述先裕后 :조상을 계승하고 자손을 잘되게 함.先世記錄들을 奉讀하십시요. image(gif) 만듬:문정공24세손 병선

대종회장25대-27대
창주공15세손

광훈(光勳)


만든 후손
발전연구위원
간사. 25대∼
일헌공15세손

병선(昺璿)


GO BACK

 

 

1991 辛未譜
第三編 先世遺蹟
文靖公遺蹟

   

 

詠雲詩
忠烈王四年李汾禧附洪茶邱公恥如同朝乞歸養時作此詩

一片纔泥上生東西南北己從橫謂爲霖雨蘇群稿空掩中天日月明

 

영운시
충렬왕사년이분희부홍다구공치여동조걸귀양시작차시

일편재이상생동서남북기종횡위위림우소군고공엄중천일월명


[역문](忠烈王(충렬왕) 四年(4년)에 李汾禧(이분희)가 洪茶邱(홍다구)에게 아부하니 公(공)께서 朝廷(조정)에 같이 있기를 부끄럽게 여겨 歸養(귀양)하기를 빌 때 이 詩(시)를 지었다.)

내 한 몸을 흙에 묻혀 소박하게 살렸더니 이미 從橫(종횡)으로 벼슬길이 넓었구나. 가뭄에 단비되어 만물을 소생케 하려 했으나 헛되이 중천에서 日月(일월)만 가리 네.

아래와 같이 자료를 덧붙임

[이분희]
(?~1278) :
연안 이씨(延安李氏) 출신으로, 원종~충렬왕 때 행수지유(行首指諭장군·대장군·직문하(直門下상장군·지주사(知奏事)를 거쳐 밀직사사(密直司事)를 역임하였다. 그의 아버지 이송(李松)은 상장군을 지냈고, 고종 궁첩의 딸과 혼인한 그의 동생 이습(李槢)은 지신사(知申事)를 지냈다. 원종 10(1269) 12월에는 임연(林衍) 등과 함께 무인집권자 김준(金俊)을 제거한 무진정변(戊辰政變)에 참여하여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었고, 그 결과 그의 출신지를 석주(碩州)라 고쳤다. 한편 예부전서(禮部典書)를 지낸 이교李校를 비롯하여 이방(李昉 : 전리 판서이려(李儷(延安君))·이권(李權(五原府院君)) 등도 이 가문 출신이다. 특히 이권은 원간섭기 세족으로 성장한 평양 조씨(平壤趙氏) 조인규(趙仁規)의 외손서(外孫壻)가 되었다.

고려사28, 충렬왕 410월 갑인 및 권58, 지리지, 서해도 안서대도호부(安西大都護府) 해주(海州) 염주(鹽州).

이수건, 한국중세사회사연구, 일조각, 1984, 279.

 

[홍다구]
1244(
고종 31)1291(충렬왕 17). 고려 원종·충렬왕 때의 문신.

본관은 당성(唐城 : 南陽=지금의 경기도 화성시). 본명은 준기(俊奇), 다구는 어렸을 때의 이름이다. 할아저비는 고종 때 몽고에 투항한 대선(大宣)이며, 아버지는 역시 고종 때 몽고에 투항해 몽고의 고려 침략을 향도하였던 복원(福源)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몽고에서 출생하고 성장했으며, 어려서부터 종군하면서 용맹을 떨쳤다. 원나라 세조의 총애를 받아 세조가 그를 다구라고 불렀다고 한다. 1261(원종 2) 아버지의 관직을 이어받아 관령귀부고려군민총관(管領歸附高麗軍民摠管)에 임명되었다.

1263년에는 영녕공 준(永寧公綧)을 참소해 당시 그가 원에서 가지고 있던 고려 군민에 대한 관령권(管領權)을 탈취하였다. 1269년 원종이 임연(林衍)을 제거하기 위해 원나라에 군사를 요청하자 다음 해에 국왕 두련가(頭輦哥)를 좇아 3,000명의 귀부군(歸附軍)을 이끌고 처음 고려에 왔다.

이 때부터 봉주(鳳州)의 둔전총관부(屯田總管府)에 주둔하면서 당시 고려에 있던 부원세력의 중심이 되었다. 그리고 진도와 제주도의 삼별초 진압을 지휘하였으며, 계속해서 1274년 소용대장군 안무사 고려군민총관(昭勇大將軍安撫使高麗軍民總管)이 되어 일본 정벌을 위한 군량과 조선의 조달을 감독하였다.

곧 이어 동정우부도원수(東征右副都元帥)로서 일본 정벌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일본 정벌이 실패로 끝나자 1275(충렬왕 1)에 원나라로 돌아갔다.

1277년 진국상장군 정동도원수(鎭國上將軍征東都元帥)에 임명되어 일본 정벌에 대비하였다. 하지만 때마침 원나라의 상도(上都)에서 지로와대(只魯瓦歹) 등이 반란을 일으켜 일본 정벌이 연기되자 승상(丞相) 백안(伯顔)을 좇아 상도를 공략해 전공을 세웠다.

그 해에 위득유(韋得儒) 등에 의해 김방경(金方慶) 무고사건이 일어나자 고려에 다시 들어왔다. 김방경을 고문하고 고의로 사건을 확대시켜 고려의 입장을 난처하게 하려다 충렬왕이 적극적인 외교 활동을 벌여 원나라로 소환되었다.

1279년 원나라에서 다시 일본 정벌을 추진하자 동정군(東征軍)의 지휘를 자청하였다. 고려의 거센 반대에도 불구하고 다음해에 용호위상장군 정동행성우승(龍虎衛上將軍征東行省右丞)에 임명되어 일본 정벌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이번 역시 일본 정벌이 실패로 끝나자 곧 원나라로 돌아갔으며, 이후 다시 고려에 오지 못하였다.

1284년에도 다시 정동행성우승에 임명되었으나 곧 일본 정벌 계획이 무산되었다. 1287(충렬왕 13) 원나라에서 내안(乃顔)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워 요양행성우승(遼陽行省右丞)이 되었다.

이후 1290년에 병 때문에 사직하였다. 그 해에 내안의 여당인 합단(哈丹)이 고려를 침략하자 다시 기용되어 요양행성의 관리가 되었으나 다음해에 죽었다.