述先裕后 :조상을 계승하고 자손을 잘되게 함.先世記錄들을 奉讀하십시요. image(gif) 만듬:문정공24세손 병선

대종회장25대-27대
창주공15세손

광훈(光勳)


만든 후손
발전연구위원
간사. 25대∼
일헌공15세손

병선(昺璿)


GO BACK
 

 

1991 辛未譜
第三編 先世遺蹟
雪齋書院

 

 

 

雪齋書院移建上樑文
(설재서원이건상량문)

雪齋書院移建上樑文

遺風猶有存者仰止高山故廟易而新之見此廈屋襟紳騰賀林壑增輝雪齋先生以正直端嚴之資有經綸輔相之具馳奔上國洞錫金鞍之名秉軸東韓兆叶玉鉉之吉尊靈極人臣之位寒儉尙儒素之風巷柳園桃恒存一壑之想市槐壇杏長開萬卷之堂斯文作新於一時遺澤延及於五世永慕亭先生洗濯紈綺硏窮墳典事親則能盡惋愉巖老許養志之孝事君則不避夷險聖祖侈寫眞之榮出將入相文武之才趾美先烈鳶飛魚躍鼓舞之化留意南人儒賢繼出於小華風聲永樹於海國杖屨往來之所依然水邱芬苾享祀之場美哉輪奐人有矜式不啻門弟子親灸之時德爲宗師豈但鄕先生可祭之祀時緣春秋之寢易未免樑棟之漸頹賢士所闕方資依歸之樂比屋且壤豈無歎惜之心何幸多士之合謀乃有兩楹之經始從靑烏之改卜稍移舊基倣白鹿之重修庸煥新搆自致工集而士起來者如雲可論時屋而擧嬴成之不日所以無廢後觀豈非將多前功數間茅茨猶想詩中之淸趣雙株寶樹如對齊前之凉陰將擧脩樑式陳善頌拠樑東屋角朝輝潑 紅點也浴沂遺與在冠童春服試春風拠樑西錦峀崔嵬斗極齊松檜影中祠屋近月嶽靈精護巖棲拠樑南竹屋松籬照玉潭風韻至今瞻髮髴舊墟桑梓儼相參拠樑北山勢逶迤來不極吐雨雲自萬年亭亭不老靑蒼色拠樑上仰視高天何曠朗奎壁餘輝照日南侁侁紳佩爭還向拠樑下官道如絃連大野試問南來北去人幾人不是迷摩者伏願上樑之後士至方向依香火而敬展降格洋洋卿鄕習爲善瞻棟宇而增懷顒仰惕惕蹉哉吾黨二三子有此廣廈千萬間

景宗癸卯二月 日東萊后人靈巖郡守鄭來周製外十五世孫
全州后人 李 樞 書

 

[역문]遺風(유풍)이 아직도 남아있어 高山(고산)처럼 우러르네. 古廟(고묘)가 바꾸어 새로우니 이 넓은 집을 보는구나. 襟紳(금신)이 祝賀(축하)하며 林壑(임학)이 빛을 더하네.

雪齋先生(설재선생)은 正直(정직)하고 端嚴(단엄)한 資品(자품)으로 經綸輔相(경륜보상)의 갖춤이 있어 中國(중국)에 馳奔(치분)하여 洞(동)에 金鞍(금안)의 이름을 주었고 東韓(동한)에 秉軸(병축)하여 조짐이 玉鉉(옥현)의吉(길)함을 화합했네.

尊靈(존령)은 人臣(인신)의 位(위)에 다하였고 寒儉(한검)은 儒素(유소)의 風(풍)을 숭상했네. 巷柳園桃(항유원도)는 항상 一壑(일학)에 있음을 생각하고 市槐檀香(시괴단향)은 길이 萬卷(만권)의 집을 열었네. 斯文(사문)은 一時(일시)의 새로움을 만들었고 遺澤(유택)은 五世(오세)에 延及(연급)했네.

永慕亭先生(영모정선생)은 紈綺(환기)를 洗濯(세탁)하고 墳典(분전)을 硏窮(연궁)했네. 事親(사친)에 능히 惋愉(완유)함을 다하여 巖老(암노)가 養志(양지)의 孝(효)를 許(허)하였고 事君(사군)에 夷險(이험)을 不避(불피)하니 聖祖(성조)께서 寫眞(사진)의 榮華(영화)를 풍부히 했네. 出將入相(출장입상)하니 文武(문무)의 재주는 趾美先烈(지미선열)하니 鳶飛魚躍(연비어약)이로다. 鼓舞(고무)한 敎化(교화) 뜻이 南(남)쪽 사람에게 머물렀네. 儒賢(유현)은 小華(소화)에서 繼出(계출)하였고 風聲(풍성)은 길이 海國(해국)을 對(대)하였네. 杖屢(장루)의 徃來(왕래)한 곳은 水邱(수구)가 依然(의연)하고 芬苾(분필)로 享祀(향사)한 場所(장소)는 건물이 장대하고 이름답네.

사람들이 矜式(긍식)함에 門弟子(문제자) 親灸(친구)할 때뿐만 아니며 德(덕)은 宗師(종사)가 됨에 어찌 다만 鄕先生(향선생)만 祭祀(제사)하리오. 때는 春秋(춘추)의 寢易(침이)의로 인연하여 樑棟(량동)이 漸頹(점퇴)함을 免(면)치 못하였네.

賢士(현사)의 關係(관계)된바 바야흐로 依歸(의귀)의 즐거움을 資賴(자뢰)하였고즐비한 집이 또한 헐리니 어찌 歎惜(탄석)의 마음이 없으리요 何幸(하행)으로 多士(다사)가 合謀(합모)하여 이에 兩楹(양영)의 經始(경시)가 있으니 靑烏(청오)의 改卜(개복)을 조차 舊基(구기)를 조금 옮기도다. 白鹿(백록)의 重修(중수)를 模枋(모방)하여 새로진 집 빛나는구나. 스스로 工人(공인)이 모이고 선비들이 모여들어 구름 같았고 時屋(시옥)을 可論(가론)함에 며칠이 안 걸려 넉넉히 이루었네.

뒤에 본인들이 廢(폐)치 아닌 까닭은 어찌 장차 前功(전공)의 많음이 아니겠는가. 數間茅屋(수간모옥)요 오히려 詩中(시중)의 情趣(정취)를 생각게하고 雙株寶樹(쌍주보수)는 齋前(재전)의 서늘한 그늘을 對(대)한 것 같네.

장차 들보를 올리면서 이에 善訟(선송)을 베푸노라.

들보를 東(동)으로 던지니 屋角(옥각)에 아침 날 빛 어지럽네. 붉은 빛을 반사하네. 曾點(증점)이 沂水(기수)에서 미역 감은 남긴 興(흥)이 있으니 冠童(관동)의 봄옷 봄바람을 시험하네.

들보를 西(서)로 던지니 錦城山(금성산)이 높고 높아 北斗星(북두성)과 가지런하네. 松檜(송회)의 그림자 社屋(사옥)에 가까우며 月嶽(월악)의 精靈(정령) 護巖(호암)에 깃드리네.

들보를 南(남)으로 던지니 竹屋(죽옥)과 松蘿(송나)가 玉潭(옥담)에 비치구나 風韻(풍운)은 至今(지금)에 바라보니 髮髴(발불)하고 舊墟(구허)에 桑梓(상재)는 儼然(엄연)하여 서로 얽히었네.

들보를 北(북)으로 던지니 山勢(산세)가 逶迤(위이)하여 끝없이 내려왔네. 비를 토하고 구름 일어남이 스스로 萬年(만년)인데 亭亭(정정)하여 늙지 않고 푸르고 푸른 빛깔이네.

들보를 위로 던지니 高天(고천)을 仰視(앙시)하니 어찌 넓고 명랑한고 奎璧(규벽)의 남은 날빛 日南(일남)을 비치고 떼지은 벼슬아치 다투어 還向(환향)하네. 들보를 아래로 던지니 官道(관도)가 줄처럼 大野(대야)로 連(연)했구나.

南東北去(남동북거)한 사람에게 시험 삼아 묻노니 몇 사람이나 이 迷摩者(미마자)가 아니든고 엎드려 願(원)하건데 上樑(상량)한 후에 선비들이 四方(사방)에서 모여 香火(향화)에 의지해서 공경을 펴면 洋洋(양양)이 降格(강격)하시고 고을에서 善(선)을 배움에 棟宇(동우)를 바라보고 생각을 더해 우러러 공경할지어다.

아! 감격스럽구나. 우리들 二三子(이삼자)여 이 넓은 집 千萬間(천만간)이 있으니.

<註>

① 降格(강격):神靈(신령)이 하늘에서 내려옴

② 秉軸(병축):정권을 잡음

③ 紈綺(환기):①화려한 옷 ②귀족의 아들 딸

④ 矜式(긍식):공경하고 표본으로 삼음

⑤ 親炙(친자):친히 그 사람을 가까이하며 감화를 받음

⑥ 靑烏(청오):上古時代(상고시대)의 사람을 彭祖(팽조)의 弟子(제자) 萃陰山中(췌음산중)에 들어가 道(도)를 배워 뒤에 신선이 됨

 

저 푸른 창공처럼 늙지 않듯 선조님께서도 늘 푸르고 후손들을 내려다 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