. ()()하고 ()()함은 先祖(선조)正路(정로)安宅(안택)을 따를 것이오 忠誠(충성)을 맡고 ()責任(책임)後孫(후손)들의 福地(복지)德門(덕문)을 열리라.

                                  檀紀四千三百二十三年庚午臘月上休日
                                                                            (단기사천삼백이십삼년경오랍월상휴일)

晉州 鄭福圭 識
(진주 정복규 식)

祠宇를 세워 靈魂을 편안케 하고 모든 後孫들은 스스로 原流가 있으니 마땅히 에 올라 을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